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Classificat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4초

Landsat TM 자료와 표충퇴적물 분석을 통한 천수만 간석지 퇴적물 분류 (Classification of Tidal Flat Deposits in the Cheonsu-bay using Landsat TM Data and Surface Sediment Analysis)

  • 장동호;지광훈;이현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4호
    • /
    • pp.247-258
    • /
    • 2002
  • This study aimed at verifying the grain-sized distribution of surface deposits in a tidal flat using multi-spectral Landsat TM. In this study, we employed the grain-sized analysis, PCA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for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deposits.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PCA image was found to be most useful in classifying tidal flat deposits using satellite data. This method is considerably effective in analyzing not only the aspects of distribution in terms of accumulated deposits and erosion, but also the changes in seaside topography and shoreline. The grain-sized distribu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mud flat inside the Cheonsu-bay tidal flat is distributed, the mixed flat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sand flat distributed near the sea. The sand flat is dominant around the southern part of Seomot isle and its beach. On the other hand, the mud and mixed flat is dominant on the western part. Likewise, the western coast of Seomot isle and its beach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ves facing the offshore. However, the eastern side of the bay could be a site for the evolution of tidal flat made of fine materials where it is less affected by ocean waves. These results show that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re effective for the classification of distribution material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continuous monitoring. In particular, the research on environmental deposits can provide important decision-supporting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on seasid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progress of deposits and environmental changes.

품종에 따른 강낭콩 앙금의 이화학적 성질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Kidney Bean Sedime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85-591
    • /
    • 1997
  • 앙금의 성질은 입자형태, 아밀로그램, 물결합능력, 팽윤력과 용해도, 고유점도, 광투과도, DSC등의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강낭콩 앙금의 성질에서 앙금입자는 타원형으로 표면은 매우 거칠었고 품종간에 차이는 없었다. 강낭콩 앙금과 팥 앙금의 아밀로그램에서 호화개시 온도는 농도(12~15%)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고, 최고점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92.5$^{\circ}C$에서의 점도대수값과 농도는 모두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물결합능력은 322.4355.0%, 70~9$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각각 5.93~6.68과 3.76~5.28%, 고유점도는 1.28~1.36 mlg$^{-1}$였고, 50~95$^{\circ}C$로 가열시 광투과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호화양상에서 호화정점은 적색종이 높았고 호화온도범위는 백색종이 넓었으며, 호화엔탈피는 분홍색종과 백색종이 모두 0.18 cal/g이었고, 적색종은 호화피크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보 설치가 퇴적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eirs Construction in the Han River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 강민경;최인영;박지형;최정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597-6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의 설치가 하천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남한강 하류에 설치된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에 대하여 보의 영향을 잘 대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9개 지점을 선정해 퇴적물 분석을 진행하였다. 채취한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입도,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 COD, TOC, TP, SRP, TN 항목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퇴적물의 입도 분포는 전 구간에 걸쳐 같은 Sandy loam의 토양분류를 나타내어 준설이 퇴적물의 입도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입도,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 COD, TOC, TP, SRP, TN 항목에서 보 설치지점의 상류 농도가 하류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남한강 하류 유역에 설치된 보가 퇴적물 흐름에 영향을 미쳐 보의 상부에 퇴적양상을 나타내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SRP 및 C/N 비율 분석 결과에서는 지역에 따른 퇴적물 특성의 차이가 크지 않고, 퇴적물의 유기물 기원 분석의 경우에는 과거 퇴적물의 특성이 나타나는 점으로부터 연구가 수행된 시점에서는 보의 설치가 퇴적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남한강 수계에 설치된 보는 강우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토사의 이동 및 퇴적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수층으로의 오염물질의 확산 및 재부유를 발생시켜 수질 및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보 설치구간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홀로세 충남 모산만 하구역내 간석지의 퇴적과정 (The Holocene tidal sedimentary changes in Mosan Bay Estuary, Korea)

  • 신영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7-51
    • /
    • 2011
  • 이 연구는 조석우세하구역인 모산만 하구역의 "에너지혼합구간"에 형성되어 있는 간석지의 퇴적물 분석을 통해 하구역의 지형변화와 퇴적환경변화를 고찰하였다. 모산만 하구역의 간석지 퇴적층은 대부분 홀로세 전기와 홀로세 후기로 나누어 퇴적되어 있으며, 홀로세 중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부정합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부정합의 존재는 홀로세 중기에 있었던 해수면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의 퇴적공간은 크게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그룹을 "간헐적 조수통로퇴적구역"(A1, B1, D3), "창조류지배퇴적구역"(A3, B3, C1, C3) 그리고 "하천퇴적물유입구역"(A2, B2)으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퇴적공간이 구분되는 것은 조수통로의 측방이동 제한, 창조류의 회절 현상과 퇴적지연현상에 의한 퇴적작용, 특정 구역에서의 하방침식의 강화와 같은 프로세스들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프로세스들은 연구지역과 같은 서해안의 리아형 조석우세하구역의 지형형성 과정의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서해안 하구역의 지형변화에 대한 논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고, 나아가 서해안의 "육지-해양 상호작용" 모형을 만들어가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표층 퇴적물의 생화학적 조성을 이용한 남해연안 영양상태 평가 (The Trophic State Assessment using Biochemical Composition in the Surface Sediments,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조윤식;김윤빈;이원찬;홍석진;이석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10
    • /
    • 2013
  • 연안생태계의 영양상태와 환경적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7년 2월 남해연안의 총 25개 소해역, 131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 퇴적물의 입도조성, 광합성 색소, 총유기탄소, 총질소, 생화학적 조성(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등을 분석하였다. 다차원 분석 결과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일원분산분석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biopolymeric carbon 농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퇴적물 내 생화학적 조성을 이용한 영양상태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조사해역의 영양상태를 평가한 결과 산업폐수 및 생활하수 유입이 많은 마산만, 진해만, 행암만을 포함한 I그룹을 과영양 상태, 양식시설이 밀집한 통영, 고성 자란, 거제연안 등의 II그룹은 부영양 상태로 추정되었으며, 가막만, 득량만, 여자만 등의 III그룹은 중영양 상태로, 나머지 신안, 진도, 무안을 포함한 IV그룹은 빈영양 상태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퇴적물의 생화학적 조성을 이용한 영양상태 구분은 연안역의 영양도 평가를 위하여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천 협소부에서 하상 이동성과 형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하도수리학적 평가 (Hydraulic Assessment about Correlation of Fluvial Movement and River Bed Form on the Narrow Pass of Channel)

  • 최호균;김원일;이삼희;안원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141-148
    • /
    • 2009
  • 하천은 지역마다 독특한 하도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노년기에 지형도 적지 않다. 이를 가로 지르는 우리나라 하천에서 특이한 하도형태의 모습을 보이는 구간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모습이 충적하도와 침식하도가 연속해 발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천 협소부이다. 하천 협소부란 하천지형학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용어이며, 하도수리학에서는 지배유량에 종속되는 일정하폭의 범위를 크게 벗어난 하천병목구간을 뜻한다. 이러한 협소부 주변지역은 전형적인 수해상습 지역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협소부 구간에서 하도특성을 반영한 조사 및 연구 사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선산지역에 위치한 하천 협소부에서 하도형태에 대하여 조사하고 하도수리학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하천인 조사구간의 저수로 하상에서 아주 미세한 유사분급 현상은 확인할 수 있었지만, 하도변화의 작용력에 의한 유사분급 현상이라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는 완만한 하상경사, 균일성에 가까운 하상재료의 분포 및 공급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연적인 현상보다는 골재채취 등의 인위적 교란에 따른 유사분급이 확연하다고 추정되었다. 그리고 협소부의 배수구역에서 과거 활발했던 단단면 이동상 하도가 유심부의 이동과 더불어 최근 급격하게 복단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저수로의 하폭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궁극적으로 이상홍수 발생시 복단면 가중 혹은 홍수단면적 축소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저수로에서 호안 또는 제방 아래 부분의 국소세굴이 야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지습지 치환성 양이온 함량비의 특성과 함의 (Implication of the Ratio of Exchangeable Cations in Mountain Wetlands)

  • 신영호;김성환;류호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21-244
    • /
    • 2014
  • 국내에서 보호되고 있는 심적습지, 장도습지, 그리고 화엄늪을 대상으로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이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치환성 양이온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 대상 습지들의 지화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들 습지는 공통적으로 저층습원의 유형에 포함되었지만 치환성 양이온의 분포양상은 상이했다. 치환성 양이온의 함량비를 변수로 이단계군집분석을 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퇴적물 유형이 구분되었다. 지질, 토양, 식생 등의 환경요인의 차이로 인해 심적습지는 Ca집중퇴적물이, 장도습지는 Ca집중퇴적물과 Mg집중퇴적물이, 화엄늪은 K집중퇴적물이 각각 주요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은 기후변화나 인위적 환경변화로 촉발되어지는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산지습지의 환경변화 지시자가 될 수 있으며, 관리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치환성 양이온의 함량비를 이용한 분류는 산지습지를 분류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습지지형 또는 습지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적절한 산지습지의 보전을 위해서는 퇴적물의 지화학적인 특성에 대한 분석 및 유형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A STUDY ON EROSION (CAUSES AND REMEDIES) BASED ON HYDROLOGICAL DATA

  • K.M. Ibe, Sr;H. Kryne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2권4호
    • /
    • pp.269-276
    • /
    • 2001
  • The project concentrates on an hydrological analysis. The analysis consists of rainfall, infiltration, Determination of runoff and sediment yield. The risque of erosion and the control measures are related to the slopes and land use. Therefore the first approach to erosion must be correct land use based on land classification. Basically there are two types of mechanical protection works; Drainage and Storage. Realization of a drainage system will be very costly and therefore temporary storage is preferred. For farmland in flat areas hardly any measures are needed. For farmland on slopes temporary storage can be effected by applying tillage with ridges within contour bunds. Along roads infiltration pits should be constructed and in areas with houses, the solution to avoid runoff will be water harvesting.

  • PDF

The role of macrophytes in wetland ecosystems

  • Rejmankova, Elisk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4호
    • /
    • pp.333-345
    • /
    • 2011
  • Aquatic macrophytes, often also called hydrophytes, are key components of aquatic and wetland ecosystems. This review is to briefly summarizes various macrophyte classifications, and covers numerous aspects of macrophytes' role in wetland ecosystems, namely in nutrient cycling. The most widely accepted macrophyte classification differentiates between freely floating macrophytes and those attached to the substrate, with the attached, or rooted macrophytes further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loating-leaved, submerged and emergent. Biogeochemical processes in the water column and sediments are to a large extent influenced by the type of macrophytes. Macrophytes vary in their biomass production, capability to recycle nutrients, and impacts on the rhizosphere by release of oxygen and organic carbon, as well as their capability to serve as a conduit for methane. With increasing eutrophication, the species diversity of wetland macrophytes generally declines, and the speciose communities are being replaced by monoculture-forming strong competitors. A similar situation often happens with invasive species. The roles of macrophytes and sediment microorganisms in wetland ecosystems are closely connected and should be studi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in isolation.

안면도 사질 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및 군집구조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on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Korea)

  • 정윤환;윤건탁;박흥식;마채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27-37
    • /
    • 2013
  • The western coast of Anmyeondo is open toward the Yellow sea and the northern and southern coasts are sandy and have simple coastlin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that inhabit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For the study, we chose 8 sites encompassing 44 stations. In total, we have recorded 62 species, and collected 747 inds./$m^2$ on average. Zonation pattern did not appear because the mean grain size and organic contents of the study sites were similar among the macrobenthos. Polychaetes were most frequently recorded, but amphipods appeared in higher mean density. Macrobenthic community is classified into 3 groups largely based on the density difference among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groups were no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e aggregate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did not show a clear regional spatial difference but exhibited classification pattern emphasizing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dominant species. The sandy shores of Anmyeondo are relatively more influenced by waves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the sediment moves more due to strong winds, etc. at low tide. We presume that the movement of sediment resulted in a relatively eve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consequently weakene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change with the tide level. We conclud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does not show the zonation pattern in the sandy shores of Anmyeondo due to such influ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