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ion Efficac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6초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방문교육지도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Relevant Variables in Employe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ocused Home-Visiting Educator)

  • 강성애;박정윤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391-40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job satisfaction and relevant variables for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ing educators.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192 home-visiting educators who work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the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rea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18.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level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stood at 3.29 points, subjects' age, averagely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and activity career were shown to influence generally upon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tress, and cultural competency.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groups with: a high age, small career, low averagely monthly income, and married. Second, self-efficacy and job stress were big in the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The same outcome as the existing prior research was indicated. Cultural competency was not significant. Third, an examination of relati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in home visiting educators indicated that the explanation power was 29.0%.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included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self-regulation, and role ambiguity. Self-regulation was greater for those with lower academic backgrounds and unmarrie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lower role ambiguity. Thus, the same outcome as the existing prior research was indicated. Cultural competency wasn't indicated to be significant. This has significance in having shown characteristics of job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EAM-based Mathematics Class in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 이가은;최재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3-686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STEAM을 적용한 수학 교과 중심의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수학 교육의 융합적 접근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D광역시 소재 C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사전 검사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결과물과 사후설문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융합적 사고력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문제해결력과 관련하여 두 집단 간의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수준별 고른 성취수준과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또한 STEAM 기반 수학 수업을 진행한 실험 집단의 자기효능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결과물 및 소감문을 통하여 표현력의 향상과 수학적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 STEAM 프로그램 적용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수학교과 수업 개선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원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폭력 경험, 경제적 환경, 관계갈등, 건강행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between Self-efficacy, Stress, Violence Experiences, Economic state, Relationship Conflict,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on in Graduate Student)

  • 김다혜;함옥경;서민희;박시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9-10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Korean graduate students. Specifically, personal (self-efficacy, stress), environmental (violence experience, economic state,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behavioral (health behavior) factors were analyzed.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One hundred and fifty participants currently enrolled in graduate programs were recruited. Google Drive was used for online data collec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52%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 with an average age of 28.05(±3.19). Master's student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63.3%). Approximately about 38.7% were engineering majors. Second, approximately 27.3% had depressive symptoms; and 7.3% had major depress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environmental (financial burdens), and behavioral factors. Four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lower depression level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self-efficacy level and health behavior. In contrast, a higher depression level was related to violence experience. Conclusion: The government should press on establishing rules on the prevention and regulation of violence in universities, and impose strong disciplinary measures to root out the problem. In addition, universities must pay attention to the mental health of graduate students and establish systems to manage them.

만 12세 초등학생 딸의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실태 및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HPV Vaccination Rates of Daughters Aged 12 years)

  • 문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14-12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ate of human papilloma virus (HPV) vaccinations among 12-year-old daughters an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mothers' decisions to vaccinate their daughters. Method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139 mother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3.0.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vaccination rate of HPV among children was 43.9%. Mothers showed a higher knowledge of the HPV vaccination than of cervical cancer and of human papilloma virus. In self-efficacy scores, the subscores of self-regulation efficacy were higher than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accination of daughters included the age of the daughters at the time of the vaccination,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HPV vaccine, knowledge of the HPV vaccination, and self-confidence.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PV vaccination rat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scientific knowledge to mothers. A variety of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confidence of mothers so that mothers who want to provide the HPV vaccination to their daughters are able to follow through and provide the vaccination.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eacher Efficac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in Student-Participatory Class)

  • 김도형;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1-58
    • /
    • 2020
  • 본 연구는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G 지역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사의 수업행동 중 수업지식과 수업동기유발에 대해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과제난이도 선호보다 더욱 높은 영향을 미쳤고, 수업의사소통에 대해서는 과제난이도 선호가 자기조절효능감 보다 영향력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바람직한 수업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자동 맞춤형 셀프케어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Personalized Self-Care (APSC) Program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박가은;이해정;강아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5-549
    • /
    • 2022
  •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sign and develop an automated personalized self-care (APSC) program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secondary aim was to present a clinical protocol as a mixed-method research to test the program effects. Methods: The APSC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order of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and was guided by the self-regulatory theory. The content validity, heuristics, and usability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by experts an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Results: The APSC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goal setting, education, monitoring, and feedback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phases of forethought, performance/volitional control, and self-reflection of self-regulatory theory.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the participants are able to learn from educational materials, monitor their health behaviors, receive weekly-automated personalized goals and feedback messages, and use an automated conversation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self-care. The ongoing two-year study utilizes a mixed method design, with 180 patients having type 2 diabetes mellitus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the intervention or usual care. The participants will be reviewed for self-care self-efficacy, health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at 6, 12, 18, and 24 months.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will b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Conclusion: The APSC program can serve as an effective tool for facilitating diabetes health behaviors by improving patients' self-care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for self-care. However,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생태학적 접근 (An explanatory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 ecological approach)

  • 강나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405-1422
    • /
    • 202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3학년 학생 3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12월01일부터 12월2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외생변수는 가족기능, 친구지지, 학교생활환경, 지역사회 사회자본이고 내생변수는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능력과 건강증진행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수정모형은 권장수준을 만족하여 가설적 모형에 비해 적합도와 간명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χ2/df=1.96, GFI=.90, AGFI=.88, CFI=.94, TLI=.93, RMSEA=.05, SRMR=.06.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한 13개의 경로중 4개는 기각되었고 9개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들 경로에 포함된 변수는 가족기능(β=.57), 자기효능감(β=.29), 자기조절능력(β=.14), 지역사회 사회자본(β=.14), 친구지지(β=.13)로 설명력은 86%이었다. 따라서 역기능적 가정과 해당 가정의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사회적지지 체계를 구축하고 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 환경조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가맹본부의 리더십 행동유형과 가맹사업자의 관계결속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가맹사업자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in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s Leadership Behavior Style and Commitment by Focusing Moderating Effect of Franchisee's Self-efficacy)

  • 양회창;이영철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1호
    • /
    • pp.49-71
    • /
    • 2010
  • 본 연구는 가맹사업자의 자기효능감에 주목하여 정부가 예비가맹사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맹본부에 다양한 규제와 정책을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에서 제시한 가맹본부의 리더십 행동 유형과 가맹사업자의 관계결속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가맹사업자의 특성으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 실증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가맹본부의 리더십 행동유형이 관계결속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사실이 확인됨으로써 가맹본부는 가맹사업자에게 맞는 리더십 행동유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가맹사업자의 자기효능감이 관계결속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리더십 행동유형과 관계결속 사이에 상당한 조절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맹본부는 가맹사업자들의 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정부는 가맹본부를 규제할 것만이 아니라 가맹본부가 가맹사업자들의 특성을 확실하게 파악하고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정당한 통제가 가능하도록 제도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 PDF

보육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r Enhancing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Competence for Child Care Teachers)

  • 김민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11-332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 29명(중재집단 12명, 통제집단 17명)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0회기로 구성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를 조사함으로 써, 이러한 변인들의 사전-사후조사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는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로 구성되고, 모든 척도는 교사의 자기보고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중재집단의 경우 보육교사의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중 교사자신과 관련된 어려움이 증가되었고, 그 외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이 보육교사 자신의 심리적 안정감과 더불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on the Science Problem-Finding Ability and Cognitive-Affective Factors of Science Gifted Students)

  • 안도희;한기순;김명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9-3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들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과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과학영재 고등학생(경험 집단) 69명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비경험 집단) 91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관련 검사도구는 과학문제발견력, 과학 불안도 및 과학태도이며, 학업관련 정의적 특성 검사도구는 자기효능감, 내적 동기 및 시험불안이며, 인지적 특성 검사도구는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이다. 과학영재들의 과거와 현재의 과학 관련 특성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의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 요인에서만 비경험 집단이 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유무에 따른 과거와 현재의 이들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과학 불안도, 자기효능감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시험불안 요인은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비경험 집단의 경우, 내적 동기,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과학문제발견력은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경험 집단의 경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만이 과학문제발견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경험 집단의 경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과 과학태도의 '의미' 요인이 과학문제발견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