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initiative learning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9초

웹기반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eb-Based Learning Materials)

  • 박종운;배점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84-192
    • /
    • 2003
  • When the present Learning System for Computer-Related Subjects Using WBI is implemented on the Web with the above characteristics to help students to study computer subjects without any limitations of time or space, they can easily attain the goals of learning, have computer-utilizing abilities or information capacity, and enhance their capabilities for self-initiative learning. This system enables the learners to carry out 'plan-do-see' for the contents of learning initiatively. The learners can study the practice part of the curriculum using multi-media, such as motion pictures, voices, images, and sound effects, vividly with a sense of actual presence. It helps the students to have an active attitude toward leaning afterward. without meeting the teacher or without any storage media, the leaners can submit their assignments or materia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via the Interne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수업에서의 교육적 효과 고찰 (A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s in SNS-utilized instruction)

  • 권명순;간진숙;김진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5-146
    • /
    • 2014
  •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자기중심적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추가한 사회적 활동으로 구분하여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실험군 원시실험설계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응표본(paired t-test) 검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SNS 수업을 활용한 자기중심적 활동은 자기주도성과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에 효과가 있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이 추가된 사회적 활동은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과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효과에 대한 내용분석에서는 정보의 공유 및 즉시성, 접근성 측면을 장점으로, 정보보안과 사생활 노출은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즉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자기중심적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병행 할 경우, 학습자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자기주도성 향상과 학업능력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기술에 태도가 향상되고 개별 학업 만족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참여동기와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박혜진;차승봉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05-115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ok the initiative in team formation, learning topic selection, learning planning and execution, and reflection. Collaborative learning was operated as an extracurricular program,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who finally completed all 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al-oriented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Second, activity-oriented motiv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Interpreting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judged that the higher the goal-oriented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f students who performed collaborative learning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share knowledge, skills, and information they know. This study explored the outcomes of collaborative learning conduct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t is meaningful that the learner'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hich can be expressed in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s,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which is a necessary behavior for group performance, is significant.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and Relational Analysi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 권나영;전미현;황규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75-492
    • /
    • 2014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고 수학 학습 주도권과 정의적 특성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1개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은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수학 불안의 다섯 가지 영역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참가 학생들은 학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이 나빠지고 있는 경향을 보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도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주도권과 관련해서는 타인 의존적인 학생들에 비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가 일반적으로 더 좋다는 결과를 보였다.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Learning Initiative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16-82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전- 사후 점수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사전 점수와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의 사후 점수를 비교하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총 8회기 동안 운영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수업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las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flip learning)

  • 주현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11-225
    • /
    • 2021
  •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진행한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행동적 참여도, 인지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행동적 참여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주도적 참여도, 과제가치, 정서적 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학습만족도를 86% 설명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는 행동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를 통한 학습만족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적이 중상위권(B+이상) 집단과 중하위권(B이하)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주도적 참여도와 학습만족도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수준과 학업관심도에 따라 학습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과 개인별 맞춤형 학습적응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학교 과학과 IPER 수업과 PBL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PER and PBL on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in Middle School Science)

  • 손성현;최성봉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4-133
    • /
    • 2012
  • Modern society requires people with practical knowledge that is able to recognize actual problems in the complex reality and solve the problems. Due to that reas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ims to basically cultivate ability adaptable to information-oriented global age by maximizing students'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However, as existing education is hard to improve creativity, logical thinking,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information-oriented age, self-directed learning is getting highligh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how learner-oriented IPER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PBL) in middle school science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pre-and post-tes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IPER instruction model and PBL instruction model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 it showed that the class with IPER instruction model was more effective. Second, as the result of pre-and post-tes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IPER instruction model and PBL instruction model on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s, IPER was more effective than PBL overall, and among sub-areas, 'openness', 'self-concept', 'initiative', 'future-oriented self-understanding', and 'self-evaluation' were more effective in IPER while 'creativity' was more effective in PBL. However, among sub-areas 'responsibility' and 'learning enthusiasm'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results of the post-survey to compare and analyze learners' perception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IPER instruction model and PBL instruction model, the two models were positively affective.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two models, IPER was more positive than PBL.

특별 보충 과정을 위한 지능형 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분수의 연산을 중심으로 -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particular supplemented Process - The main theme is Fractional Computation -)

  • 김정태;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27-237
    • /
    • 2003
  • 기존의 CAI나 ITS 연구물은 문제 해결 과정이 일반화되어 있어, 특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수동적인 입장을 가지고 불필요한 과정을 거쳐서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와 같은 분수의 연산과 분야에서는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문제 풀이 과정을 지원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보충학습자들을 위한 분수의 연산에 관한 ITS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습 오류를 진단하고 학습 오류 상태를 학습자가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지원하며, 학습자 자신의 학습 결손을 보충할 수 있으며 또한 분수연산 과정을 학습자의 수준에서 창의적으로 스스로 조정이 가능하다. 우리는 이 시스템이 학교 교사 부족으로 인해 보충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소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개선됨을 보여주었고, 학습자도 이 시스템으로 인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신장되어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얻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Renzulli 수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 남영만;박동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379-397
    • /
    • 2009
  • In this paper we apply to Renzulli'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in university. Gifted students were very positive reaction in solving problems creatively using this program, and they were challenging and very confident performing new tasks. They reacted variously in debates with their classmates, in self-initiative studying. So more positive changes are needed for the activities using the gifted learning-teaching program to let each student have full use of his or her possibility and potential.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진단 및 요인분석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Factor Analysis & SDLRS Assess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Students; In Case of KUT's Students)

  • 임세영;이웅일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7-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대한 진단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Guglielmino(1977)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우리말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연구 대상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공학관련학부학생으로서 재학생 519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답변을 한 4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58개 문항에 대한 7차례의 요인분석 결과, 총 26개 문항, 7개 요인((1)학습에 대한 개방성, (2)주도성과 탐구성, (3)독립성과 기본학습기능, (4)창의성, (5)학습에 대한 책임수용, (6)학습사랑, (7)미래지향성(${\alpha}=.831$, 총 변량설명력=55.78%)을 추출하였고,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개방성'과 '학습사랑' 요인은 전체 평균보다 높았으나 '독립성과 기본학습기능', '학습에 대한 책임'은 낮았다. 둘째, 학생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는 있었고, 7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