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iv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선택적 유산술에 의한 쌍태임신의 예후에 관한 연구 (Outcome of Twin Pregnancies after Selective Fetal Reduction)

  • 서성석;조미영;김미란;황경주;김영아;유희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1호
    • /
    • pp.85-93
    • /
    • 2003
  • Objective :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selective fetal reduction (SFR) and compare the outcome of twin pregnancy after SFR in multiple pregnancy induc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with that of natural twin pregnancy. Methods : From September 1995 to March 2002 in Ajou University Hospital, SFR was performed in 79 patients whose gestational sacs were more than 3. Of these 79 patients, 47 patents resulted in twin pregnancy after SFR. SFR was performed using transvaginal intracardiac KCl injection at gestational age of $6{\sim}9$ weeks.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264 patients with natural twin pregnancy, who delivered after intrauterine pregnancy at 24 weeks, from June 1994 through December 2002. We compared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between SFR group and natural twin group. Results: Among 47 patients with twin pregnancy after SFR, 2 spontaneous abortion were occurred at intrauterine pregnancy at 8 and 19 weeks. Obstetrical and perinatal outcomes were available in 43 patients. Single intrauterine fetal death was occurred in 1 of 43 (2.3%) patients in SFR group. Incidence of preterm labor,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eeclampsia and placenta previa were similar, but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wa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SFR group (3 (7.0%) vs 4 (1.5%), p=0.02). Mean gestational age, mean birth weight, incidence of discordancy, use of intubation and ventilation, incidence of fetal anomaly, low (<7) Apgar score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ere similar in both groups. Conclusion: Twin pregnancy after SFR has the increased incidence for GDM but other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 was similar compared with natural twin pregnancy. So SFR i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so we suggest SFR is needed in multifetal pregnancy more than triplet.

쌍생아 임신의 융모막과 주산기 결과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chorionicity in Twin Gestations)

  • 최은진;윤현진;허재원;홍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67-74
    • /
    • 2008
  • 목 적 : 융모막의 종류에 따른 주산기에 미치는 영향과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의 주산기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에서 재태 연령 12주에서부터 분만과정까지 산전 진찰을 받고 분만을 한 단일 융모막 산모 99명, 이 융모막 산모 206명, 그리고 이들에게서 태어난 188명의 단일 융모막 쌍생아와 411명의 이 융모막 쌍생아를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병력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의 빈도 및 융모막 종류에 따른 주산기 영향 및 신생아 이환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단일 융모막군은 이 융모막군보다 재태 연령이 작고(35.7 vs 36.6, P=0.03) 태아 사망이 많았다(10% vs 1.5%, P<0.001). 그리고 단일 융모막군의 선택적 발육부전이 이 융모막의 선택적 발육부전보다 태아 사망이 높았다(19% vs 2.5%, P=0.025).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쌍생아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이 융모막 쌍생아보다(31% vs 16%, P=0.042) 빈도가 높았다. 그리고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7% vs 0%; P=0.031), Surfactant를 투여한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27% vs 11%; P=0.049)의 빈도가 높았다. 단일 융모막군에서 선택적 자궁 내 발육지연의 빈도는 21%였고 태아 간 수혈 증후군의 빈도는 9%이었다. 일측성 태아 사망은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에서는 9명중 6명(67%)이고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에서는 21명중에 4명(19%)으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신생아실에 입원한 빈도는 쌍태아 간 수혈증후군에서 92%, 선택적 태 아발육부전에서 42%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의 2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입원기간 또한 유의하게 길었다(P=0.033). 그리고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 및 뇌실 내 출혈빈도인 경우에도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이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각각 P=0.011, P=0.007). 결 론 : 쌍태아 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에서 신생아의 합병증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