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development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 of seeding depth on seedling growth and dry matter partitioning in American ginseng

  • Proctor, John T.A.;Sullivan, J. Al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254-260
    • /
    • 2013
  • Greenhouse and field experiments wi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stratified seed sown at depths of 10 to 100 mm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s of seeding depth on seedling emergence, growth and development and to calculate optimum seeding depth. The time to 50% seedling emergence ($E_{50}$) in the field increased linearly from 17 d at 20 mm seeding depth to 42.5 d at 80 mm. Seedling emergence and root weight (economic yield) at the end of the first year each increased quadratically with the increase of seeding depth. Maximum emergence and root yields were produced at sowing depths of 26.9 and 30.6 mm respectively. In a greenhouse pot experiment, increasing seeding depth from 10 to 100 mm increased partitioning of dry matter to leaves from 23.6% to 26.1%, to stems from 6.9% to 14.2%, and decreased dry matter to roots from 69.5% to 59.7%. Optimum seeding depth was 31.1 mm for a corresponding maximum root weight of 119.9 mg. A predictor equation [X (seeding depth, mm)=Y (seed weight, mg)/9.1+20.96] for seeding depth for ginseng, based on data for ten vegetable crops, their seed weights and suggested seeding depths, predicted a seeding depth of 28.3 mm for ginseng similar to that reported above for most pot and field experiments.

산지 반양직묘포에서 육묘방법 및 - 묘삼 생산실태 (Yields of Ginseng Seedlings and Cultivation Methods in Ban-Yang-Jik (Semimodified Soil) Nursery)

  • 이종출;안대진;변정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68-75
    • /
    • 1988
  • 산지 반양직묘포 29개포장을 대상으로 육묘방법 및 묘삼생산량을 조사하고 그들 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용가능묘삼수는 간($180{\times}90$)당 362본, 전묘삼수에 대한 사용가능묘삼수비율(사용가능묘삼비율)은 45%였으며 농가간에 그들의 변이가 심했다. 2. 반양직묘포에서의 사용가능묘삼량은 중량미달묘삼량과 달랭이 묘삼량에 지배되었다. 3. 달랭이 묘삼비율은 상고 및 관수회수와 부의 상관이 각각 인정되었다. 4. 사용가능묘삼비율은 일복의 전.후주 높이와 곡선상관, 일복폭과 부의 상관, 관수회수와는 정의 상관이 각각 인정되었다.

  • PDF

플러그묘 취출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Pick-up Device for Plug-Seedlings)

  • 최원철;김대철;김경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15-422
    • /
    • 2001
  • A seedling pick-up device for vegetable transplanters was developed and its work performance was evaluated at the laboratory. The pick-up device extracts seedlings from a 200-cell tray of seedlings and transfers them to the place where they are to be transplanted into the soil. The device consists of a path generator, pick-up pins and a pin driver. The path generator is a five-bar mechanism comprised of a fixed link, a driving link, a driven link, a connecting link and a slider. The slider is constrained to move along the driven link and a fixed slot of combined straight-line and circular paths. The connecting link joins the driving link and the slider. When the slider moves along the straight-line path of the slot it takes seedlings out from the cell and transfers them to the transplanting hopper when moving along the circular path. A proto-type of the pick-up device was built and tested under the various operational conditions such as age of seedling, approach direction and penetration depth of pins to the cell, holding method of seedling and extracting velocity. The device extracted 30 seedlings per minute with the maximum success ratio of 97% using the seedlings of 23 days old. Some design details were also discussed and suggest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 PDF

Relationship between Plastochrone and Development Indices Estimated by a Nonparametric Rice Phenology Model

  • Lee, Byun-Woo;Nam, Taeg-Su;Yim, Young-S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9-153
    • /
    • 1999
  • Prediction of rice developmental stage is necessary for proper crop management and a prerequisite for growth simulation as well.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stochrone index(PI) and the developmental index(DVI) estimated by non-parametric phenology model which simulates the duration from seedling emergence(DVI=0) to heading(DVI=l) by employing daily mean air temperature and daylength as predictor variables, and to confirm the correspondency of developmental indice to panicle developmental stages based on this relationship. Four japonica rice cultivars, Kwanakbyeo, Sangpungbyeo, Dongjinbyeo, and Palgumbyeo which range from very early to very late in maturity, were grown by sowing directly in dry paddy field five times at an interval of two weeks. Data for seedling emergence, leaf appearance, differentiation stage of primary rachis branch and heading were collected. The non-parametric phenology model predicted well the duration from seedling emergence to heading with errors of less than three days in all sowings and cultivars. PI was calculated for every leaf appearance and related to the developmental index estimated for corresponding PI. The stepwise polynomial analysis produced highly significant square-rooted cubic or biquadratic equations depending on cultivars, and highly significant square-rooted biquadratic equation for pooled data across cultivars without any considerable reduction in accuracy compared to that for each cultivar.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is equation in predicting the panicle developmental stage, DVI at differentiation stage of primary rachis branch primordium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PI with 82 corresponding to this stage, and the duration reaching this DVI from seedling emergence was estimated. The estimated duration revealed a good agreement with that observed in all sowings and cultivars. The deviations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observed were not greater than three days,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was not found for predicting this developmental stage between those equations derived for each cultivar and for pooled data across all cultivars tested.

  • PDF

저년생 인삼의 잠아 및 화서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rulation of Dormancy Bud and Inflorescence in Young Ginseng Plant)

  • 안상득;김요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11-117
    • /
    • 1987
  • 저년생 인삼의 잠아 및 화기형성시기와 양상은 고년생 인삼의 이차적인 양상과 상이하기 때문에 1년생 묘삼의 잠아발달 및 다식된 2년생 인삼의 화기형성과정을 조사관찰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년생 이상의 인삼 잠아조직은 4월중순경 분제조직의 조기포분제로 시작하는데 1년생 묘삼에서는 유근발근시인 3월 하순경 시작하는 것으로 추측되었으며 잠아의 위치는 자엽간 줄기하단 문부위에 생성되었다. 2. 3년생 이상의 인삼 화기분화는 전년도 형성된 뇌두조직내에서 형성되지만 2년생 인삼의 화기는 줄기선단 엽병사이의 경단분제조직에서 분제세포의 분열과 함께 분화, 형성되었다.

  • PDF

광도(光度)와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 및 Alpov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접종(接種)이 루브라 오리나무 묘목내(苗木內) 삼자공생관계(三者共生關係) 발달(發達)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ight and Inoculation of Frankia and Alpova diplophloeus on the Tripartite Symbioses Development in Alnus rubra Bong. Seedlings)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306-318
    • /
    • 1995
  • 광결핍(光缺乏)과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 그리고 Alpov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이 루브라 오리나무(Alnus rubra Bong.) 묘목의 생장, 공중질소고정(空中窒素固定), 균근발달(菌根發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묘(播種苗)에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을 접종하거나 질소(窒素)를 시비(施肥)하고, 또는 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 포자(胞子)를 접종하여 여과된 공기로 순환시키는 인공생장실에서 길렀다. 20주가 지난 묘목을 3 수준의 광도(光度) 680, 320, $220{\mu}mol/m^2/s$ PPFD(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에서 3주일 동안 기른 결과, 광도(光度) 220 PPFD에서는 균근(菌根)과 뿌리흑의 발달, 광합성(光合成) 및 질소고정(窒素固定)속도 그리고 식물생장량이 감소하였고, 320 PPFD에서는 광합성(光合成) 속도만이 감소하였다. Frankia로 접종된 묘목은 질소(窒素)가 시비(施肥)된 묘목보다 균근형성율(菌根形成率)과 묘목생장율이 높았다. A. diplophloeus 포자(胞子)를 접종된 묘목은 비접종보다 생장율은 높았으나 뿌리혹은 발달과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두 공생균(共生菌)이 묘목의 광합성(光合成)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 diplophloeus 균근균(菌根菌)이 묘목의 생장과 뿌리혹 발달에 기여하는 것 보다는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이 묘목의 생장과 균근(菌根)발달에 더 크게 기여하였다.

  • PDF

플러그묘 정식시 정식기의 호퍼 크기, 토양수분, 초기관수량 및 진압방법이 작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opper of the Plug Transplanter and Moisture Content, Compaction Method, and Initial Irrigation of the Soil on the Seedling Survival rate at Transplant of Plug Seedling)

  • 문성동;민영봉;박중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8-263
    • /
    • 1997
  • 정식기에 의한 플러그묘 정식시 최적활착을 나타내는 관수량, 진압상태 등을 구명하여 관련정식기 개발과 최적 생육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기초시험과 포장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별 정식 성공률은 정식호퍼 크기별로는 유의성이 없으며, 작물의 초장과 관련이 크며, 반자동 정식기의 최대 정식가능초장은 30cm, 최적초장은 28cm 이내로 조사되었으며, 고추와 배추 공히 정식시 관수 작업을 실시하려면 큰 규격의 호퍼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정식 후 10일이 지난 상태에서 플러그묘의 생존율은 토양수분에 의한 영향이 크며, 고추의 경우 15%이상의 토양수분에서는 98%이상의 생존율을 보였고, 배추의 경우 16% 이상의 토양수분에서는 96%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고추와 배추를 심은 토양이 거의 완전 건조한 상태인 3.8%, 3.1% 각각의 토양수분에 대하여 15%와 14%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토양수분 18% 이상에서는 정식시 관수가 필요 없고, 13%에서는 50cc 이상 관수가 필요하며, 토양의 수분이 3.8%이하일 때는 100cc 이상 초기관수 후 3일 내에 재관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좌우진압, 전후좌우진압의 생존율 차이는 없었으므로 현재의 반자동정식기 진압방식(좌우진압)의 개선은 필요하지 않았다.

  • PDF

과채류 공정 육묘시 플러그 및 원통형 종이포트 육묘시스템 간의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ruit Vegetable Seedlings Grown on Cylindrical Paper Pot Trays of Plug Trays)

  • 장동철;권용우;최기영;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1-390
    • /
    • 2018
  • 본 실험은 기존의 플러그 육묘 시스템과 원통형 종이 포트 시스템을 상호비교하여 주요 과채류 육묘의 생육 특성을 검토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장, 엽면적, 경경, 생체중 등의 지상부 생육은 토마토, 오이, 수박 모두 원통형 종이포트와 플러그 트레이 간의 차이가 없었다. 총 근장은 토마토와 오이는 육묘초기, 수박은 전 기간동안 플러그 트레이가 원통형 종이포트에 비해 길었다. 뿌리의 직경별로 각 뿌리의 길이를 구분한 결과, 토마토는 시험구간 차이가 없었지만 오이와 수박은 모든 굵기의 뿌리에서 플러그가 종이포트에 비해 20~251% 길었다. 토마토 뿌리의 생체중은 육묘기는 플러그 트레이가 원통형 종이포트에 약 30% 무거웠지만 생육이 진전될수록 차이가 감소하였고, 정식 이후는 시험구간 차이가 없어졌다. 오이 뿌리의 생체중은 육묘기부터 정식 이후까지 플러그묘가 약 20~30% 무거웠고, 정식 이후 까지도 생육이 진전될수록 차이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박은 육묘기부터 정식 7일후까지는 원통형 종이포트 묘의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이 무거웠지만, 정식 7일 이후부터 역전되었다. 결론적으로 원통형 종이포트 묘와 플러그 트레이 묘의 지상부 생육은 전반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지하부 생육은 플러그묘의 생육량이 많았다.

고온 및 저온에서 육묘된 파프리카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초기 생육 반응 (Qualities and Early Growth Responses of Paprika Seedlings Grown in High and Low Temperatures)

  • 조윤희;김치선;김정만;구양규;김호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19-72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온 및 저온의 육묘 온도가 파프리카 묘의 소질 및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육묘 온도는 다용되고 있는 $23^{\circ}C$를 대조구로 하여 고온을 $31^{\circ}C$, 저온을 $15^{\circ}C$로 처리하였다. 육묘 온도에 따라 자란 묘의 초장, 줄기직경, 생체중, 건물중, 엽수, 엽면적 등은 $15^{\circ}C$$31^{\circ}C$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그 묘들의 정식 4주 후 식물체 특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 대비 $15^{\circ}C$$31^{\circ}C$ 처리구의 단위 시간 당 건물중 및 엽면적의 증가 속도는 육묘 기간보다 정식 후에 크게 높아졌다. 정식 후 4주 간 자란 $15^{\circ}C$$31^{\circ}C$ 처리구의 식물체의 작물생장속도와 엽면적지수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상대생장율과 순동화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15^{\circ}C$처리구의 정식 후 생장 속도 및 순동화율의 증가는 정식 후 정식 전에 비해 크게 높아진 광합성 능력에서 기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파프리카의 저온 및 고온 육묘온도는 묘 및 정식 후 식물체의 생육을 저하시켰다. 그리고 정식 후의 식물체의 회복 속도는 $31^{\circ}C$보다 $15^{\circ}C$에서 육묘된 묘에서 빨랐다.

수도상자육묘용(水稻箱子育苗用) 전용복합비료(專用複合肥料) 개발연구(開發硏究) II. 비효시험(肥效試驗)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ompound Fertilizer for Raising Rice Seedling in Trays for Machine Transplanting II.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for Raising Rice Seedling in Trays)

  • 최두회;육창수;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9-203
    • /
    • 1990
  • 1. pH가 6.4인 상토(床土)에 복비시제품(複肥試製品) 시용(施用)으로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의 상토(床土) pH가 4.0~5.4로 유지(維持)되었다. 2. 복비시제품구(複肥試製品區)의 묘생육상황(苗生育狀況)은 단비구(單肥區)에 비(比)하여 건물중(乾物重)과 엽수(葉數)가 많았으며 건물중(乾物重)/초장비(草長比)도 높았고, 묘립고병(苗立枯病)의 발생률(發生率)도 적었다. 3. 묘(苗)의 무기성함량(無機成分含量)은 생육기간(生育初期)에는 단비구(單肥區)에 비하여 복비시제품구(複肥試製品區)가 다소 낮았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는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4. 복비시제품(複肥試製品)을 1회(回) 전량기비(全量基肥)로 시용(施用)하여 성력재배(省力化栽培)가 가능(可能)하였고, 건묘(健苗)를 육성(育成)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