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ion Efficac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 김의철;박영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5호_spc
    • /
    • pp.1-28
    • /
    • 2006
  • 이번 특집호는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8월과 12월에 실시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수정 보완하여 이번 특집호가 제작되었다. 이 글은 이번 특집호에 포함된 논문들과 관련 연구 결과들에 대한 종합을 통해, 현대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크게 여섯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적 자원으로서 경제력, (2) 원만한 인간관계의 중요성, (3)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으로서 정서적 지원, (4) 심리적 특성으로서 통제감의 중요성: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5) 학업성취를 통한 높은 삶의 질에 대한 기대, (6) 신체적 건강과 기타 요인들.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경제적 안정이 중요하다고 사람들이 지각하고 있으나, 가정 학교 직장과 같은 구체적인 집단 내에서 한국 사람들의 삶의 질은 인간관계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원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외에도 학업성취, 건강, 여가생활 등이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는 요소로 포함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과정에서, 한국인의 토착심리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 권영숙;이명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9-106
    • /
    • 1998
  • The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l987) was used as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behaviors in 245 women between the ages of 35 and 59 living in Seoul and other cities and to find their predictive 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1st to 23th. June. 1998.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consisted of 8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5 items on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43 items on health promoting life style. 28 items on menopausal symptoms. 5 items on family support. and 28 items on self-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yiel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3.25) is not high. The mean scores of this self actualization (3.73). interpersonal support (3.68). and nutrition (3.57). regulation of stress (3.22) in domains are higher than health responsibility (2.90). exercise (2.63). 2)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general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P=.0061), domestic economy status(P=.0001). perception of health status(P=.0001) but. age. state of menstruation. perception of weight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nd self-efficacy(P=.0001). family support(P=.0001) is significant. Bu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nd age. number of family. perception of weight. 4) In the cognitive-perceptual factors. self-efficacy (P=.0001) is very significant predictor (accounted for $39.7\%$) and in the modifying factors. family support(P=.0001) is very significant (accounted for $9.0\%$). It is same to other research results.

  • PDF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전면적 원격수업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Total Remote Classes on Lecture Satisfaction due to Coronavirus disease-19: Focusing on Radiological Science Majors)

  • 황철환;양성희;구효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81-390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전면적 원격수업에서 방사선학 전공자들의 강의만족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영남권 소재 3, 4년제 방사선(학) 전공자 458명을 대상으로 강의만족도, 교수실재감,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행동조절능력, 원격수업의 용이성에 대해 2020년 9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강의만족도는 학년, 자가 복습시간,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실재감, 원격수업의 용이성과 뚜렷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모형에서 강의만족도는 원격수업의 용이성, 교수실재감, 자기효능감, 학습동기를 통해 45.7%의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확대가 예상되는 대학의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이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청소년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요인연구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Adolescents)

  • 박인숙;주현옥;이화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54-16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fine the degree of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to identify the variable related to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9 adolescents in the 4 high schools. The sampl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July 1 to July 2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performance i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adolescents revealed total 2.478 ; harmonious relationships 3.045, regular diet 2.236,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 1.332, sanitary life 2.910, self regulation 2.558, emotional support 2.696, healthy diet 2.408, rest and sleep 2.651, exercise and activity 2.491, self actualization 2.466, diet control 2.408. The factor with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the harmonious relationships, whereas the one with the lowest degrees was the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its related variable were as follows. (1) Performance i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 esteem, self efficacy, health conception, perceived health status, mothe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mother's health conception. (2)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performance i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adolescents was self esteem. The combination of self esteem, health conception, mothe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 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accounted for 45.2%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adolescents.

  • PDF

예비초등교사의 학습동기 전략에 관한 연구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2호
    • /
    • pp.55-64
    • /
    • 2002
  • According to changing the society rapidly in the 21s1 century,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considered as an ability of which people should carry o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lass in terms of the following areas: (1) the degree of their abilities shown the lower level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uch as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anxiety, cognitive strategy use, and self-regulation (2) relations between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oaming and performance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the mean valu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nd there are positive relations among lower level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ur learning except anxiety, positive relation between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nd achievement. In order to help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improve their motivated strategies fur learning in their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ethod lecture, several methods such as mathematical connections to real world problem, history of mathematics and interview with mathematicians and application of feller's ARCS model to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re suggested.

  • PDF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Online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Eating Habit Behaviors)

  • 김혜영;고승석;양순정;윤방우;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1-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습관행동 변화과정 모형(탁진국, 권혜란, 김혜영 등, 2019)을 기반으로 하여, 식습관 개선 성공 요인(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20)과 선행 연구에서 습관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 방법들을 토대로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식습관 개선을 희망하며 수도권에 거주 중인 19세 이상 성인 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20명을 실험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일대일 코칭을 진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을 제외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PDF

수학 학습 동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for Mathematical Learning Motivation and Causal Attribution)

  • 이종희;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413-4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에 대한 각각의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학 학습 통기 측정 도구는 '자기조절효능감' 17문항, '과제난이도' 9문항, '수학 불안' 9문항의 총 35문항으로, 귀인 측정 도구는 성공과 실패 귀인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성공귀인은 '노력/능력'이 6문항, '운'이 4문항, '타인'이 3문항의 총 13개로, 실패귀인은 '노력'이 7문항, '운'이 3문항, '능력'이 3문항, '타인(외적)'이 4문항의 총 17개로 이루어졌다. 수학 학습 동기의 세 요인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과제난이도와 자기조절효능감은 정적 관계 나타냈고 수학 불안은 다른 두 요인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수학 성취가 우수한 집단은 과제난이도와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수학 불안은 가장 낮았으며 기초이하 집단이 수학 불안이 가장 높았다. 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어려운 문제에 도전적이며,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의 학습 능력과 노력의 정도에 대한 자가 판단이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수학 불안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불안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동기와 귀인의 각 구성 요인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과제가 어려운 것을 선호하거나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수학 학습의 성공의 원인을 노력/능력 귀인에서 찾지만, 운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은 낮았다. 수학 불안이 높은 학생일수록 수학 학습의 성공의 원인을 운으로 귀인시키는 경향이 강하였다.

  • PDF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Analysis of Its' Effects)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397-42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학습자 특성, 수학 과제 특성, 자기조절학습이론을 고려하여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으로 개발하였다. 정의적 프로그램은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조절초점 확인,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학업스트레스 대처, 수학 불안 감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인지적 프로그램은 중 고등학교의 수학 과제난이도에 대한 선호 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수학 성취수준과 학업동기유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남녀 중 고등학생들 12명에게 10주 동안 적용하였다. 수학 교사의 관찰일지와 4차에 걸친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조절초점 확인 프로그램에서 학생의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이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은 성취수준이나 성차와 관계없이 자율동기, 통제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에게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 대처와 수학 불안 감소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대처 활동이 학교급, 성차,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고, 수학 시험 불안 해소 활동이 학업동기유형과 관계없이 효과적이었다. 인지적 프로그램에서는 오답노트와 문제만들기 활동이 결합된 '수학의 달인' 노트가 수학 학업 성취수준이 중 또는 하인 학생들에게서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서울지역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of Visiting Caregivers in Seoul)

  • 남경옥;채재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59-66
    • /
    • 2021
  • 인구 고령화에 따라 재가요양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방문요양보호사의 역할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지역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0년 8~9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 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이 클수록 직무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긍정성)과 직무소진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자기조절능력)과 직무소진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을 예방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직무환경 요인 외에도,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등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에도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참고로 하여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에 대해 전국 단위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지방의 군 단위 지역 중학생 대상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Reading-Based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ounty-level City)

  • 김석원;정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67-83
    • /
    • 2021
  • 본 연구는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지방 군 단위 지역 중학생의 국어수행과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코칭 모델을 적용한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지방 군단위 지역 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은 심리적 변인과 국어수행 점수를 통해 이루어졌다. 심리적 변인은 사전, 사후, 추후에 측정되었고 국어수행은 실험집단에 대하여만 사전, 사후 수행이 측정되었었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심리적 변인에서는 학습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과 달리 사전측정값보다 사후측정값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에도 지속되었다. 미래지향시간관은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국어수행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