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Calcula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토사유출 방지용 침사지 적정규모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시 부주산을 사례로- (A Study on Establishing Optimum Scale of Sediment Basin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Sediment - In the case of Buju Mountain in Mokpo city, Korea -)

  • 우창호;황국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9-69
    • /
    • 1999
  •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detention basin and embodies the calculation process of sediment basin. It investigated the scale of sediment basin by actual measurement at Buju Mountain, Mokpo city which causes the environmental problems like erosion and outflow of sediment due to the excessive development, finds the problems of existing sediment basin by applying and analyzing the physical factors which affect the execution of sediment basin using GIS as the method establishing the scale of sediment basin embodied in this study and then suggests the oteimum scale. Comparing the surface area of the existing sediment basin and of the required one, all of the surface areas of the existing sediment basins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required one.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trap efficient of sediment will be declined. The required one.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trap efficient of sediment will be declined. The required minimum depth was fully satisfied, but it is analyzed that the volume of sediment basin will affect the neighboring environment because it can not accomodate the inflow discharge volume except sediment basin C. It is consistent with the actual situation which causes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due to the overflow of sediment basin during the heavy storm event except sediment basin C and also it verifies the validity of calculation process of establishing optimum sediment basin suggested in this study.

  • PDF

점착력을 고려한 표사유동 수치모델의 제안과 파랑에 의한 지형변동의 적용성 검토 (Sediment Transport Calculation Considering Cohesive Effects and Its Application to Wave-Induced Topographic Change)

  • 조용환;나카무라 토모아키;미즈타니 노리미;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405-411
    • /
    • 2013
  • 점착성 표사의 유동 특성을 다루기 위하여 점착력을 고려한 표사유동 수치계산 모델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계산 모델에서는, 각각의 모래 입자는 점토의 얇은 층으로 둘러싸여 있는 상태를 가정했다. 모래 입자에 작용하는 점착력을 적용하기 위해 한계 Shields수와 소류사량을 결정하는 항이 수정되었다. 제안된 표사모델은 3차원 유체 구조 지형변화 연성 수치계산 모델에 적용하여, 인공여울의 지형변화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치계산 결과, 각각의 점토 함유율,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점착 저항력, 함수비의 증가는 한계 Shields수를 증가 시키고, 반대로 소류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지형변화 경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채 여울의 지형변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를 모래 입자와 혼합함으로써 여울의 지형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암시한다.

강원도 하천의 기존유사량 산정공식의 적정성 검토 (지방하천을 중심으로) (The Review of the Adequacy for the Estimation Formula of Existence Sediment Loads m the River of Gangwon - Province (Focused on Local River))

  • 최한규;이운배;박수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B호
    • /
    • pp.175-183
    • /
    • 2008
  • This study reviewed and compared the measured value with the calculated sediment loads value by the existing theory equation, after actually measuring the suspended load, focusing on locality river in Gangwon province. Next, it suggested the application problems of the existing sediment loads calculation equation in case of rivers in Gangwon province, and suggested the proper sediment loads calculation equation to rivers in Gangwon province, after implementing the statistica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measured data for 5 rears, 2003 ~ 2007.

  • PDF

저수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퇴적량 산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alculation System of the Sedi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servoir)

  • 박준규;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5-292
    • /
    • 2008
  • 국가의 저수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고 각종 신기술의 적용을 통한 다양한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향후 대국민 서비스의 질 향상 및 관련 기술들의 활용도 증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에 장기간 축적되어 수질악화 및 저수용량의 감소를 야기하는 퇴적물 정보를 GPS, 음향측심기, 음파탐사기의 조합을 통해 신속 정확하게 구축하고 이러한 자료들을 2차원 및 3차원 공간정보 처리 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퇴적량 산출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토대로 저수지의 퇴적물 관리를 위해 필요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퇴적량 산출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의 적용을 통하여 건설된 지 오래된 저수지들에 대한 관리 기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규모 하구에서 토사유출 확산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rolling Efflux Sediment Diffusion by Jetty Construction at Small Estuary)

  • 박상길;박현수;윤종수;이시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B호
    • /
    • pp.483-491
    • /
    • 2009
  • 본 논문은 상류지역의 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토사가 우수 시에 하천을 통하여 하구로 유입되면서 유입토사의 확산이 발생하여 하구의 우안에 서식하는 해안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토사확산을 제어할 수 있는 도류제를 설치하고자 하였다. 토사확산의 영역을 수치계산과 현장실측으로 검증한 것이다. 도류제의 설치유무에 따라 확산영역의 변화와 토사의 농도를 검토하였다. 모델하구에 도류제를 설치할 경우는 유입파랑을 차단하므로 인해 홍수량의 유출이 원만하게 발생되어 수심이 깊은 곳 까지 유속이 발생되어 수심이 얕은 지역에 대해서 확산범위도 감소되었고 동시에 이 지역에 대해 토사확산 농도가 감소되었다. 이는 도류제 시공후의 현장관측에 의해서도 도류제 내부의 유입토사의 제어로 인해 우안 도류제의 외곽부분은 토사농도가 감소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rediction of total sediment load: A case study of Wadi Arbaat in eastern Sudan

  • Aldrees, Ali;Bakheit, Abubakr Taha;Assilzadeh, Hamid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6권6호
    • /
    • pp.781-796
    • /
    • 2020
  • Prediction of total sediment load is essential in an extensive range of problems such as the design of the dead volume of dams, design of stable channels, sediment transport in the rivers, calculation of bridge piers degradation, prediction of sand and gravel mining effects on river-bed equilibrium, determin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dredging necessities.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and predict the total sediment load of the Wadi Arbaat in Eastern Sudan. The study was estimated the sediment load by separate total sediment load into bedload and Suspended Load (SL), independently. Although the sediment records are not sufficient to construct the discharge-sediment yield relationship and Sediment Rating Curve (SRC), the total sediment loads were predicted based on the discharge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SSC). The turbidity data NTU in water quality has been used for prediction of the SSC in the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 Yield (SY) transport of Wadi Arbaat. The sediment curves can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suspended SYs from the watershed area.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for Khor Arbaat case study on sediment is poor data. However, the total sediment load is essential for the optimal control of the sediment transport on Khor Arbaat sediment and the protection of the dams on the upper gate 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is found to be considered adequate to predict the total sediment load.

RUSLE와 GRID를 이용한 하천의 토양유실량 및 유사유출량 산정방법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by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Analysis Calculation Method of River using RUSLE and GRID)

  • 박의정;김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121
    • /
    • 2007
  •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의 경우 하천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토사는 하천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지만 하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토사는 강우에 의해 하천으로 이송되는 양이 줄어든다.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예측하는 것은 유역과 하천의 관리측면에서 기본적인 사항이다. 따라서 유역에서 발생되는 토사량 중 하천으로의 유사유출량을 계산해 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에서의 토양유실량을 계산하고 강우 시 유출되어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사유출량을 예측하여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RUSLE와 GRID를 이용하여 토양유실량을 계산하고, 유사전달비 방법과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유역의 DEM자료와 경사도,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구축하여 RUSLE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광주광역시에 있는 영산강상류 유역을 선정하였다. 토양유실량은 LS인자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고 각 방법별로 2가지의 유사전달비 추정방법을 적용하여 6가지 경우에 대해 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건교부의 경험적 방법에 의한 유사유출량과 상대적 크기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유사유출량은 댐이나 하도의 계획, 설계, 관리, 재해영향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멕시코 중부의 토양 침식과 고환경 변화 (Soil Erosion and Environmental Change in Central Mexico)

  • 박정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7-30
    • /
    • 2009
  • 멕시코 중부의 환경사를 파악하고자 할 때, 호수퇴적물을 이용하는 고환경 분석은 필수적이다. 이 지역의 고대문명과 스페인인의 식민사 등에 대한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수로의 토사 유입량을 분석하여 연구 지역에서 발생했던 토양 침식과 환경변화를 시기별로 밝혀 냈다. 토사유입량은 연대분석 결과와 작열감량 분석 결과를 기초로 산출하였다. 다양한 연대측정(Lead210, 바브층, 화산재층, 지진연도)을 수행하여 정확한 토사유입량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지역 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사건들의 상세한 연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역의 환경을 훼손시킨 가장 큰 요인은 점령 전후의 옥수수 농경이었다 한편, 스페인인의 목축활동이 미친 영향은 최소한 호수 유역 내에서는 그리 크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연대분석을 다각적으로 시도하여 보다 정확한 고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복합 파랑장에 따른 개야수로 퇴적물이동 분석 (Analysis of Sediment Transport in the Gaeya Open Channel by Complex Wave Field)

  • 장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7-115
    • /
    • 2021
  • 서해 개야수로 인근의 파랑전파, 해수유동, 퇴적물이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각종 인공구조물 설치 전(CASE1W)과 후(CASE2W)로 분류하고, CASE1W와 CASE2W에 대한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파랑전파에 대해서는 SWAN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입사파와 반사파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해수유동에 대해서는 FLOW2DH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에 따른 유속 결과를 도출하였다. SWAN 수치모형과 FLOW2DH 수치모형의 결과는 퇴적물이동을 예측하는 SEDTRAN 수치모형의 입력조건이 되어 개야수로 인근의 최대 저면전단응력과 부유사 농도분포를 계산하였다. SWAN 수치모형 계산결과, CASE2W의 경우 약 7 km 길이의 북측 도류제에 의해서 입사파가 회절 및 중첩되고, 반사파가 생성되어 개야수로 인근의 파고를 CASE1W에 비해 40~50 % 증가시켰다. FLOW2DH 수치모형 계산결과, 북방파제, 북측 도류제 및 금란도에 의해서 개야수로의 유속이 CASE1W과 대비하여 CASE2W가 10~30 % 빠르게 계산되었다. SEDTRAN 수침모형의 계산결과, 복합 파랑장(입사파, 반사파, 조석)에 따른 해양환경과 각종 인공구조물의 설치에 의해서 개야수로의 최대 저면전단응력이 1.0 N/m2 이상인 구간과 부유사농도가 80 mg/L 이상인 구간이 넓게 분포되었다는 것은 개야수로에 퇴적현상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한 탁도계 검교정 (Turbidity Meter Calibrations Based on Grain Size Distribution of Trapped Suspended Material)

  • 조홍연;김백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3-38
    • /
    • 2003
  • 가덕도 인근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해저 퇴적물과 연직방향으로 배열된 표사포획장치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질을 이용하여 탁도계 검교정을 수행하였다. 포획된 부유물질은 모래 함량이 약 6%인 해저 퇴적물에 비하여 주로 실트 및 점토로 조성되었으며, 해저면으로부터의 놀이가 증가함에 따라 세립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최소값으로 나타났으며, 수심별로 포획된 부유물질에 의한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포획 고도가 증가함(즉, 입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결과로부터 부유물질 농도를 환산할 경우 과대추정의 오차가 발생되며, 본 연구해역의 경우에는 그 오차가 최대 25%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해저 퇴적물보다는 수층에서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하여 보정된 검교정식을 적용하는 것이 부유물질 농도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