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e-Learning Environment

  • ZHANG, Wen;PARK, Innw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1호
    • /
    • pp.119-143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e-learning environment. 219 cyber university students finished the web-formatted questionnaires.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Adult Based Education instrument and Teaching Presence Scale instrumen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 First of all, teaching pres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have a very high relationship in e-learning environment. Secondly, all five components of teaching presence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hirdly, depending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ly components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predict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간호사의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이 간호실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on Nursing Practice Competence)

  • 최준희;정정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1호
    • /
    • pp.16-2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rses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correlations with nursing practice competence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Methods: A cross sectional survey design was utilized to assess nurses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job performa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286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on general ward for over 1 year.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9.1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is 3.56 and that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is 2.71.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and clinical work experienc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clinical work experience, marital status, age, and working division.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nursing practice competence seem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r=.555, p<.001).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explains 32.0%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F=20.20,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ing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is needed to improv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We also need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nurses initiatives and creativity.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 이선영;김윤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09-31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5년 9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K시에 위치한 K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셀프리더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셀프리더십은 서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셀프리더십의 유의한 예측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 학생들의 대학교육에서부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증진을 위해 노력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이 향후 임상현장 및 보건의료 각 분야에서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므로 학습자의 의견을 포함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요구된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선택동기, 교육신념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관련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Related to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 유귀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3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he sample included 308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odified Orientation to Teach Survey (MOTS), Teaching-belief type scal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conveys that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s while nature of work had the weakest. For educational belief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aturationism and interactionism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hile behaviorism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Behaviorism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for challenge, 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2) Analysis of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educational belief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dicate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had a strong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uccessful performa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not only requires receiving institutionalized education but also self-directed learning while work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몰입경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인터넷 중독이 웹기반 컴퓨터교육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ow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Internet Addi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Computer Education)

  • 장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93-3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몰입경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인터넷중독과 웹기반 컴퓨터 교육의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 인과관계 모형의 남녀 성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몰입경험과 학업성취도에 양의 방향으로 직접적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에는 음의 방향으로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는 몰입경험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받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의해 몰입경험을 매개로 유의한 직 간접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남학생은 여학생과는 달리, 몰입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영향과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 전미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0-266
    • /
    • 2013
  • 본 연구는 평생학습자로 살아가야 할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충남의 H대학교 이공계열 전공 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와 Kolb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전체 평균점수가 3.41로 나타나 Guglielmino & Guglielmino(1993)의 점수해석을 기준으로 할 때,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평균'으로 볼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영역별 통계치를 보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학생의 Kolb 학습유형 4가지 기본척도 분석결과 능동적 실험(AE)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화(AC)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Kolb 4가지 학습유형 중 확산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수렴형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변인과 Kolb 학습유형 기본척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1) 학습기회의 개방성, 배움에 대한 사랑이 구체적 경험과 관계가 있었다. (2) 학습기회의 개방성,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학습자로서의 자아개념,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배움에 대한 사랑, 미래지향성이 추상적 개념화와 관계가 있었다. (3)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창의성이 반성적 성찰과 관계가 있었다. (4)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미래지향성이 능동적 실험과 관계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평균점수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Kolb 학습유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용어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촉진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in Medical Team Education)

  • 채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27-237
    • /
    • 2020
  •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촉진 수업방법이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지,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 지역 4년제 보건행정학과 1학년 '의학용어' 수강생 63명을 대상으로 팀활동 중심의 자기주도학습 촉진 수업방법 적용 후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조사하여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는 2016년 9월 6일 1차, 12월 6일 2차로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다. 일반적인 특성과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선형모형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18세 이하군은 수업전 177.3점에서 180.8점, 19세 이상군은 192.9점에서 196.5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수업 후 전반적인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을 보였으며 학업 성취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향상을 보였다(p<0.05). 회귀분석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관련 변수들의 모델 설명력은 41.1%로 높았으며 연령과 수시시험이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학습자를 둘러싼 환경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와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질 때 자기주도학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기과목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이끌어내고 싶은 교수자나 수업설계자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버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의 매개효과 (Effects of Cyber Universities' Career Maturity on Academic Stress : Mediator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 김현아;이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86-496
    • /
    • 2014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가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생 5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8.0을 통해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성숙도는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학업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는 진로성숙도와 학업스트레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 박안나;정경희;김원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16
  • Purpose: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an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8 nurs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0.0 PC program. Result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ure correlations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9,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54,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nurse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wa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llowed by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beta}=.25$, p=.003), work department (${\beta}=.19$, p=.001), total clinical career (${\beta}=.19$, p=.003), and position (${\beta}=.12$, p=.040), and these factors explained 43.8% of the varia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apply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individual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urthermore, exploration is needed on ways to enhance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Perceived Usefulness for Each Element of Flipped Learning

  • KIM, Minjeong;CHOI, Dongye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9권1호
    • /
    • pp.123-15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DLR) on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for each elements of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ir SDLR scores, 69 students were assigned to a high SDLR group and a low SDLR group. Academic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completion rate of a pre-class online learning and the final exam score, and perceived usefulness for each element of flipped learning was measured by a survey designed by the researcher. For academic performance, the high SDLR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ompletion rate than the low SDLR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ir final exam scores. Students in the high SDLR group perceived in-class student-centered activities as more useful than those in the low SDLR group. Additional qualitative analyses indicated that students needed more support from instructors and well-prepared peer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examination on the various learning characteristics that may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should be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