• 제목/요약/키워드: Semi-quantitative RT-PCR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초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Chicken Δ-6 Desaturase

  • Kang, Xiangtao;Bai, Yichun;Sun, Guirong;Huang, Yanqun;Chen, Qixin;Han, Ruili;Li, Guoxi;Li, Fad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116-121
    • /
    • 2010
  •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C-PUFA) promote the development of brain and vision of the fetus, relieve inflammation, inhibit oral dysplasia of rumor cell, decrease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gulate arrhythmia. ${\Delta}-6$ desaturase is the rate-limited enzyme in the desaturation process. This study reports the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tissue expression of a ${\Delta}-6$ desaturase gene in the chicken. PCR primers were designed based on the predicted sequence of chicken ${\Delta}-6$ desaturase (accession number: XM421053) and used to isolate a cDNA fragment of 1,323 bp from chicken liver. Based on the 1,323 bp fragment an EST (BI390105) was obtained by BLAST. The EST and 5'nd of the 1,323 bp fragment were partially overlapped. Gene specific primers derived from the EST were used for amplification of the 5'nd. Another gene-specific primer derived from the 1,323 bp fragment was used for amplification of the 3'nd by 3'ACE. Then the three overlapping cDNA sequences obtained were assembled with DNAMAN software and a full-length ${\Delta}-6$ desaturase of 2,153 bp was obtained. The full-length cDNA contained an ORF of 1,335 bp with a 5'ntranslated region of 147 nucleotides followed by an ATG initiation codon. Stop codon TGA was at position 1,481-1,483 bp. The deduced amino acids shared an homology above 77% with bovine, mice, orangutan, rat and human. The protein sequence had three histidine-rich regions HDFGH (HisI region), HFQHH (HisII region) and HH (HisIII region), a cytochrome $b_{5}$-like domain containing a heme-binding motif and two transmembrane domains. Sequence analysis of the chicken genomic DNA revealed that the coding sequence of chicken ${\Delta}-6$ desaturase included 12 exons and 11 introns. Semi-quantitative RT-PCR showed that the ${\Delta}-6$ desaturase expression levels were in turn liver, spleen, pancreas, lung, breast muscle, heart, and abdominal fat. The expression of ${\Delta}-6$ desaturase in liv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breast muscle (p<0.01). The expression of ${\Delta}-6$ desaturase in lu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bdominal fat (p<0.01). This is the first clone of chicken ${\Delta}-6$ desaturase.

F9 EC 세포에서 레티노산에 의해 유도되는 Hoxc 유전자의 발현에 히스톤 메틸화가 미치는 영향 (Histone Methylation Regulates Retinoic Acid-induced Hoxc Gene Expression in F9 EC Cells)

  • 민혜현;김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03-708
    • /
    • 2015
  • Hox 유전자는 호메오도메인을 포함한 전사인자로써, 발생 과정 중 전후축을 따라 몸의 형태 형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레티노산(RA)은 발생 과정에서 필수적인 형태형성인자이며 세포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조절자이다. 특히, RA는 생쥐나 인간으로부터 만들어진 배아암종(EC)세포에서 Hox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밝혀져 있다. 또한 RA에 의한 세포 분화와 유전자 조절 과정에 히스톤 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히스톤 변이가 RA에 의해 유도되는 Hox 유전자의 발현에 특이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유추되기 때문에, 이 연구의 목적은 F9 생쥐배아 기형암종세포에서 RA에 의해 유도되는 Hoxc 유전자의 순차적인 발현이 히스톤 변이에 의해 일어나는 것인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Hox 유전자의 발현 양상과 히스톤 변이는 semi-quantitative RT-PCR, RNA-sequencing과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PCR 기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RA 처리 후(0일(D0), 1일(D1), 3일(D3)), Hoxc4 유전자의 발현(D1)은 Hoxc5부터 –c10 유전자(D3)보다 먼저 시작되었다. Hox가 발현하지 않는 D0 샘플은 전사 억제 마커인 H3K27me3이 모든 Hoxc 좌위에 강하게 표지 되어 있었으나 D1과 D3 샘플에서는 모든 좌위의 H3K27me3 표지가 확연히 줄어들어 있었다. 전사 발현 마커인 H3K4me3가 Hoxc 유전자의 순차적인 발현과 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D1에서 Hoxc4 발현과 함께 H3K4me3이 표지 되어 있었고, D3에서는 Hoxc 유전자 발현과 함께 모든 좌위에서 H3K4me3 마커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F9 세포에서 RA에 의해 유도된 Hoxc 유전자의 순차적인 발현은 Hoxc 좌위에서 H3K27me3가 사라지고, H3K4me3가 표지 되는 히스톤 메틸화의 변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닭 텔로미어 길이의 유전력 추정과 유전 전이 양상 (Inheritance and Heritability of Telomere Length in Chicken)

  • 박단비;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7-225
    • /
    • 2014
  • 텔로미어는 진핵 세포의 염색체 말단으로, 직렬 반복 DNA 염기 서열과 shelterin 단백질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텔로미어의 기능은 염색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체세포의 텔로미어 길이는 세포 분열시 DNA 복제 결실로 인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유전적, 후생유전학적 및 환경적 수준에서 여러 가지 요인이 텔로미어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닭의 텔로미어 길이의 유전력을 추정하고, 이들의 유전전이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텔로미어 길이는 백혈구를 이용하여 양적 형광접합보인법(Q-FISH)과 양적 중합효소 연쇄반응법(qRT-PCR)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텔로미어 길이의 유전력은 자손과 부모 회귀 분석에 의해 출생 시 0.9로 추정되었고, 10 주령 및 30주령 때 부 분산 분석에 의해 0.03과 0.04로 추정되었다. 부와 자손 간(r=0.348) 및 모와 자손 간(r=0.380) 텔로미어 길이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닭 텔로미어의 유전 전이 양상은 부모 양쪽 모두로부터 비슷하게 자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암수 자손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텔로미어 길이의 각인이 성염색체의 유전자가 아닌 상염색체의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산모 연령에 따른 출생 자손의 텔로미어 길이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체의 연령이 출생 자손의 텔로미어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수정란의 초기 배아 단계에서 세포적 reprogramming이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에서 Eotaxin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Eotaxin mRNA Expression in Bronchial Mucosa of Patients with Asthma)

  • 인광호;조재연;강세용;이상엽;심재정;강경호;유세화;나영순;김한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697-704
    • /
    • 1998
  • 연구배경: 천식은 기관지에 호산구의 침착을 동반한 염증을 특징으로 한다. 말초 혈액에 존재하던 호산구가 천식 반응시 기관지 조직 내로 침착되는 과정에는 여러 종류의 호산구 화학 주성인자들이 관여한다. Chemokines은 염증 부위에 백혈구를 동원시키는 중요한 화학 주성 물질 중의 하나이다. 호산구 화학 주성에 관여하는 chemokines으로는 RANTES, MCP-3 등이 있지만 호산구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세포에도 작용한다. 최근에 호산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조직에 호산구의 침착을 유도하는 새로운 chemokine인 eotaxin이 cloning되었으며 호산구가 혈중에 증가되거나 조직에 침착하는 여러 알러지 질환의 중요한 매개불질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사람에서의 eotaxin은 호산구의 강력한 화학 주성 물질로 조직내의 호산구 침착의 주요 원인이며 천식에서 중요한 매개물질일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에서 eotaxin mRNA의 발현을 조사하고 기관지 조직 내 호산구의 침착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최근 수개월간 특별한 치료없이 폐기능의 저하와 천식 증상을 갖고 있었던 천식 환자 4예(A 군), 흡입용 혹은 경구용 스테로이드 사용을 유지하면서 정상 범위의 폐기능을 유지하고 증상이 없었던 천식 환자 3예(B 군), 정상 대조군 2예(C 군), 최근 3개월 이상 어떤 천식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상 범위의 폐기능을 유지하고 증상이 없었던 천식 환자 2예(D군), 천식의 악화로 입원하여 기관지 확장제와 경구용 혹은 정맥용 스테로이드를 10일 이내 사용하여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폐기능의 저하를 보였던 2예(E 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는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기관지 조직 검사를 시행했다. 조직에서 분리된 RNA로 부터 semi-quantitative RT-PCR를 시행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GAPDH mRNA에 대한 eotaxin mRNA의 비(ratio)를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여 eotaxin mRNA의 발현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Eotaxin mRNA의 발현과 기관지 조직내의 호산구 침착 정도의 상호 관계를 관찰하였다. 결 과: Eotaxin mRNA의 발현은 최근 수개월간 특별한 치료 없이 폐기능의 저하와 천식 증상을 갖고 있었던 현증 천식 환자 4예(A 군), 최근 수개월간 천식 치료를 받지 않았지만 천식 증상이 없었던 2예 중 1예(D군), 천식이 악화되어 경구 혹은 정맥 스테로이드를 10일간 사용하였던 2예(E 군)에서 나타났다. Densitometer로 eotaxin mRNA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A군은 4예 모두에서 높았으며 D, E 군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Submucosa 내의 호산구 침착과 eotaxin mRNA의 발현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 론: 천식환자 기도에서 eotaxin의 발현은 증가되며 호산구의 기도내 침착을 유도하는 화학 주성 물질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도내 eotaxin mRNA의 발현은 천식의 발병의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 PDF

수컷 흰쥐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 발현에 미치는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의 효과 (Effect of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 on the Expression of Pituitary Gonadotropin in Male Rats)

  • 손혁준;김수웅;백재승;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49-54
    • /
    • 2007
  •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은 Leydig cells(LC)만을 선별적 사멸을 유도하는 약물로서 가역적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 결핍 흰쥐 모델을 만드는데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컷 흰쥐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인 LH와 FSH의 발현에 미치는 EDS 투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 흰쥐(SD strain, $300{\sim}350\;g$ B.W.)에 EDS(75 mg/kg, i.p.)를 1회 복강주사하고 주사 후 0, 1, 2, 3, 4, 5, 6 그리고 7주가 경과한 날 희생시켰다. 뇌하수체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한 후 뇌하수체 glycoprotein hormone common alpha subunit($C{\alpha}$), LH beta subunit($LH{\beta}$), FSH beta subunit($FSH{\beta}$) 그리고 GnRH 수용체(GnRH-R)의 발현 변화를 semi-quantitative RT-PC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lpha}$ 전사수준은 주사 후 1주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주사 후 4주까지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다가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LH{\beta}$ 전사 수준은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4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FSH{\beta}$ 전사수준은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3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4주 후부터 감소하여 5주 후에 최소치를 보였다. 유사하게, GnRH-R 전사 수준도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3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EDS 주사에 의해 수컷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생식소 자극호르몬 subunit들과 GnRH-R의 발현 변화가 가역적으로 유도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EDS 주사 모델은 수컷 흰쥐에서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축의 호르몬 조절에 대한 기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Stimulative Effects of Hominis Placental Pharmacopuncture Solution Combined with Zinc-oxide Nanoparticles on RAW 264.7 Cells - ZnO HPPS more easily stimulates RAW 264.7 cells -

  • Hong, Tae-Keun;Kim, Jee-Hye;Woo, Ju-Youn;Ha, Ki-Tae;Joo, Myung-Soo;Hahn, Yoon-Bong;Jeong, Han-So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18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Hominis Placental pharmacopuncture solution (HPPS) combined with zinc-oxide nanoparticles (ZnO NP) activates RAW 264.7 cells. Methods: We soaked ZnO nanoparticles in the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solution, thereby making a combined form (ZnO NP HPPS). The effect of ZnO NP HPPS on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was measured by 2', 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H-DA) assay. The effect of ZnO NP HPPS on NF-${\kappa}B$ was measured by using a luciferase assay. The effect of ZnO NP HPPS on the cytokine expression was assessed by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cellular uptake of ZnO NP HPPS was measured by using a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cellular structural alterations were analyzed by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Results: Neither the HPPS nor the ZnO NPs induced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Neither of the materials activated NF-${\kappa}B$ or it's dependent genes, such as TNF-${\alpha}$, IL-1, and MCP-1. However, ZnO NP HPPS, the combined form of ZnO NPs and HPPS, did induce the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as well as prominently activating NF-${\kappa}B$ and it's dependent genes. Also, compared to ZnO NPs, it effectively increa-sed the uptake by RAW 264.7 cells. In addition, cellular structural alterations were observed in groups treated with ZnO NP HPPS. Conclusions: Neither ZnO NP nor HPPS activated RAW 264.7 cells, which is likely due to a low cellular uptake. The ZnO NP HPPS, however, significantly activated NF-${\kappa}B$ and up-regulated its dependent genes such as TNF-${\alpha}$, IL-1, and MCP-1. ZnO NP HPPS was also more easily taken into the RAW 264.7 cells than either ZnO NP or HPPS.

Modulation of Pituitary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 (sst1-5) mRNA Levels by Growth Hormone (GH)-Releasing Hormone in Purified Somatotropes

  • Park, Seung-Joon;Park, Hee-Soon;Lee, Mi-Na;Sohn, Sook-Jin;Kim, Eun-Hee;Jung, Jee-Chang;Frohman, Lawrence A.;Kineman, Rhonda D.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2호
    • /
    • pp.79-84
    • /
    • 2003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expression of the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s, sst1-5, is differentially regulated by growth hormone (GH)-releasing hormone (GHRH) and forskolin (FSK), in vitro. GHRH binds to membrane receptors selectively located on pituitary somatotropes, activates adenylyl cyclase (AC) and increases sst1 and sst2 and decreases sst5 mRNA levels, without significantly altering the expression of sst3 and sst4. In contrast FSK directly activates AC in all pituitary cell types and increases sst1 and sst2 mRNA levels and decreases sst3, sst4 and sst5 expression. Two explanations could account for these differential effects: 1) GHRH inhibits sst3 and sst4 expression in somatotropes, but this inhibitory effect is masked by expression of these receptors in unresponsive pituitary cell types, and 2) FSK inhibits sst3 and sst4 expression levels in pituitary cell types other than somatotrope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se two possibilities, somatotropes were sequentially labeled with monkey anti-rat GH antiserum, biotinylated goat anti-human IgG, and streptavidin-PE and subsequently purified by fluorescent-activated cell sorting (FACS). The resultant cell population consisted of 95% somatotropes, as determined by GH immunohistochemistry using a primary GH antiserum different from that used for FACS sorting. Purified somatotropes were cultured for 3 days and treated for 4 h with vehicle, GHRH (10 nM) or FSK ($10{\mu}M$). Total RNA was isolated by column extraction and specific receptor mRNA levels were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multiplex RT-PCR. Under basal conditions,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the various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s were sst2>sst5>sst3=sst1> sst4. GHRH treatment increased sst1 and sst2 mRNA levels and decreased sst3, sst4 and sst5 mRNA levels in purified somatotropes, comparable to the effects of FSK on purified somatotropes and mixed pituitary cell cultur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HRH acutely modulates the expression of all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s within GH-producing cells and its actions are likely mediated by activation of AC.

Reconstructed Adeno-Associated Virus with the Extracellular Domain of Murine PD-1 Induces Antitumor Immunity

  • Elhag, Osama A.O.;Hu, Xiao-Jing;Wen-Ying, Zhang;Li, Xiong;Yuan, Yong-Ze;Deng, Ling-Feng;Liu, De-Li;Liu, Ying-Le;Hui, G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4031-4036
    • /
    • 2012
  • Background: The negative signaling provided by interactions of the co-inhibitory molecule, programmed death-1 (PD-1), and its ligands, B7-H1 (PD-L1) and B7-DC (PD-L2), is a critical mechanism contributing to tumor evasion; blockade of this pathway has been proven to enhance cytotoxic activity and mediate antitumor therapy. Here we evaluated the anti-tumor efficacy of AAV-mediated delivery of the extracellular domain of murine PD-1 (sPD-1) to a tumor site. Material and Methods: An rAAV vector was constructed in which the expression of sPD-1, a known negative regulator of TCR signals, is driven by human cytomegalovirus immediate early promoter (CMV-P), using a triple plasmid transfection system. Tumor-bearing mice were then treated with the AAV/sPD1 construct and expression of sPD-1 in tumor tissues was determined by semi quantitative RT-PCR, and tumor weights and cytotoxic activity of splenocytes were measured. Results: Analysis of tumor homogenates revealed sPD-1 mRNA to be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rAAV/sPD-1 treated mice as compared with control levels. Its use for local gene therapy at the inoculation site of H22 hepatoma cells could inhibit tumor growth, also enhancing lysis of tumor cells by lymphocytes stimulated specifically with an antigen. In addition, PD-1 was also found expressed on the surfaces of activated CD8+ T cell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expression of the soluble extracellular domain of PD-1 molecule could reduce tumor microenvironment inhibitory effects on T cells and enhance cytotoxicity. This suggests that it might be a potential target for development of therapies to augment T-cell responses in patients with malignancies.

C2C12 근육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홍경천-홍삼 추출물 혼합액 발효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Ferments of Hot-water Extract Mixture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nd Red Ginseng on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

  • 윤보라;김영현;이종석;홍희도;이영경;조장원;김영찬;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85-4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피로 회복 또는 원기 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경천과 홍삼을 이용하여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H_2O_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시킨 C2C12 근육세포에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처리한 후, 세포의 morphology, cell viability 및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C2C12 근육세포의 cell viabil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Cu/Zn-SOD, Mn-SOD 및 GPx 등과 같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세포 분화의 주요 전사인자인 Myo D의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 시스템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in vivo 시스템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을 이용한 항피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에너지 작물 소재로서 자트로파의 염과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상반되는 생리적 특성과 아쿠아포린(JcPIP2)의 발현 (Conflict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quaporin (JcPIP2) Expression of Jatropha (Jatropha curcas L.) as a Bio-energy Crop under Salt and Drought Stresses)

  • 장하영;이지은;장영석;안성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83-191
    • /
    • 2011
  • 열대작물인 자트로파의 염과 가뭄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유전자 발현의 연구를 통해 바이오에너지 작물로서의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100{\cdot}200{\cdot}300$ mM NaCl의 염 스트레스와 $5{\cdot}10{\cdot}20{\cdot}30$% PEG의 가뭄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잎의 생장, 기공의 전도도, 엽록소 형광, 전해질 유출량을 조사하였다. 자트로파의 잎의 생장, 기공의 전도도, 엽록소 형광, 전해질 유출량을 통한 생육조사 결과 가뭄 스트레스 보다 염 스트레스에서 더 많은 피해를 입었다. 2. 수분 수송과 관련된 아쿠아포린 중에서 JcPIP2가 뿌리, 줄기, 떡잎 그리고 잎에서 모두 고르게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잎의 JcPIP2는 대조구와 가뭄 스트레스 처리구에서 모두 발현하는 반면, 200 300 mM NaCl 처리구에서는 잎에서 발현하지 않았다. 3. 염과 가뭄 스트레스에서 JcPIP2가 상반되는 반응을 보이는 것은 JcPIP2가 염 스트레스 관련 주요 내재 단백질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자트로파는 염 스트레스보다 가뭄 스트레스에 더 내성을 보이므로 간척지보다는 가뭄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