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color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33초

Management of Charcoal Rot of Sesame by Seed Soaking in Medicinal Plant Extracts and Hot Water

  • Ahmed, Hoda A.M.;Abdel-Razik, A.A.;Hassan, M.H.A.;Khaled, S.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72-379
    • /
    • 2010
  • Macrophomina phaseolina causing charcoal rot was isolated from sesame seeds (cvs. Giza 32 and Shandawel-3)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lities of Assiut, Sohage and El-Minia Governorates. The fungus was found in the highest frequently in samples collected from Assiut Governorate followed by Sohag and finally EL Minia Governorate. The obtained isolates were different in their virulence on the tested sesame cvs. Also, they differed in their growth nature including colony color and sclerotial production. The color of colonies of the pathogen seem to be correlated with density of sclerotial formation. Aqueous extracts of Majorna, Wild chamomile, Geranium oil and Nees plants were highly toxic to tested isolates of M. phaseolina, in vitro.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the tested aqueous extracts had no effect.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2005 and 2006 seasons, soaking seeds of sesame before sowing in aqueous extracts of Eucalyptus, Nerium, Ocimum and Roesmary plants decreased the disease incidence. Aqueous extracts of Eucalyptus and Ocimum were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Dipping sesame seeds in hot water at $60^{\circ}C$ for 5 minutes increased seed germination of Giza 32 and Shandawel-3 cvs. followed by $55^{\circ}C$, $50^{\circ}C$ and $45^{\circ}C$, while $40^{\circ}C$ treatment resulted the lowest seed germination rate. Dipping sesame seeds in hot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 before planting decreased seed, seedling and charcoal rots. Soaking seeds in hot water at $60^{\circ}C$ increased greatly plant height and decreased seed, seedling rot and charcoal rot followed by $55^{\circ}C$ and $50^{\circ}C$, under greenhouse condition.

콩 종실 및 생육형질 연관 분자표지 탐색 (QTL Analysis of Seed and Growth Traits using RIL Population in Soybean)

  • 김정순;송미희;이장용;안상낙;구자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5-92
    • /
    • 2008
  • 신팔달콩2호와 GC83006를 교잡하여 총 118개의 $F_7$ 계통을 육성하였다. 127개의 분자마커를 사용하여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종실 및 생육특성에 대한 QTLs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0립중, 경장, 엽면적 그리고 개화까지 일수는 정규분포를 보였다. 100립중을 제외한 3개의 형질에서 양친의 값을 벗어나는 초월변이 계통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개화까지의 일수는 개화기가 지연되는 쪽으로 초월변이 계통이 다수 관찰되었다. 2. 100립중, 경장, 엽면적 그리고 개차까지 일수에 대한 QTL분석 결과, 전체 7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100립중에 관여하는 3개의 QTL은 전체변이의 $10.1%\;{\sim}\;12.5%$를 설명하였고, 경장은 전체변이의 22%를 설명하는 1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엽면적은 전체 변이의 10% 및 8.6%를 설명하는 2개의 QTL이 탐지되었으며 개화기 일수는 전체 변이의 41.0%를 설명하는 1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3. 신팔달콩2호와 GC83006의 모용은 각각 회색과 갈색이었으며 모용색은 1개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모용색은 연관군 C2에 위치하는 Satt134 마커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제색은 신팔달콩2호와 GC83006이 각각 흑색과 황색이었으며 후대 중에는 갈색의 배꼽을 갖고 있는 계통도 발견되었다. 종피색은 신팔달콩 2호와 GC83006이 각각 황색과 녹색을 보였으며 후대에서 황색과 녹색 계통이 1 : 1의 분리비를 보여 종피색에는 하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유전자는 연관군 D1a의 마커 Satt077과 밀접한 연관을 보였다.

포도씨유 첨가가 프레스햄의 이화학적 및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ape Seed Oil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 이정일;양한술;정진연;문상훈;김갑돈;이진우;정재두;하영주;곽석준;박정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8-187
    • /
    • 2009
  • 본 연구는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포도씨유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포도씨유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포도씨유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 량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10%를 포도씨유로 대체, 처리구 2는 20%, 처리구 3은 30%, 처리구 4는 40%를 포도씨유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28일 간 저장하면서 실험에 공시하였다. 수분함량은 대조구가 포도씨유 처리구인 T3(등지방의 30% 대체)와 T4(등지방의 40% 대체)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H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 21일에 가장 높았다. 육색 변화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T4 처리구는 명도와 황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높고 반면에 적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포도씨유의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건강지향적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멜론 유전자원의 생육 평가와 과육색 유전형 분석 (Characterization of Phenotypic Traits and Application of Fruit Flesh Color Marker in Melon (Cucumis melo L.) Accessions)

  • 배익현;강한솔;정우진;유재황;이오흠;정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8-490
    • /
    • 2021
  • 멜론은 세계 각지에서 재배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수집 보관중인 멜론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생육 특성을 특성을 조사하고, 멜론의 중요한 육종 형질중의 하나인 과육색의 유전형과 표현형을 조사하여 멜론 육종에 필요한 육종 재료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219개의 멜론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19개의 생육 특성과 PCA분석을 수행하고, 멜론의 중요한 육종 형질중의 하나인 과육색의 유전형을 조사하여 표현형과 비교하였다. 과육색은 오렌지색, 백색, 녹색, 유백색, 황색의 5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중 오렌지색이 87개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백색이 75개였다. 그리고, 오렌지색과 녹색 과육 구별용 마커를 적용한 결과, 녹색 과육 21개의 경우는 표현형과 유전형 일치율이 100%였으며, 오렌지색의 경우는 98%, 백색은 97%, 유백색의 경우는 80%의 일치율을 보였다. 표현형과 유전형이 일치하는 않는 총 8개 유전자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3곳의 위치에서 단일염기다형성(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멜론의 과육색을 결정하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유전기작이 존재한다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다양한 유전자원의 생육조사 결과는 멜론 육종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생각된다.

들깨의 성분개량 연구 III. 들깨 품종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Quality Improvement in Perilla III.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 이정일;박충범;손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2
    • /
    • 1993
  • 들깨 국내 수집 유전자원 80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품종육성에 오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최고 28.5%, 최저 17,9%, 평균 24.6%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숙기와 천입중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피색에서는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았는데 암갈색에 비해 은회색은 1.4% 더 높았다. 3. 들깨 수집 유전자원 80종의 총 필수아미노산은 품종에 따라 최고 44.85%, 최저 36.41%, 평균 40.55% 였으며 일반 아미노산 함량은 최고 60.01%, 최저 47.23%, 평균 55.29%였다. 4. 필수 아미노산 함량과 종피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0.3389**) 관계로서 종피색이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들깨에서 필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arginine과 leucine, 가장 적었던 것은 methionine 이었고, 일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e와 asparagine이었다. 6.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lysine, methionine, valine 등의 평균함량은 FAO 권장량 보다 높았다.

  • PDF

고추씨를 첨가한 청경채 백김치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Pak-choi Baikkimchi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during Storage)

  • 정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88-595
    • /
    • 2014
  • To develop a variety of salted vegetab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ak-choi Baikkimchi with 0, 1, 3, 5 and 7% (w/w) red pepper seed during 50 days at $10^{\circ}C$. The pH of pak-choi Baikkimchi decreased little for the first days bu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day 20. The larger amount of the red pepper seed kept pH the less affected. The total acidity of pak-choi Baikkimchi increased within 20 days. Lactic acid bacteria count, pak-choi Baikkimchi with 0% red pepper seed decreased after 30 days' increase, while pak-choi Baikkimchi with 3% and 5% red pepper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20 days' increase. Hunter's color L value increased during storage but a and b value decreased. Pak-choi Baikkimchi with 0%, 5% and 7% red pepper seed on day 10, pak-choi Baikkimchi with 1% 3% red pepper seed on day 20. Flavor preference was higher on day 20 of storage. In taste analysis, pak-choi Baikkimchi with 3% and 7% red pepper seed higher preference on day 10 and with 5% on day 30. Appearance preference was higher for pak-choi Baikkimchi with 0% and 3% red pepper seed on day 10 and with the others on day 20. Texture preference decreased as the storage time. Overall preference of pak-choi Baikkimchi with 0%, 1% and 7% were higher on day 10, pak-choi Baikkimchi with 3% and 5% red pepper seed were higher on day 20. In conclusion, the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ak-choi Baikkimchi were optimal on day 20 of storage and 3% red pepper seed.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Different Ground Mustard See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atballs

  • Caglar, Muhammed Yusuf;Gok, Veli;Tomar, Oktay;Akarca, Gok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30-543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yellow, black, and brown mustard seeds on color, lipid oxidation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meatballs during storage. Heat treatment of mustard seeds affected the TBARS value of meatball samples (p<0.0001). The addition of mustard seeds decreased TBARS value of meatball samples (p<0.0001). Heat treatment of mustard seeds decreased the $L^*$, $a^*$ and $b^*$ values of meatball samples (p<0.0001). The meatball samples with mustard seeds increased $b^*$ value of meatball samples however it decreased $a^*$ value of meatball samples (p<0.0001). The addition of mustard seeds decreased aerobic mesophilic bacteria count (p<0.0001), Enterobacteriaceae count (p<0.0001), psychrophilic bacteria count (p<0.0001) and yeast and mold count of meatball samples (p<0.0001). On a given storage day, the yellow mustard added meatballs sample was given higher color, appearance, flavor, acceptability ratings than those added black and brown mustard. Regarding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mustard seed contributed to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ensorial properties of meatball samples.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 개발 (Development of Restructured Chicken Thigh Jerky Added with Red Pepper Seed Powder)

  • 이정아;김학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33-1337
    • /
    • 2016
  • 본 연구는 고추씨 분말이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조사하였다. 고추씨 분말의 함량을 각각 0%(control), 1%, 2%, 3%를 첨가하여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를 제조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의 수분 함량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단백질 함량은 고추씨 분말을 첨가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열 전후 pH는 고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열 전후 명도, 적색도와 황색도는 고추씨 분말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수력, 건조수율은 고추씨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단력은 고추씨 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고추씨 분말을 3%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의 색도, 풍미, 연도, 다즙성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3%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재구성 육포가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을 증진시킨다고 판단된다.

Morphological diversity in kidney bean(Phaseolus vulgaris L.) germplasm

  • Han, Sea-Hee;Choi, Yu-Mi;Lee, Gi-An;Cho, Yang-Hee;Ma, Kyung-Ho;Lee, Jung-R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83-83
    • /
    • 2017
  •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Republic of Korea) has continually collected new valuable genetic resources. In this study, we regenerated conserved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germplasm which couldn't be available because of seed quantity and quality, and we also surveye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for the sustainable utilization. A total of 431 kidney bean accessions were regenerated and 18 morphological trait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zation guideline of RDA Genebank. Among the surveyed traits, flowering time ranged from May 23 to September 4 and 73.8% of tested accessions were mainly flowering in June. The maturity time ranged from July 1 to October 15 and main flowering time was July (91.4%). For plant type, 270 accs (62.6%) were climbing type followed by medium type of 86 accs (20.0%) and dwarf type of 65 accs (15.1%). The seed coat colors were various; yellow (34.6%), white (22.3%), brown (17.9%), red (10.7%), black (5.8%), violet (11%), pink (1.4%), navy (0.9%).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d that five principal components (PCs) with Eigen values >1 accounted for more than 65.8% variability. The first PC was more related to growth habits such as growth type, flowering time, and plant type. The second and third PCs showed higher values of the pigment characters such as seed coat color, flower color, and pod color. In fourth and fifty PCs, there were the higher positive values of the pod shapes. Our results provided insight into the characteristics kidney beans, thus the utilization basis of kidney beans might be elevated for bio-industry.

  • PDF

Morphological Variations Between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and Japan

  • Jung, Ji Na;Heo, Kweon;Kim, Myong Jo;Lee, Ju Kyo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1-370
    • /
    • 2008
  •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the two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and Japan, we studied the variation of 62 accessions by examining 15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 determined that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showed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erms of plant height and seed weight. Furthermore,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could also be clearly discriminated from one another using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pecificall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seed weight, degree of pubescence, shape of leaf, color of leaf, fragrance of plant, color of flower, color of stem and seed size greatly contributed to differences seen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In our study,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those of its weedy type could be clearly discriminated from one another, however,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var. crispa were not clearly discriminated by the ANOVA and PCA analys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ultivated var. frutescens can be considered to be a domesticated form, while the cultivated var. crispa can not be considered to be a domesticated form in Korea and Japan. It is our belief that our results concern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among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and Japan will help ensure the long-term success of breeding programs and maximize the use of the germplasm resourc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