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length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28초

자외선-B 증가에 따른 소나무 유묘의 생장 단계별 생장 반응 (Growth Responses at Different Growth Stage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to Enhanced Uv-B Radiation)

  • 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00
  • 본 연구는 소나무(Pinus densifora S. et Z.) 유묘의 발아전 단계, 자엽 단게 및 1차엽 발생후 단계 등 각각의 생육단계에서의 UV-B 증가 환경에 노출될 때의 생장반응을 탐구하고자 16주 동안 3수준의 UV-B(ambient UV-BBE, ambient + 3.2, ambient + 5.2 KJm-2s-1) 조사량이 설치된 야외 포장에서 실시되었다. UV-B 조사에 의하여 소나무 유묘의 수고생장, 근원경생장 및 건물생산량은 감쇠되었으며 T/R율은 증가하였다. 유묘에 대한 UV-B 처리시작 단계 차이에 따른 생장차이도 관찰되었는데, ambient +3.2 처리구내에서 보면 발아전 단계부터 UV-B 처리를 받은 유묘의 수고생장 및 근원경생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주 수준의 UV-B 증가 처리구에서 모두 자엽단계부터 처리를 잗은 유묘의 건물생산량이 각 처리구내에서 가장 낮앗다. 한편 UV-B 증가에 의해 소나무 유묘 침엽의 엽롭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엽록소 a/b율은 증가하였다.

  • PDF

근권부 국부 냉방이 토마토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zone Local Cooling on Seedling Growth of Tomato)

  • 김은지;황현승;주세훈;나해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6-291
    • /
    • 2022
  • 본 연구는 근권부 냉방이 토마토 육묘 시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생장상 하부 파이프 냉방을 이용하여 근권부 온도를 20℃와 25℃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 생육기간동안 초장, 근장, 엽수는 두 온도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록소 함량은 파종 28일 경과 시 25℃ 처리구가 더 높았으며, 실험 종료 시 두 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근권부 온도 20℃와 25℃에서 토마토 생육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온기 토마토 묘 생산 시 온실 냉방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국부 냉방 기술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황벽나무의 종자발아(種子發芽)와 묘목생장(苗木生長) 및 적정생육밀도(適正生育密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Seed Germination, Seedling Grwoth and Optimal Seedling Density of Phellodendron amurense Rupr. in Nursery)

  • 구관효;이강영;윤기식;이총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43-449
    • /
    • 1997
  • 약용(藥用) 수종(樹種)으로 이용가치(利用價値)가 높은 황벽나무의 효과적인 번식법(繁殖法)을 구명하기 위하여 종자(種子) 발아(發芽) 촉진(促進) 처리법(處理法), 묘목(苗木) 생장(生長) 및 적정(適正) 생육(生育) 밀도(密度)를 조사하였다. 시험용 종자는 황벽나무 자생지(自生地)인 지리산 동부 지역에서 1995년 10월 하순에 채취(採取)하였다. 채취한 종자는 정선(精選)한 후 기건저장(氣乾貯藏), $4^{\circ}C$ 냉장고에서 냉습적(冷濕積) 처리(處理), Pon-Pon 50배액과 $H_2O_2$ 20% 용액에 처리(處理)하여 노천매장(露天埋藏)(128일간(間))을 하였다가 익년 3월 30일 시험포지(試驗圃地)에 파종(播種)하였다. 생육(生育) 밀도(密度) 처리구(處理區)는 $1m^2$당(當) 53본(本), 104본(本), 220본(本), 380본(本)씩 생립(生立)시켜 관리(管理)하였다. 그리고 종자(種子) 발아(發芽) 촉진(促進) 처리구(處理區)와 생육(生育) 밀도(密度) 처리구(處理區)별 생장량(生長量)은 발아(發芽) 생장(生長)한 묘목(苗木)에 대하여 월 2회(回)씩 묘고(苗高) 생장량(生長量)을 조사하였다. 묘목(苗木)의 생장은 묘고(苗高), 근원직경(根元直經), 뿌리길이 그리고 T/R율(率)을 조사 분석하였다. 종자(種子) 발아(發芽) 촉진(促進) 처리구별(處理區別)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은 Pon-Pon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이 68.8%로 가장 양호하였다. 실생묘(實生苗)의 년(年) 생장(生長) 기간(期間) 중에서 가장 왕성(旺盛)한 생장(生長)을 보인 기간(期閒)은 6월 12일부터 7월 8일 사이와 7월 20일부터 8월 2일 사이로 당년(當年) 총(總) 생장량(生長量)의 72.8%가 신장(伸長)하였다. 실생묘(實生苗)의 생육밀도별(生育密度別) 묘목(苗木)의 생장량은 생립본수(生立本數)가 증가(增加) 할수록 저하(低下)하였다. $1m^2$당(當) 적정(適正) 생육(生育) 본수(本數)는 104본(本)이었으며, 산출묘(山出苗)의 규격(規格)은 묘고(苗高) 55cm, 근원직경(根元直經) 8.1mm, 뿌리길이 21cm 이상(以上)으로 정(定)하는 것이 적정(適正)한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Potential of Epicoccum purpurascens Strain 5615 AUMC as a Biocontrol Agent of Pythium irregulare Root Rot in Three Leguminous Plants

  • Koutb, Mostafa;Ali, Esam H.
    • Mycobiology
    • /
    • 제38권4호
    • /
    • pp.286-294
    • /
    • 2010
  • Epicoccum purpurascens stain 5615 AUMC was investigated for its biocontrol activity against root rot disease caused by Pythium irregulare. E. purpurascens greenhouse pathogenicity tests using three leguminous plants indicated that the fungus was nonpathogenic under the test conditions. The germination rate of the three species of legume seeds treated with a E. purpurascens homogenat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seeds infested with P. irregulare. No root rot symptoms were observed on seeds treated with E. purpurascens, and seedlings appeared more vigorous when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A significant increase in seedling growth parameters (seedling length and fresh and dry weights) was observed in seedlings treated with E. purpurascens compared to pathogen-treated seedlings. Pre-treating the seeds with the bioagent fungus was more efficient for protecting seeds against the root rot disease caused by P. irregulare than waiting for disease dispersal before intervention. To determine whether E. purpurascens produced known anti-fungal compounds, an acetone extract of the fungus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The extract revealed a high percentage of the cinnamic acid derivative (trimethylsiloxy) cinnamic acid methyl ester. The E. purpurascens isolate grew more rapidly than the P. irregulare pathogen in a dual culture on potato dextrose agar nutrient medium, although the two fungi grew similarly when cultured separately. This result may indicate antagonism via antibiosis or competition.

Effect of Deep Sea Water on Seed Germination,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Buckwheat Species

  • Briatia, Xoxiong;Hong, Soon-Kwan;Sung, In-Je;Chang, Kwang-Jin;Park, Byoung-Jae;Park, Cheol-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3-328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potential use of deep sea water to stimulate seed germination in both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Treatment of 10% deep sea water at $25^{\circ}C$ would slightly enhance germination of buckwheat seeds compared to non-DSW treatment and other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significant effects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seedling growth were also found in the HL treatment for the number of leaf, plant height, and plant fresh weight and LL treatment for root length and leaf size. Common buckwheat (Suwon No.1) showed higher rate (93%) of flowering plants in the HS and LL (93% of flowering rates) than those revealed in the HS and LS treatment, while the low percentage(67%) of plant flowering plants was shown in the LS treatment. All plants (100%) of a Korean landrace, Ahndong-jaerae showed flowers in the HS and LS treatment. HL and LL treatment status did not occur in the plant's flowering. Any Tartary buckwheat (KW45) plant did not yet flowered when it was 21 days-old.

Effect of Organic Materials on Seedling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

  • Seo, Y.W.;Yang, S.K.;Kim, Y.S.;Lim, K.H.;Kim, H.J.;Choi, K.J.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10-213
    • /
    • 2011
  • In this study, growth of pepper seedlings was tested by treating organic materials in a plastic green house in Ssangok-ri Dogok-myeon, Hwasun-gun, Jeollanam Province from February 3, 2010 to April 19, 2010. The raised seedlings were planted to the organic planting area with an interval of $70cm{\times}55cm$ on April 20 in Deogam-ri Gogeum-myeon Wando-gun and red peppers were harvested at 7 times from July 22 to September 29. Before planting, the plant length of the overgrowth of seedlings was reduced by 26.8% using plant powder treatm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d pepper yield was 27%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n 20g of bone ash powder and 20g of plant powder were mixed. The yield tended to increase in other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벼 담수표면산파 시 입모밀도에 따른 시비 조절이 분얼발생,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pplication Level According to Seedling Density on Tiller Development, Yield and Quality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 정남진;김정일;박정화;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52-57
    • /
    • 2006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입모수가 적정입모수(120개/$m^2$)보다 적은 과소구를 60개/$m^2$, 적정입모수보다 많은 과다구를 200개/$m^2$로 설정하여, 과소구의 경우 3엽기에 4 kg/10a의 질소를 추가 시비하여 분얼발생을 촉진시키고 과다구에서는 5엽기에 시용하는 분얼비 3.3 kg/10a의 질소시비를 생략하여 분얼을 억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개체별 최고분얼수는 적정구가 9.8개인데 비하여 과소구는 15.2개, 과다구는 8.6개이었으며, 개체별 유효분얼수는 적정구가 3.7개, 과소구가 6.5개, 그리고 과다구가 2.4개로 입모가 과다할수록 개체당 분얼수가 줄어들고 유효경비율이 낮아졌다. 2. 분얼발생 양상은 입모밀도에 관계없이 주간 3절위에서 첫 번째 1차 분얼이 발생하였으며, 유효분얼은 과소구, 적정구, 과다구에서 각각 6.5개/plant, 3.7개/plant, 2.4개/plant 발생하였다. 3. 입모과소구의 벼 개체내에서 분얼의 발생 순서와 간장, 수장, 무효분얼수, 수당립수, 임실율은 부의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적정 입모밀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입모과다구에서는 분얼발생순서와 수장, 무효분얼, 완전미율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현미외관 특성은 입모 과소구가 적정구나 과다구 보다 청미발생이 적어서 완전미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다구와 적정구의 경우에는 1차 분얼에서 청미발생이 과소구보다 15-20%정도 높게 나타났다. 5. 쌀 수량은 적정구가 494 kg/10a인데 비하여 과소구는 적정구의 99%, 과다구는 적정구의 97%의 수량이 확보되었다.

Seasonal growth and reproductive status of Grateloupia subpectinata (Rhodophyta) on the east coast of Korea

  • Adharini, Ratih Ida;Kim, Joon;Kandasamy, Ganesan;Kim, Hyung Ge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13.1-13.8
    • /
    • 2016
  • Reproductive phenological pattern on tetrasporophytes and carposporophytes of Grateloupia subpectinata thalli were observed at Yangyang, on the middle east coast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3. DNA sequences of cox1 gene from 48 selected samples were compared to assure that sample collection is single species, and they were all identical G. subpectinata. Density, length and width of thalli were significantly changed monthly. The maximum of density, length and fresh weight occurred in September, and continuous growth was observed during the autumn and winter. Tetrasporophytes were grown dominantly in October and November, whereas carposporophytes were dominated in September and March. Upright thalli disappeared in June and July and then juveniles were abundant in Augu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etrasporophytes and carposporophytes. These reproductive pattern and seasonality together with phenological data of G. subpectinata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successful seedling supply for aquaculture of the species in the future.

Substrate Selection for Larval Settlement and Spat Growth in the Purple Clam, Saxidomus purpuratus (Sowerby) in Laboratory Culture

  • 이창훈;한기명;최진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5-7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ubstrate for larval settlement and spat growth in the purple clam, Saxidomus purpuratus in laboratory culture. Larvae were reared with 3 different types of sediments (mud, sand, and mixed) for 46 days in settlement experiment, and settled spats were further grown in 3 types of sediments for 36 weeks in growth experiment. The density of settled spats in muddy sediments was more than 2 times higher than those in mixed or sandy sediments. But, the average size of settled spats in muddy sediments was smaller than those in mixed or sandy sediments. After 36 weeks of growth period, growth rate decreased as shell length increased. When shell length was less than 2 mm, growth rate in mixed sedim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andy sediments. When shell length was more than 2 m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rate among different substrates. Sediment type affected growth rate only when the spats were relatively small (less than 2 mm). Muddy sediments seems better for larval settlement, while mixed sediments is best for spat growth. We suggest the laboratory procedure for enhancing seedling production of S. purpuratus.

  • PDF

고온기 육묘에서 유묘의 저온처이기간이 꽃도라지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Flowering of Eustoma grandiflorum as affected by Duration of Seedling Storage at 1$0^{\circ}C$)

  • 강종구;이범선;정순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9-115
    • /
    • 1998
  • 본 실험은 꽃도라지의 고온기 육묘시 유묘의 저온처리기간에 따른 정식 후 생장과 개화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엽이 4매 전개된 유묘를 1$0^{\circ}C$의 인큐베이터에 각각 2, 3, 4, 5주 동안 저장하였다. 비교를 위해 저온저장하지 않은 식물체와 각각의 기간동안 저온처리된 식물체는 최저 야온 12~13$^{\circ}C$, 자연일장 조건의 유리온실에 정식하여 관리하였다 아즈마설과 아즈마훈 품종의 경우 경경과 엽수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초장 절간장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4주동안의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4주 동안의 저온처리는 꽃의 무게와 직경의 크기를 증가시켰으며 개화소요일수도 무처리구와 2주 처리구에 비해 20일이 단축되었다. 아즈마조 품종의 지상부생육은 4주 동안의 저온처리구에서 증가되었으며 꽃의 품질도 향상할 수 있었다. 개화소요일수는 4주 동안의 저온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31일 2주 처리구보다는 36일이 단축되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 결과 꽃도라지 아즈마설, 아즈마혼, 아즈마조 품종의 고온기 육묘시 유묘의 최적 저장 조건은 1$0^{\circ}C$에서 4주간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