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Oil

검색결과 714건 처리시간 0.026초

탱자(Poncirus trifoliata RAFIN.)의 기내 재분화 및 조직학적 특성 (In vitro regeneration and the change of anatomical appearance in Poncirus trifoliata RAFIN.)

  • 박민희;이현화;장현규;이숙영;김홍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탱자의 미성숙배로부터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탱자 배발생 캘러스들은 3% sucrose와 44.4 $\mu\textrm{m}$ BA로 처리된 $\frac{1}{2}$MS배지에서 광조사(2,000 1x, 16h)시에 미성숙종자의 배로부터 유도되었으며 식물체 재분화는 MS배지에 5.0 $\mu\textrm{m}$ BA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탱자는 배양2~3주경에 담황색의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배양5~6주경부터는 딱딱한 녹색의 캘러스로 변하였다. 기내 재분화는 3% sucrose와 5.0 $\mu\textrm{m}$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직접 유도되었다. 또한 배양 12주 후에 Multishoot가 재분화되었으며, 배양 16주 후에 뿌리가 형성되었다. 또한 뿌리가 형성된 식물체들은 토양으로 옮겨져 완전한 식물체로 잘 자랐다. 광학 현미경 관찰시 탱자에서는 배양4주경에 하얀색의 조밀한 배양된 세포들이 나타났다. 배양6주경부터는 세포들이 신장되면서 배발생 돌기가 나타났으며 주변의 세포들은 액포화 되었다. 또한 배양12주경에는 미성숙 잎에서 발달된 유낭과 전형성층을 관찰하였다.

  • PDF

참깨의 볶음조건이 참깨박 정유성분의 휘발성 성분 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same Seed Roasting Conditions on Volatile Component Patterns of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Sesame Meals)

  • 이장우;윤여철;전남규;김선호;박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3
    • /
    • 2007
  • 참깨로부터 참기름을 채유하고 부산물로 얻어진 참깨박을 이용하여 천연 향료의 원료를 얻기 위하여 참깨의 전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각각 2종의 참기름과 참깨박을 얻었다. 참깨의 볶음온도를 200$^{\circ}C$, 220$^{\circ}C$로 차등화하여 얻어진 참기름 A, B는 각각 1,397.1 ppm, 1,518.8 ppm이었고, 참깨박 A, B는 각각 663.2 ppm, 775.3 ppm 및 참기름향은 16,507.9 ppm으로 차이를 보였다. 2종의 참기름에서 공통적으로 주요 휘발성 성분은 pentane, 2-butanone, pyrazine, methyl pyrazine, 2,5- 및 2,6-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guaiacol, 4-vinylguaiacol 이었다. 총 26종의 성분 중 pyrazine류는 각각 834.4 ppm, 816.4 ppm으로 전체의 59.72%, 53.75%를 차지하여 이 성분이 참기름의 향기를 결정해 주는 가장 큰 영향인자로 판단된다. 2종의 참깨박 A, B시료에서 주요 휘발성 성분은 2-butanone, hexanal, pyrazine, 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로 참기름과는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참기름 향료에서는 총 16,507.9 ppm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고, 주요 성분은 2-butanone, guaiacol, 4-vinylguaiacol이 각각 1,000 ppm 이상으로 전체의 35.02%를 차지하였다.

유자 착즙액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itron(Citrus junos) Juices)

  • 이영철;김인환;정진웅;김현구;박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2-556
    • /
    • 1994
  • 유자쥬스제조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 착즙액의 특성 및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부위별 비율은 과육이 39.4%, 과피부분은 43.9%, 종자는 16.7%를 차지하였다. 유자의 중량에 따른 착즙액의 수율은 120g까지 증가하였으나 121g 이상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원심분리식 착즙방법과 유자를 횡으로 1/2로 절단하여 압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착즙액의 특성중 산도와 투과도는 원심분리식보다 압착식이 높았으며, pH, Brix, 펄프, oil성부상물, 아미노태질소와 수율은 원심분리식이 압착식보다 높았다. 유자착즙액의 유리당은 포도당, 과당, 설탕으로 원심분리식 착즙액이 압착식 착즙액 보다 유리당 함량이 약 2배 높았다. 압착식 착즙액의 경우 총수중기 증류물중 주요향기성분은 dl-limonene, ${\gamma}-terpinene\;{\beta}-farnesene$, sabinene, linalool, ${\beta}-myrcene$, terpinolene이었고, 원심분리식 착즙액의 경우 dl-limonene, ${\gamma}-terpinene$, sabinene ${\beta}-myrcene,\;{\alpha}-pinene$, linalool, terpinolene이었다. 이중 dl-limonene과 ${\gamma}-terpinene$이 전체 향기성분의 $73{\sim}83%$를 차지하였다. dl-limonene은 원심분리식이 인착식보다 약 6% 정도 높았으나, ${\beta}-farnesene$은 원심분리식 착즙액에는 소량 존재하나 압착식 착즙액에는 약 7% 존재하였다. 따라서 착즙방법에 따라 유자의 화학성분 및 주요향기 성분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산야초 발효추출물과 허브 정유가 보리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ild Plant's Fermented Extracts and Herbal Essential Oil on Barley Seed Germination)

  • 김연복;허정원;;성인제;장광진;왕명현;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18
  • 본 연구는 4종의 산야초 추출물(개느삼, 엄나무, 참취, 60가지 산야초혼합 - 모두 원 식물재료를 설탕과 혼합하여 추출한 발효추출물을 15년 숙성시킨 원액의 3% 수용액으로 처리)과 8종의 허브 정유(베르가모트, 클라리세이지, 휀넬, 제라니움, 마조람, 타임, 로즈우드, 스페어민트 원액의 0.3% 농도로 처리) 및 2종의 호르몬(지베렐린, 카이네틴, 0.3%)을 2종의 보리종자(1998년산 새올보리, 2016년산 찰쌀보리) 발아율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특히 새올보리 묵은 종자의 발아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묵은 종자 새올보리의 무처리구에서 8%와 43%의 낮은 발아세와 발아율을 보인 반면, 산야초 추출물 처리구에서 84~93%와 86~100%의 높은 발아세와 발아율을 보였다. 호르몬처리구는 새올보리에서 발아세와 발아율은 각각 43~87%와 55~95%였다. 또한, 찰쌀보리의 경우 무처리의 발아세와 발아율은 각각 54%와 91%였다. 반면, 산야초 추출물 처리구에서 92~100%의 발아세와 95~100%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호르몬 처리구에서는 각각 77~85%와 87%의 발아세와 발아율을 보였다. 무처리(증류수)와 2종의 호르몬 및 8종의 허브 정유에 비해 산야초 추출물의 발아 증진 효과가 현저하게 높았다. 특히 냉장고($4^{\circ}C$)에서 20년 보관한 묵은 보리종자에 대해서도 유의한 발아율 향상을 보였다. 정유는 대체로 발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잡초 종자에 대한 발아억제(제초제 대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유채의 품질과 수량 특성에 대한 조합능력 분석 (Analysis of Combining Ability for Quality and Yielding Characteristics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 신동영;권병선;정동수;함영수;이정일;장영석;정동희;박희진;배창휴;현규환;국용인;최갑림;윤영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4-30
    • /
    • 2012
  • 본 품종들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적응한 양질유, 양질막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Erra(female)와 Tower(male)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양질유, 양질박, 다수성 품종으로서 목포51호, 목포52호라는 계통명을 부여하여 지방 적응 연락 시험 및 농가 실증 시험을 거쳐서 장려 품종(내한유채, 영산유채)으로 결정된 품종이다. 특히 본 품종들은 한 조합 내에서 장수, 다분지, 다협, 다립 품종으로 수량 형질이 우수하며, 유질에서 지방산 조성이 극히 양호하며 불량 지방산은 전혀 함유치 않고 양질 지방산인 oleic acid과 linoleic acid이 80% 이상 함유된 양질유 품종이며, 박에서도 glucosinolate가 전혀 없는 무독박 품종이다. 또한 생산력은 전국평균 16~22% 증수된 다수성 성분 육종 품종들이다.

신 바이오디젤 원료 작물인 Camelina의 cDNA library 제작 및 유전자 특성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DNA Library from the Camelina sativa L. as an Alternative Oil-Seed Crop)

  • 박원;장영석;안성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1-158
    • /
    • 2010
  • 지금까지 양구슬냉이의 유전정보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우리는 양구슬냉이의 잎으로부터 cDNA library를 제작하고 발현유전자의 종류와 기능별 분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DNA library에서 1334개 의 클론들을 얻었고 삽입된 단편들의 염기서열의 평균길이는 736bp였다. 우리는 1269개의 high-quality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서열을 얻었다. 이러한 EST의 클러스터 분석결과 고유 염기서열(unigene)을 가진 유전자의 수는 851개를 나타냈다. 2. Unigene 476개는 GeneBank에 기능이 알려진 유전자들과 고도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다른 375개의 unigene들은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었다. 나머지 63개는 NCBI데이터베이스에 어떤 유전자와도 상동성을 보이지 않았고 이러한 유전자들은 아마도 양구슬냉이의 잎에서 발현되는 새로운 유전자일 것으로 보인다. 3. 데이터베이스에서 상동성을 나타낸 EST들을 기능별 주석에 따라서 17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대표적으로 가장 분포도가 높은 카테고리는 결합 기능 또는 보조인자 요구의 단백질(27%), 대사(11%), 세포 소기관 위치(11%), 세포수송과 수송기관 그리고 수송 경로(7%), 에너지(6%), 대사와 단백질 기능의 조절(6%) 등이 있다. 이러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양구슬냉이의 유용한 유전적 자원과 전반적인 mRNA 발현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대체 에너지 작물로 떠오르는 양구슬냉이의 다양한 분자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의 산화성(酸化性)에 대한 Citric Acid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Citric Acid on Antioxidant Property of Red Pepper)

  • 양기선;유주현;황적인;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93-198
    • /
    • 1974
  • 고추분말(粉末),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 알코올추출물(抽出物)과 유기산(有機酸)을 기질(基質)인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에 첨가(添加)하여 암소저장(暗所貯藏) 조건하(條件下)$(45.0{\pm}0.5^{\circ}C$$55.0{\pm}0.5^{\circ}C)$에서 과산화물형성(過酸化物形成) 억제효과를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추, 후추, 계피분말(粉末)은 모두 어느정도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간(間)의 항산화효과는 거의 비슷하였다. 2) 고추피(皮)와 고추씨분말(粉末)은 모두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고추피(皮)는 고추씨 분말(粉末)보다 강(强)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다. 3)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강(强)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잔사(殘渣)는 거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4)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효과는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농도가 짙을수록 거의 비례(比例)해서 강(强)하게 나타났다. 5)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과 유기산(有機酸)의 병용효과는 구연산이 매우 강(强)하게, Vitamin C (ascorbic acid)는 강(强)하게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나, 인산의 경우 오히려 촉진(促進)되었다. 6)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 0.1%와 구연산의 농도(濃度)에 따른 병용효과는 구연산의 농도(濃度)가 0.04%일때 가장 강(强)하게 나타냈다.

  • PDF

농산 바이오매스의 메탄 생산 퍼텐셜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gricultural Waste Biomass)

  • 신국식;김창현;이상은;윤영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903-915
    • /
    • 2011
  • 최근 농산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혐기적 메탄생산은 가장 실질적인 바이오 에너지 생산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폐기물 처리 측면에서 가축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에 대한 혐기소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농업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농산 바이오매스에 대한 혐기소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에서 농산 바이오매스의 혐기적 매탄 생산 퍼텐셜은 측정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비교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왔다. 외국의 경우 독일은 VDI 4630, 미국은 ASTM E2170-01을 혐기적메탄 생산 퍼텐셜 및 유기물 분해율 분석의 표준분석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과 미국의 메탄생산 퍼텐셜 분석법을 비교 검토하여 메탄 생산 퍼텐셜을 정의하고, 분석방법, 영향인자, 기술적인 계산 방법등을 고찰하였다. 한편 국내외 농산 바이오매스의 메탄 생산 퍼텐셜 측정 현황을 살펴보고자, 국내의 경우에는 1980년대에 실시되었던 볏짚 등의 18종의 농산 바이오매스와 식품산업부산물 등의 연구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국외는 43개 농산바이오매스에 대하여 곡류, 채소류, 특용작물, 과수, 기타작물로 분류하고, 사료작물인 사탕수수, 사탕무, 옥수수 등은 에너지 작물로 분류하여 216건의 메탄 생산 퍼텐셜에 대한 연구자료를 조사하였다.

비닐피복이 모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nyl-mulching Culture on Growth and Yield of Cotton( Gosspium hirsutum L.))

  • 이정일;박용환;정규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4-439
    • /
    • 1986
  • 우리나라에서의 목화재배는 방적원료생산이 아닌 혼수용을 위한 제면원료 생산이란 의미에서만이 재배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제면원료 수요양시과 양질솜 다수확재배를 위해 비닐멀칭재배를 도입, 목화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했던 바 관행무피복재배보다 배 이상의 증수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1. 출현기와 개화소요일수에서 비닐피복은 관행무피복보다 모든 파종기에서 빠르고, 짧았으며 비닐피복파종에서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2. 개노소요일수에서도 비닐피복파종기가 빠를수록 2∼7일 단축되었고 무피복재배에 비해서는 무려 8∼15 일이나 비닐피복재배가 단축되었다. 3. 초장, 결과지수, 주당삭수에서는 비닐피복은 무피복보다 초장에서 2∼29cm 더 길어서 생육이 장대하였고 결과지수는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거의 2배나 많았으며 주당삭수에서도 4월10일 조파 비닐피복이 관행무피복보다 주당 15∼24개가 더 달려 2배가되었다. 4. 적심면수량은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큰 차이로 많았으며 파종기별 비닐피복에서는 빠를수록 많아서 조파 4월 10일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128%나 더 많았는데 적심면비율은 무피복 79% 4월 10일 비닐피복이 99%였다. 5. 소면수량과 소면비율에서는 무피복보다는 비닐피복이, 파종기는 빠를수록 소면비율이 높았으며 따라서 소면수량도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수원 001에서 76%(104kg/ 10a) 목포 7호에서 90%(93kg/10a) 증수되었다. 6. 수원과 무안 2개 지역에서의 비닐피복 효과는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수원에서 최고 90% 소면수량이 증수되었고 무안에서는 최고 168% 증수되어 비닐피복 증수효과가 남부인 무안에서 더 컸다. 7. 목화섬유장과 면실유 지방산조성에서는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섬유장에서 약간 더 길었으며 면실유의 주지방산인 리놀산은 4월 10일 조기비닐피복 파종이 무피복보다 높아 양질지방산조성이었다.

  • PDF

한국 재래종 콩집단에서 비린내 없는 콩품종 육성을 위한 Lipoxygenase 결실인자 변이 연구 (Screening for Genotypes Lacking Lipoxygenase from Germplasm Collection of Korean Soybean Land Races)

  • 권신한;박경숙;김미영;김봉용;송희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28-533
    • /
    • 1992
  • Lipoxygenase는 대두종실에 많이 포함되어 있어 대두의 불포화지방질을 산화시켜 대두 특유의 불쾌한 콩비린내를 나게 함으로서 콩나물을 위시한 많은 대두식품제조공정에서 어려움을 주고 있다. Lipoxygenase에는 L$\times$1, L$\times$2, L$\times$3의 3가지 isozyme가 있는데 그동안 미국과 일본의 학자들에 의해 lipoxygenase 결핍(1$\times$1, 1$\times$2, 1$\times$3)돌연변이 계통이 발견되었고 또 단순 열성 유전 양식임이 밝혀짐으로서 lipoxygenase 문제가 육종차원에서 해결될 수 있는 전망이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종 집단에서 lipoxygenase isozyme 소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에서 L$\times$1 결핍계통 KAS 610-3, KAS 621-8이 선발되었으며 lipoxygenase 결핍계통은 일반적으로 소립이고, 지방합량은 낮았으며, 또 본 실험에서 선발된 L$\times$1 결핍 2계통은 특징적으로 콩나방 피해가 컸다. 공시계통수는 적었지만 야생종 대두에서는 lipoxygenase 결핍유전자형이 발견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L$\times$1 및 L$\times$3가 결핍된 4계통이 모두 경남지역의 재래종에 한정된 것으로 미루어 변이투기 역사는 짧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