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antic Differential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3초

녹지공간의 이미지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s for green spaces)

  • 안득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5-166
    • /
    • 1995
  •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images of neighborhood parks and pergola facilities. 280 individuals responded to the 19 semantic differential pollar terms for all four parks. A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as used.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suggest several important findings; 1. Mea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st of S.D.scales according to park and pergola facilities types. As compared with park, S.D.scales values of pergola varied with its visual identity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park. 2. Data from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four dimensions appeared for all park and pergola types : "Evaluation ", "Potentiality", "Variety", and "Familiarity". 3. In terms of the "Familiarity" dimension, Omok park and its pergola were viewed a ssignificantly more familiar than any of the other three areas. 4. Parks were perceived more positive than pergolas images in the dimensions of "Evaluation ", "Variety", and "Familiarity". 5.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valuation "and "Variety" dimensions were mainly related to visual preference.

  • PDF

A Study on Semantic Association between Transmitted Information and Design Parameters of Vibrotactile Signals

  • Kim, Sangho;Lee, Hyunsoo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1-380
    • /
    • 201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sign parameters of vibrotactile signals on semantic association with transmitted information conveying different meanings. Background: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relying on human visual channel becomes excessive, the utility of vibrotactile signals is being interested as a substitute measure of delivering information. Properly designed hapticons may relieve burden of visual communication by rendering distinct and meaningfully compatible haptic sensations. Method: A typical Kansei engineering approach was adopted in this study. Ten most distinctive hapticons were selected among those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nd amplitudes. Associations between the hapticons and twenty four pairs of adjectives used to describe the state of automobile in control were gathered from thirty subject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Results: The selected pairs of adjectives were summarized by factor analysis into two semantic dimensions named 'Awareness' and 'Directionality'. The experimental hapticons matched with the semantic dimensions were presented as a haptic emotion map.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pport that frequencies and amplitudes of haptic signals play important roles in arousing different human perceptions regarding the two haptic emotional dimensions. Application: Properly designed hapticons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ransmitted information will increase human operator's situation awareness as well as system performance.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standardized hapticons for active haptic communication.

이중언어환경에서의 언어간 부호전환 수준에 따른 차별적 신경활성화 과정: ERP연구 (Differential Effect for Neural Activation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Code Switching: An ERP Study)

  • 김충명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4호
    • /
    • pp.3-10
    • /
    • 2010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neural activa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de switching in English proficient bilinguals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language switching and proficiency level using ERPs (event-related potentials). First, when comparing high-proficient (HP) with low-proficient (LP) bilingual performance in a native language environment, the activation level of N2 was observed to be higher in the HP group than in the LP group, but only under two conditions: 1) the language switching (between-language) condition known as indexing attention of code switching and 2) the inhibition of current language for L1. Another effect of N400 can be shown in both groups only in the language non-switching (within-language) condition. This effect suggests that both groups completed the semantic acceptability task well in their native language environment without the burden of language switching, irrespective of high or low performance. The latencies of N400 are only about 100ms earlier in the HP group than in the LP group. This difference can be interpreted as facilitation of the given task. These results suggest that HP showed the differential activation in inhibitory system for L1 in switching condition of L1-to-L2 to be contrary to inactivation of inhibitory system for the LP group. Despite the absence of an N400 effect at the given task in both groups, differential latencies between the peaks wer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s of efficiency in semantic processing.

  • PDF

좌우 청력 차이에 따른 바이노럴 비트 세기의 변화 (Changes in binaural beat strength to the difference of right and left hearing ability)

  • 김성찬;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7-63
    • /
    • 2020
  • 바이노럴 비트는 양이에 도달한 소리의 주파수 차이로 유발된 주관적인 맥놀이 현상이다. 물리적으로 맥놀이의 세기는 주파수가 다른 두 신호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바이노럴 비트는 좌우 청력의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청력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정상 청력을 가진 34명의 피실험자가 한 쪽 귀에 기준음[440 Hz, 50 dB Sound Pressure Level(SPL)], 반대 측 귀에 주파수가 다른 제시음(450 Hz)을 SPL을 감소하며 들을 때, 주관적으로 느끼는 바이노럴 비트 의 세기의 변화를 Semantic Differential Method(SDM)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피실험자가 느끼는 바이노럴 비트의 세기는, 좌우 소리의 SPL 차이가 역치(2.2 dB)보다 크면, 좌우 소리의 SPL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노럴 비트 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 좌우 청력 차이를 적절한 범위(예. 2.2 dB)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의미분별법에 의한 초등학생의 소프트웨어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Software Image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27-534
    • /
    • 2016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가진 이미지를 의미분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의 항목은 총 35쌍의 소프트웨어 이미지 형용사를 선정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주요인으로 구분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 간 SW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소프트웨어를 어렵고 복잡하게 여기며 느리고 갖고 싶지 않다는 인식을 보였다. 또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기 인식의 분석 결과 소프트웨어에 대해 잘 안다고 인식할 경우 소프트웨어에 대한 긍정적인 용어를 선호하고 있었다. 학년간 분석에서 고학년이 될수록 소프트웨어를 어렵고 복잡하며 소프트웨어의 객관적인 특징에 대한 답변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정규교과로 안착되는데 필요한 방향을 안내하였다.

의복스타일에 따른 평가의 재현성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ability in ratings for clothing styles)

  • 유경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24-934
    • /
    • 2003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easure intra-individual consistency in clothing style evaluation and to examine its relation to the ratings. For this study,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50 clothing majored university students to explore the stimulus of‘cute’,‘casual’,‘sexy’,‘elegant’,‘intelligent’,‘formal’,‘romantic’,‘individual’,‘refined’for the 9 each image styles from the 32 spring wears in fashion magazine$\boxDr$FARBE$\boxUl$(March, 2000). On the ba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the question items explored the 15 pairs of bipolar adjectives as seven-point Likert type. The main survey was preceded 94 female and 111 men of university students from March 13 to 24 in 2000, twice for 7-days interval. As a result of analyzing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two ratings for each subjects, intra-individual consistency in the evaluation, ranged from -.11 to .87 and mean coefficient was .64 of female and .20 to .76 and mean coefficient was .57 of male. Female had higher intra-individual consistency in the evaluation than male. Based on the coefficien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 medium, and low intra-individual consistency. Analysis of variance of mean ratings by the three group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42% of female and 25% of male in 135 combinations of 9 clothing and 15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There was an apparent tendency that subjects of female with high intra-individual consistency were mostly definitely to evaluate clothing, whereas the ones with low were least. But male shows opposit trend compare to each groups of female.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emale rated higher intra-individual consistency and definition in the two times evaluations than male and amo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s'consistency differ depending on style and gender.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helpful clothing image evaluation, and clothing image selection tendency.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의 감성 평가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one in Tone combination and Tone on Tone combination)

  • 김지혜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01-308
    • /
    • 2010
  • 본 연구는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을 활용한 배색의 감성 효과에 관한 것이다. 톤 인 톤 배색 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하여 제작한 24개 배색에 대하여 Osgood의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이용하여 10명 대학생에게 배색에 대한 인상 평가를 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엑셀 통계 프로그램 2004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톤 인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의 인상이 매우 다르게 평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색채조화의 형식으로 제안되는 배색 기법이 배색의 감성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좋다-싫다', '어린이답다-어른답다', '강하다-약하다', '따뜻하다-차갑다' 4개 이미지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에는 색상과 색조가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사진배색과 거의 동일한 색종이 배색의 인상을 비교한 것으로 색표를 이용한 배색과 그 배색에 근거한 제품의 배색 인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품이 가진 고유 특성이나 형태, 재질 등에 의해 인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배색 이미지나 색채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Public Librarians' Self Image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53-6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에 대한 교육 정보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을 의미 변별법을 활용하여 측정하고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으며 친절함, 공평함, 상냥함을 지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역할이 영향력이 없고 무시당하고 있으며, 초라하고 답답하다는 부정적인 자아상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능력과 자질 그리고 활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지만, 사서직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긍정적인 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사서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사서직에 대한 평가와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아동 청소년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선배 사서들의 리더십 발휘, 도서관과 사서직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에 대한 홍보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자질 함양을 위한 사서 재교육 활성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미지요소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giving the conventional marketplaces a welcome boost through image research)

  • 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51-462
    • /
    • 2007
  • 최근 도시 재개발에 있어서 재래시장 활성화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정부에서는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2009년까지 4600억의 정부예산과 지방자치단체 자본금을 포함하여 총 8100억 원의 예산 투입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재래시장 활성화 사업은 환경 개선사업인 리모델링, 건물 부설주차장 설치, 엘리베이터 설치 등에 집중되어 있어 재래시장 자체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각 지역의 재래시장 성공사례를 조사하고,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이미지를 평가하여 재래시장의 특성에 맞는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방법은 울산시 태화강 주변의 재래시장과 대형마트를 선정하여 진행한다. 설문방법은 재래시장에 대한 시민들의 일반적 견해를 조사하고, 대상지의 사진샘플 추출과 적합한 형용사를 조사하여 SD(semantic differential method)법을 이용하여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인상 차이를 평가한다. 평가된 내용을 바탕으로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래시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요인을 추출하고 해석하여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