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dispersio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1초

수소화 표면 개질이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의 분산 및 핵형성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genation surface modification on dispersion and nucleation density of nanodiamond seed particle)

  • 최병수;전희성;엄지훈;황승구;김진곤;조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39-244
    • /
    • 2019
  • 수소 분위기 열처리 및 수소 플라즈마 처리의 두 가지 수소화 표면개질을통해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의 분산 향상 및 평탄한 초미세 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 박막증착을 위한 핵형성 밀도 향상을 확보하였다. 수소화 처리 이후 나노다이아몬드 입자 표면의 탄소-산소 및 산소-수소 결합기가 탄소-수소 결합기로 전환되는 화학적 표면개질이 진행되었고 Zeta 전위가 증가하였다. 분산도 향상에 따라 나노다이아몬드 응집체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핵형성 밀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600℃,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 이후 나노다이아몬드 평균 입자 크기가 3.5 ㎛에서 34.5 nm로 크게 감소하였고, seeding 된 Si 기판 표면에서 ~3.9 × 1011 nuclei/㎠의 매우 높은 핵형성 밀도를 확보하였다.

Seed 레이저용 정상분산 영역에서 발진하는 간단한 구조의 이터븀 기반 모드 잠금 광섬유 레이저 (A Simple Yb-Doped Mode-Locked Fiber Oscillator under Normal Dispersion as a Seed Laser)

  • 김병권;주기남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05-811
    • /
    • 2014
  • In this investigation, we constructed and demonstrated a simple Yb-doped fiber laser, of which longitudinal modes are mode-locked without any additional devices to compensate the dispersion caused by optical components. Non-linear polarization rotation (NPR) was adopted for the mode-locking mechanism and a polarization controller (PC) was used for a kind of spectral filters to restrict the bandwidth for mode-locking. As the result, the laser was successfully operated as mode-locked with the repetition rate of 42.2 MHz and the spectrum was broadened up to approximately 16 nm at 1033 nm center wavelength when the laser was mode-locked. In this paper, the operation of the developed Yb-doped mode-locked laser is explained with the concept of Lyot filter realized by a PC, which enables mode-locking under normal dispersion. In the industrial applications, this laser can be used as a seed laser of the high power lasers for optical manufacturing.

중왕산 몇 활엽수 종자의 야생동물에 의한 2차 분산 (Secondary Dispersion of Several Broadleaved Tree Seeds by Wildlife in Mt. Jungwang, Pyeongchang-gun, Korea)

  • 김갑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4-70
    • /
    • 2013
  • 야생동물에 의한 활엽수 종자의 2차 분산율과 관련 야생동물을 확인하고자, 온대중부의 천연활엽수 혼효림이 분포하는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9월 하순에 4수종의 종자를 배열한 seed-tray를 설치하여 10월 하순까지 야생동물에 의한 2차 분산율과 야생동물을 3년간 조사하였다. 신갈나무 종자가 평균 87.2%의 2차 분산율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당단풍나무 종자 33.1%였으며, 고로쇠나무 종자 29.2%, 복장나무 종자는 13.6%로 2차 분산율이 가장 낮았다. 2차 분산도 신갈나무가 단풍나무류 세 수종보다 빠르게 진행되었다. 2차 분산에 관여하는 야생동물은 다람쥐(Siberian chipmunks)가 가장 빈번하게 방문하였고, 다음은 청설모(Korean squirrel), 멧돼지(Wild boar) 순이었으며, 드물게 방문한 종은 담비(Yellow-throated marten)였다. 신갈나무 종자는 대부분 멧돼지가 직접 소비하였거나, 다람쥐나 청설모 등이 물어가 소비하거나 분산저장한 것이라 추정된다. 대부분의 단풍나무류 종자는 직접 설치류들에 의해 소비되고 일부만 분산저장되는 것이라 추정된다. 야생동물의 포식과 분산저장으로 늦가을에 숲 바닥에 남아있는 건전종자는 거의 없었다. 연구 대상지에서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당단풍나무와 복장나무의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숲에 서식하는 멧돼지는 종자 포식자이며, 설치류는 종자 포식자 또는 분산자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야생동물에 의한 종자의 2차 분산율, 소비와 분산저장량 및 관련 야생동물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나노 사이즈 입자가 포함된 양극 활물질 함량에 따른 차량용 AGM 연축전지 성능 특성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GM lead acid battery with the content of positive plate incorporating nano-size additive material)

  • 임태섭;김성준;김상동;양승철;정연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3-130
    • /
    • 2020
  • AGM 연축전지(Absorbent Glass Mat Lead-Acid Battery)의 수명 특성을 결정짓는 양극 활물질(Active Material)의 주요 구성 결정인 4BS(Tetrabasic lead Sulfate)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4BS Nano Seed(NS)를 적용 중에 있다. 4BS NS 적용 시, 나노 입자 특성상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첨가제인 광명단(Red Lead)에 나노 입자의 4BS seed가 포함된 Incorporated Nano Seed(INS)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양극판 분석과 제품 성능을 평가하였다. INS 함량이 증가할수록 4BS 입자 크기는 작아지면서 균일해지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응 비표면적 증가에 따른 고율 방전 특성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극판 제조 공정에서의 개별 극판에 대한 입도 분포의 편차를 확인하기 위해, AGM 연축전지 200 대 대한 내부 저항 및 전압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제품 제조 공정 품질 편차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합공정에 따른 PBA/PMMA Composite Latex 모폴로지의 연구 (Morphology of Poly(butyl acrylaye)/Poly(methyl methacrylate) Composite Latex Prepared by 2-stage Dispersion Polymerization)

  • 이기창;최현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1호
    • /
    • pp.60-69
    • /
    • 2011
  • [ $2.1\;{\mu}m$ ]입자경의 단분산 PBA seed를 이용한 2단계 분산중합을 seeded batch process 와 seeded semi-continuous process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PBA/PMMA composite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Batch process의 경우 PBA/PMMA composite 입자의 모폴로지는 중합 분산매인 methanol/water 비와 중합 2단계에서의 PBA seed/MMA단량체의 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methanol/water 중합분산매중 물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중합 2단계에서 MMA단량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PBA와 PMMA간의 상분리현상이 심화되어 구형의 입자로부터 egg, snowman, confetti, peanut와 같은 비구형의 PBA/PMMA composite 입자들이 제조되었다. Semi-continuous process의 경우 단량체 부가시간을 조절함으로서 PBA/PMMA composite 입자의 모폴로지가 변함을 발견하였고 특히, 단량체의 결핍된 조건하에서 구형의 PBA(코어)/PMMA(쉘) composite 라텍스가 제조되었다.

단분산 가교고분자 미립자의 표면 모폴로지 제어 연구 (Surface Morphology Control of Monodisperse Crosslinked-Polymer Particle)

  • 김동옥;진정희;오석헌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50-55
    • /
    • 2006
  • 분산중합으로 제조된 폴리스티렌(PS) 시드 고분자 미립자에 가교단량체인 HDDA(1,6-hexanedioldiacrylate)를 one-step으로 흡수시키고 이를 중합하여 단분산 가교고분자 미립자를 제조할 시 1) 시드 고분자의 분자량, 2) 흡수된 가교단량체와 시드의 중량비, 3) 중합반응속도 등의 변화에 따른 가교고분자 입자의 표면 모폴로지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PS/HDDA계에서는 시드 고분자의 분자량 및 가교단량체 흡수비에 관계없이 가교고분자 입자표면에 분화구 형태의 모폴로지가 관찰되었으며, 이와 같은 표면 모폴로지는 중합반응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reparation of Highly Cross-linked, Monodisperse Poly(methyl methacrylate) Microspher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Part I. Batch Processes

  • Lee, Ki-Chang;Lee, Sang-Y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44-255
    • /
    • 2007
  • Nucleation is the most sensitive stage in the preparation of highly cross-linked, monodisperse microspher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since the addition of a small amount of cross-linker results in particle deformation and coagul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5\;{\mu}m$ poly(methyl methacrylate) seed particles prepared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were used in the preparation of mono disperse, cross-linked PMMA particles containing up to 7 wt% divinylbenzene by seeded batch dispersion polymerization. Spherical particles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containing up to 8 wt% of EGDMA were prepared by seeded multi-batch dispersion polymerization processes. These particles were identifi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DSC.

The Effects of Cone Harvesting on the Regeneration of Korean Pine and the Life of Animals in Mt. Changbai Nature Reserve

  • Plao, Tie Feng;Kim, Ji-Hong;Chung, Sang-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89-97
    • /
    • 2008
  • Based on the former researches, this article studied the influence of cone harvesting of Korean pine on the regeneration of Korean pine trees and the life of animals in Mt. Changbai Nature Reserve. When the cone matures, scales of the cone do not open so the seeds can not be released automatically. And the seeds, if left inside, are hard to germinate and can not grow further into seedlings. The seeds of Korean pine have deep dormancy characteristics.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pine is very poor under mother trees. Hoarding behavior of dispersing animals not only helps animals for food shortage period but also contributes to the dispersion of seeds of Korean pine. Among those hoarding animals, squirrel and Eurasian nutcrackers a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dispersing agents for the seeds of Korean pine. After cone harvesting, the number of those dispersers reduced a lot since the seeds of Korean pine are very important food for them. Seed quantity of Korean pine on surface layer became very few and most of them only showed single distribution. Most of the seeds were buried under litter layer and showed a single or 2-4 seeds/cluster distribution. The case of more than 4 seeds in one cluster was few. The seed quantity of Korean pine forest on steep slopes of the research area was only 0.3% of the seed quantity in 1980 for the same forest type. If seed source of Korean pine are not protected, Korean pine forest in Mt. Changbai Nature Reserve would not maintain present feature in the future.

  • PDF

스테가노그라피를 활용한 정보은닉 응용기법 연구 (Information Hiding Application Method Using Steganography)

  • 이철;김용만;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9-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정보은닉을 위한 스테가노그라피에 대한 연구로서 은닉기법에서 비트 플레인 추출방법을 통하여 쉽게 나타나지는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즉, Cover 이미지에 Logo 이미지를 은닉함에 있어 비트 플레인 분산방식 후 Pack 형식을 이용한 코드 빈도 조사와 연속값 조사 등을 통해 압축하여 용량을 줄인 후, Embedding하며 그때 seed 값을 주어 암호화를 높임으로써 쉽게 추출당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였다. 비트 플레인 추출방법은 (0-7)비트 중 어느 한 해당하는 비트에 값을 넣기 때문에 특정 비트에서 값이 보여 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Premutaion 후 흩어져 있는 로고 이미지를 한쪽으로 쉬프트 시키는 Permutation 보완작업과 비트 플레인 분산삽입 방식, 팩 형식의 압축 프로그램 등을 적용하였다.

울릉도 산림식생유형과 생활형조성 (Forest Vegetation types and Its Life-form Composition in Ulleung Island, Korea)

  • 이중효;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82-290
    • /
    • 2006
  • 울릉도 산림식생의 유형은 총 232개 조사구를 토대로 식물사회학과 TWINSPAN분석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유형별 생활형조성이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산림식생유형은 모두 22개 식생단위로 나타났으며, 크게 산지식생과 해안식생의 2개 광역그룹으로 대별되고, 전자는 4개 군락, 11개 군, 7개 소군, 후자는 2개 군락, 5개 군의 체계를 나타내었다. 산지식생과 해안식생의 생활형조성 특성을 보면 전자는 교목성과 초본성식물, 반지중식물, 바람에 의한 산포와 자연낙하기관형, 직립형식물 등의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후자는 관목성식물, 지표식물, 바람과 동물에 의한 산포기관형, 좁은 범위에 연락체를 만드는 유형과 포복경식물의 구성비가 높았다. 특히 산지식생형의 하위단위에 속하는 말오줌나무군락(A6)은 교란의 영향으로 바람에 의한 산포기관형, 약간 넓은 범위에 연락체를 만드는 유형과 덩굴형의 식물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