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tuber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7초

태음인(太陰人) 마황정천탕(麻黃定喘湯)의 기원, 변천과정 및 구성 원리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s, Changes, and Constructive Principle of Mahwangjeongchun-tang)

  • 안순형;오현주;신승원;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30
    • /
    • 2022
  • Objectives This paper was aimed to review the preceding research on the origins, changes and constructive principle of Mahwangjeongchun-tang. Method Based on Jema Lee's works such as Dongyisusebowon and Dongmuyoogo, we analyzed contents related to Mahwangjeongchun-tang and its modification. Moreover, we reviewed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ecularities of Taeeumin symptomatology and applied the theory to induce the principle of the modified Mahwangjeongchun-tang in Sasang medicine. Results and Conclusion 1) The origins of Mahwangjeongchun-tang might be Mahwang-tang, Jungchun-tang and Saengmaek-san. 2) Mahwangjeongchun-tang had been changed in composition when it moved from Manbyonghoichun to Dongyisusebowon. 3) Mahwangjeongchun-tang consists of a) Platycodi Radix (桔梗), Liriopis Tuber(麥門冬) and Scutellariae Radix(黃芩)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enhance lung function, b) Ephedra Sinica(麻黃) which affects circulation of lung companion, c) Prunus Armeniaca(杏仁) and Ginkgo Biloba(白果) which affect wiwan's upward circulatory force, d) Radish Seed (蘿葍子) which affects small intestine's digesting effect, e) Mori Cortex Radicis(桑白皮) and Farfarae Flos(款冬花) which affect cough and asthma.

Diverse Mycena Fungi and Their Potential for Gastrodia elata Germination

  • Xiao-Han Jin;Yu-Chuan Wang;Dong Li;Yu Li;Hai-Yan He;Han-Bo Z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1249-1259
    • /
    • 2024
  • It remains to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and phylogenetic signals for the Mycena strains with seed germination of the orchid plant Gastrodia elata.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ty composition and phylogenetics of 72 Mycena strains associated with G. elata varieties (G. elata. f. glauca and G. elata. f. viridis) using multiple gene fragments (ITS+nLSU+SSU). We found that (1) these diverse Mycena phylogenetically belong to the Basidiospore amyloid group. (2) There is a phylogenetic signal of Mycena for germination of G. elata. Those strains phylogenetically close to M. abramsii, M. polygramma, and an unclassified Mycena had significantly higher germination rates than those to M. citrinomarginata. (3) The Mycena distribution depends on geographic site and G. elata variety. Both unclassified Mycena group 1 and the M. abramsii group were dominant for the two varieties of G. elata; in contrast, the M. citrinomarginata group was dominant in G. elata f. glauca but absent in G. elata f. viridi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numerous Mycena resources in the Zhaotong area varies by geographical location and G. elata variety. Importantly,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Mycena's phylogenetic status is correlated with its germination rate.

수경재배용 감자 배양액 개발 (Development of a Nutrient Solution for Potato (Solanum tuberosum L.) Seed Tuber Production in a Closed Hydroponic System)

  • 장동칠;김숭열;신관용;조영렬;이용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34-341
    • /
    • 2000
  • 감자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원시 표준액을 0.25, 0.5, 1.0 및 1.5배액 농도로 하여 재배하였을때, 생육과 수량이 0.5~1.0배액에서 가장 좋았기 때문에 감자의 양분흡수 특성에 적합한 농도로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표준액(1.0배액)에서의 양분흡수 특성에 따라 조성한 새로운 배양액의 이온조성은 복지 생장기에는 $14.4me{\cdot}L^{-1}\;N,\;4.2me{\cdot}L^{-1}\;P,\;7.5me{\cdot}L^{-1}\;Ca,\;3.5me{\cdot}$L^{-1}\;Mg$이며, 괴경 비대기는 $14.8me{\cdot}L^{-1}\;N,\;4.0me{\cdot}L^{-1}\;P,\;8.5me{\cdot}L^{-1}\;K,\;6.5me{\cdot}L^{-1}\;Ca$, and $3.0me{\cdot}L^{-1}\;Mg$이었다. 감자 수경재배용으로 개발된 배양액인 감자액의 적합성을 검정하고자 기존의 배양액인 일본원시액과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pH, EC 및 무기성분의 농도변화는 배양액의 종류보다는 주로 배양액의 농도와 생육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았지만, 복지 생장기에는 감자액 0.75배액에서, 괴경 비대기에는 감자액 0.5배액에서 안정적이었다. 생육과 수량도 감자 표준액에서 가장 높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 개발된 배양액은 기존의 일본원시액보다 감자 수경재배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감자 플러그묘 심지재배에서 심지수에 따른 상위급종서의 생산성 (Growth and Yield According to Wick Number Under Wick Culture System of Potato Plug Seedlings)

  • 강봉균;송창길;김찬우;박정식;문현기;오태수;오문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1-195
    • /
    • 2003
  • 심지재배방법을 이용하여 감자 상위급종서의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하고자 경삽플러그묘를 SP2, PP2 2종류의 배지와 5종류의 심지수(폭 1.5cm, 길이 40cm)를 처리한 스치로폼 베드(길이 51${\times}$폭 31.5${\times}$높이 20cm, $0.032\textrm{m}^3$)에 정식, 재배하여 배지의 물리성과 생육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확직후 총공극량은 SP2배지와 PP2배지간에 차이가 없이 83-85% 수준이었다. 가비중은 배지별로는 Jeju scoria가 혼용된 SP2배지가 0.27g$.$$\textrm{mL}^{-1}$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심지수간에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수확직후 배지내의 수분함유량은 SP2배지보다 PP2배지가 높았으며 심지수간에는 심지수가 많아질수록 55%에서 70%까지 함량이 많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3. 감자 지상부의 생육형질은 심지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1\textrm{m}^2$당 총서중과 괴경평균수량은 SP2배지와 PP2배지 모두 심지수 6개에서 가장 높았다.

Genetics, Agronomic, and Molecular Study of Leaflet Mutants in Mungbean(Vigna radiata(L.) Wilczek)

  • Soehendi, Rudy;Chanprame, Sontichai;Toojinda, Theerayut;Ngampongsai, Sumana;Srinives, Peerasak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93-200
    • /
    • 2007
  • Mungbean plants generally have a relatively close canopy, thus a large amount of self-shading can reduce yield due to poor light penetration. Modification of leaflet type can affect leaf canopy and could alter seed yield. Two multiple leaflet mutants were obtained from gamma-ray irradiation and used to study the mode of inheritance related to leaflet types and to evaluate their agronomic features. The cross between large-heptafoliate leaflet with small-pentafoliate leaflet mutants produce all $F_1$ plants with normal trifoliate leaflets. The $F_2$ plants segregated in leaflet size and leaflet number into a 9:3:3:1 ratio of large-trifoliate: large-heptafoliate: small-pentafoliate: small-heptafoliate plants, suggesting that independent loci control leaflet size and leaflet number. Regarding leaflet number, the $F_2$ population can be classified into normal-trifoliate, small-pentafoliate, large-heptafoliate, and small-heptafoliate at the dihybrid ratio of 9:3:3:1. The gene symbols $N_1,n_1$ and $N_2,n_2$ are proposed to represent leaflet number. Since no plant was found with large-pentafoliate leaflets, we hypothesize that the $N_2$ allele expresses pleiotropic effect on both leaflet number and leaflet size. Another possibility is that an additional locus with S and s alleles controls leaflet size and S is tightly linked with $N_2$. The effect of multifoliate leaflet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was evaluated in four mungbean families each with four leaflet isolines under three environments. Averaging across the families and environments, the normal-trifoliate and large-heptafoliate lines gave higher yield than small pentafoliate and heptafoliate ones. These two large leaflet lines also had higher leaf area per plant than the other multifoliate lines. Therefore, the mungbean lines with a greater leaf area, which were likely to intercept more sunlight, gave greater yield. Three AFLP markers that were found to be linked to number of leaflets per leaf, corresponded to the N1 allele of the smallpentafoliate parent.

  • PDF

유통 한약재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로서의 잔류농약에 관한 연구(I) (Monitoring Research for Residual Pesticides as Endocrine Disruptors in Natural Medicines (I))

  • 김도훈;김혜수;오미현;강인호;심영훈;황완균;명승운;최병기;조정희
    • 생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5-458
    • /
    • 2000
  • Research on pesticide residues as endocrine disruptors in natural medicines was initiated b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is year. We determined the presence and levels of certain pesticides in selected natural medicines. The natural medicines collected this year are Glycyrrhiza Root, Cinnamon Bark, Pueraria Root, Polygonatum Rhizome, Jujube, Schizandra Fruit, Lycium Fruit, Liriope Tuber, Eucommia Bark, Peony Root, Korean Angelica, Dioscorea Rhizome, Cnidium Rhizome, Cassia Seed, Platycodon Root, Comus Fruit, Mentha Herb, Epimedium Herb, Bupleurum Root, and Ginger, which have no data for pesticide residues and 192 samples of them were circulated in Korea, 28 samples were circulated in China. In order to analyze many pesticides in large number of samples we used simultaneous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by GC-ECD, which was followed by GC-MSD analysis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detected pesticide in each sample.

  • PDF

감자의 耐暑性 器內檢定 및 眞正種子의 器內塊莖形成體系 開發 (Development of In vitro Systems for Heat Tolerance Screening and Tuberization of True Potato Seeds)

  • 김현준;김화영;유승렬;김병현;김정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1-75
    • /
    • 1997
  • 감자 진정종자의 기내괴경형성을 이용한 내서성 계통의 조기선발체계 확립을 목표로 온도에 따른 기내괴경형성의 배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각 온도별, 배지별 괴경형성율을 보면 2$0^{\circ}C$에서는 DTO-33, 수미 두 품종 모두 BAP S mg/L + CCC, 500mg/L 처리에서 85%, 92%로 가장 높았으나, 온도가 올라갈수록 괴경형성률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3$0^{\circ}C$ 고온에서의 두 품종간 괴경형성률을 보면 비교적 내서성이 강한 DTO-33은 BAP 5mg/L + CCC 500mg/L에서 37%의 괴경형성을 보여 내서성이 강한 계통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진정종자의 기내괴경형성 배양체계 구명 시험에서는 계대배양을 하지 않을 경우가 계대배양을 할 경우보다 플라스크당 괴경수가 많았으며 계대배양 무처리, 4주간 단일처리구가 플라스크당 괴경수 10.6개로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계대배양과 단일처리를 하지 않은 무처리의 경우도 플라스크당 괴경수가 10.4개로 4주간 단일처리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괴경크기는 11.2mm로서 단일처리보다 나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진정종자를 발아배지에 접종하여 실생을 양성한 후 괴경형성배지로 교체하여 단일처리없이 암배양하므로 진정종자로부터 기내괴경형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재배방법(栽培方法)이 감자의 흑지병 발생(發生)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ultural Methods on Infection by Rhizoctonia Disease (Rhizoctonia solani $K\"{u}hn$) and Yield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 박천수;함영일;신관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1-255
    • /
    • 1987
  • 본(本) 시험(試驗)은 복토(覆土)깊이, 파종기(播種期), 최아방법(催芽方法) 및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가 감자흑지병발생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남작(男爵)(Irish Cobbler)과 수미(秀美)(Superior)를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복토(覆土) 깊이가 깊을수록 출아(出芽)가 늦어졌으나 이병률(罹病率)은 뚜렷한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수량(收量)은 10cm구(區)에서 증수(增收)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이병률(罹病率)은 4월 28일 파종구(播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5월(月) 이후(以後)의 파종간(播種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수량(收量)은 조기파종(旱期播種)인 4월(月) 2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낮았고 5월(月) 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았다. 3. 욕광최아처리구(浴光催芽處理區)에서 이병률(罹病率)이 가장 낮았고 수량(收量)은 가장 높았으며 무광최아(無光催芽)에서는 무최아(無催芽)보다도 이병률(罹病率)이 높았으며 수량(收量)은 낮았다. 4.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 후(後)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이병괴경(罹病塊莖)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지상부(地上部) 고사(枯死) 후(後) $6{\sim}15$일(日)까지는 괴경이병율(塊莖罹病率)의 증가폭(增加幅)이 컸으나 그 후(後)부터는 완만(緩慢)하였다. 5. 나작(男爵)은 수미(秀美)보다 경(莖)의 이병률(罹病率)은 높았으나 괴경이병률(塊莖罹病率)은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하수오(何首烏)의 품질인증(品質認證) 방안(方案) (Quilitative certificational plan of heshouwu)

  • 신미경;노성수;길기정;서부일;서영배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5-212
    • /
    • 2004
  • Now many sustitution and false articles is used in korea instead of heshouwu. To use heshouwu correctly, we will make a quilitative certificational plan of heshouwu to investigate all of lieraturea, records and documents. And we could reach conclusions as folloews. 1) Source of plant Heshouwu is a root tuber of a perennial herb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Family : Polygonaceae). 2) Harvest After planting 3-5 yaers, harvesting in an autumn, washin clean the mud, a big heshouwu cut off a half or section, dry in sunny place or at a little fire. When harvesting, we harvest only a big thing, a small thing transfer a field, after culturing of 1-2 years, harvest at big roots. Harvesting is done usually in an autumn after 3 years. When collecting a seed, we must harvest a heshouwu the next year. 3) Process We must process heshouwu at the decoction of black beans, heshouwu suck in the decoction of black beans, heat with steam in an iron pot. Black beans is used every 100 kg of heshouwu. 4) Quility (1) Funstional standards It is good that weight is heavy and outer skin is yellow-brown, section surface is light red color, powdery and has a figure such as clouds in section. (2) Physicochemical standards Heshouwu expesses a various chang of components in process of working. We think that it need to add a standard of detection about 2,3,5,4'-tetrahrdroxystilbene-2-O-${\beta}$ -D-glucoside in a current authentic document which is a water-soluble component of heshouwu. It must that Dry on loss is less than 14.0%, content of ash is less than 5.0%, Content of acid-nonsoluble ash is less than 1.5%, Content of extract is more than 17.0%. A fixed quantity of 2,3,5,4'-tetrahrdroxystilbene-2-O-${\beta}$ -D-glucoside is more than 1.0%. Contens of heavy metal has to detect less than 30 ppm and there is no reminding agriculural medince.

  • PDF

GM과 non-GM, 친환경작물의 공존을 위한 제도 보완의 필요성 (Consideration on coexistence strategy of GM with non-GM, environmentally friend crops in South Korea)

  • 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45-2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GM과 non-GM작물 특히 최근 들어 그 인증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작물과의 공존에 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국내의 현행 법령에 의하면, 친환경 농산물은 GM농산물의 혼입허용치를 3%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우수농산물의 경우 단계별 조사내용을 보면 "파종단계에서 GM종자를 포함하지 않을 것"을 명시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는 GM 작물의 상업적인 재배를 승인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 GM 벼, 배추, 감자, 들잔디 등의 환경위해성평가가 수행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농촌진흥청은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GM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전담할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산하 소속기관 및 대학교, 출연기관 등 11개 기관을 평가기관으로 지정하여 조만간 상업적인 GM작물의 재배를 승인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내의 친환경농산물의 인증기관은 2008년 8월 현재 34개 민간기관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 인증기관에서 부여한 친환경 인증 농산물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예로서 친환경곡류의 경우 1999년도에 비하여 2007년도에는 그 인증량이 100배 (유기농)에서 2,324배 (저농약)까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은 2007년도의 전체 곡류생산량에 비하여 약 6.4%를 차지하였다. 특히 감자와 고구마 등 서류의 경우는 전체 생산량의 약 24%가 친환경인증농산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GM작물의 상업적인 재배를 승인할 경우 기존의 국내 친환경농산물시장의 유통질서에 큰 혼란을 야기시킬 수 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저자는 아직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에 EU에서 제기한 GM과 non-GM 특히 유기 농작물과의 공존을 위한 제도 보완에 관한 제안서와 다양한 연구보고서들을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작물별로 친환경작물과의 구분 생산 유통을 위한 최소격리거리, 작부체계, 수확 및 포장시스템, 그리고 GM작물의 검출기법 표준화 등에 관한 상세한 실시요령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