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교육과정기 이전의 의생활 분야의 교육내용에 대한 고찰 (제2보) -중등 가사를 중심으로-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before the First Curriculum (Part II)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 Textbooks-)

  • 이영숙;유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03-1214
    • /
    • 2009
  • The theory of household arts and practical acts are two traditional mainstream topics of official South Korean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within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1948) is various and practical. The first year textbook discusses the symbolism and maintenance of uniforms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cotton. Clothing and textiles are covered in 26 pages out of the 76 page book. The second year textbook includes the theory of color and form,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lax and silk.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is covered in 33 pages out of the 97 second year textbook. The third year textbook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ool, manufactured fibers, cross weaving, removing stains, clothing arrangements, and equipment; 5 chapters (56 pages out of 137) are spent on clothing and textiles. The fourth year textbook introduces the history of clothing, laundry principles, dyeing, bedclothes, and bed accessories; 4 chapters (63 pages out of 125 pages) are spent on clothing and textiles.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1948) is highly extensive and profound in depth. It is comparable with modern college or specialized high school level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in terms of clothing materials, clothing maintenance, color theories, and dyeing.

효과적인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재연구의 필요성 -피복영역의 지도를 중심으로- (The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 손원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3-85
    • /
    • 1989
  • The Change of environment related to human life, science, technology, economics and education level have much effect on home life. Therefore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to get out of past trite concept that it is only a method to become good housewife and take the role to widen the human life and to grow creative power as a academic part of science. For these, Home Economics should become life education, lif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has to have relation to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effective result from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object, system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object, system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to be improved and teaching material has to be studied systematically. As an object of aboves and education planning in clothing is made for deep understanding the study of Home Economics Teaching Material. And to understand the real state, made some questions, had interview with 63-teaching in Kangweon province and show the results. 1) Tab 1~20 are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object, teaching content, time structure of secondary school. The object is recognized as cultural education and basic job education. 2) Tab 21~30 show the real state of textbook and study of it. To take effect from school lecture other teaching material except textbook is required. 3) Tab 31~40 are the result of sewing and handicraft practice. Sewing and handicraft needs much time and almost all time is used in practicing. 4) Tab 42~54 are the planning of textbook study for effective teaching, self-estimation and teaching material making is also considered. All above is collarless blouse’s planning. Base on above result, all objects of clothing life should be teached. For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1)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teachers is required. 2) To solve indicated problem, national policy, education plan in school and education finance are fully supported. 3) More studies is requi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PDF

실과와 가정교과서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The Analysis on Relatedness of contents about ′Nutrition and Foods′ which are dealt in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Subjects)

  • 양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4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와 기술 가정교과서 내용 중 식생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학년간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1종 교과서인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교과서와 중, 고등학교의기술ㆍ가정교과서이다. 기술ㆍ가정교과서는 중학교 1, 3학년과 고등학교까지 출판된 교과서 중 5종을 추출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먼저 학년별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정리하였고,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기준을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분야는 영양학, 식품학, 급식경영학의 체계로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목표와 교육내용체계는 출판사별로 일치하고 있으나 교과서 서술방식에 있어서 합의가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과 중,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 간에는 내용의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으나 중학교 학년별 내용은 반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교육내용은 일부분 격차를 보이거나 연계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지만, 발전된 내용과 반복된 내용이 많으므로 학년간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PDF

일본 중등학교 가정교과서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es of Housing Unit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in Japan)

  • 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5-183
    • /
    • 2010
  • 본 연구는 일본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 교육내용 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 집필, 내용 수시보완 및 교육내용 재구성 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현재 사용되는 2009년판 중학교의 '기술 가정' 교과서 '가정분야' 2종과 고등학교의 '가정총합' 6종이며, 분석내용은 외형체제, 본문내용, 용어해설, 읽기자료, 표자료 및 활동자료의 내용이었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을 학교급의 증가에 따라 학습의 연계성을 갖고 계통성 있게 심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주생활영역의 학습목표를 학생들에게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개정되는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교과서의 주생활영역은 학년별, 학교급별로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2009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한 시점에 집중이수하는 방식은 교육효과가 낮을 것이므로 교육과정의 검토가 요망된다. 둘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시 관점은 생활의 주체인 개인이나 가족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근접환경, 광역환경 차원을 반영하여 학습자가 자신과 사회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지구환경을 생각하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셋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시 수준은 학교급별 이해수준을 감안하여 이해도가 낮은 중학교에는 실험이나 실습과 같은 체험활동을 포함하고, 고등학교에는 스스로 문제를 연구하고 실생활에 적용하며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PDF

중등학교 가정과 실험학습 교구.설비기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Appropriateness of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 강혜숙;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85
    • /
    • 1993
  •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subjects belong to middle school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f function training is very important. but it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standards are out-dated, and because of it , it incongruent to our realities. Therefore, whenever the curriculum o education and the national textbook are reorgrnized periodically, the reform of standards of educational materials & facilities must be followed by it. But in my opinion, in korean middle school, especiall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educational facilities are not reformed at a proper time. Therefore to enhance the qualities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first place, the preparation for the given conditions of standards of educational materials & facilities are needed. But the educational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many problem not only in the qualitative aspect but also in the quantitative aspect. And in addition to it, lost of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cannot match contents of national textbook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exist.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comprehensively the problem of experimentation /practice of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nnect with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lding several problems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grouping ; the principles and ways concerning the innovation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y which many teachers and students make sure of more efficient teaching/studying, and obtaining basic data which guarantee the ability of innovation concerning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ethod are : 1)grasp our educational realities with my original(question). 2)Integrate/analyse results of 1) 3)check the frequency, percentage with methods of X$^2$-tes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s’. 4)suggest my own alternative proposal.

  • PDF

제7차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분석 (A Content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Secondary School developed by the 7th Educational Process)

  • 손현희;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5-158
    • /
    • 2009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가정교과서의 진로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교과가 진로교육의 어떠한 내용 요소를 얼마나 강조하여 다루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제7차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개발된 7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 영역(이하 가정교과서)을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에서 개발한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준거로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진로 교육 내용의 단원별 구성과 영역별 비중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중등학교 가정교과서 대단원 영역에서 진로교육 내용이 전반적으로 각 영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며, 출판사별 특징보다는 각 단원의 학습 내용과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의 진로교육 영역별 비중에서는 '일과 직업 세계' 영역의 내용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났다. 이는 가정교과가 직업세계에 대한 흥미와 탐색의 기회를 충분히 줄 수 있는 교과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교과서가 진로교육을 강화하고자 하는 교육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 PDF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등 가정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와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 (Future Tasks and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Make the Best Use of Home Economics Textbooks in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Newly Revised 2007 Home Economics Curriculum)

  • 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3-1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새 가정과 교과서의 질적 분석을 통해,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내재된 철학과 그것에 기초한 새 가정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를 파악하고, 파악된 과제에 대한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과 이 교육과정에 기초해 집필된 중학교 1학년 가정과 교과서 12권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가정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내재된 철학을 살펴 본 결과, 비판 과학에 기초한 교육과정 관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둘째, 새 가정과 교과서의 현상과 양미경이 제시한 교과서 구성 방식에 대한 4가지 기준에 의거해 과제가 검토되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교과서들은 교사들이 관점 있는 수업, 학생들로 하여금 깊이 있는 사고를 하도록 이끄는 수업, 학생들로 하여금 주체적이고 비판적 사고를 하도록 이끄는 수업,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실천적 추론 수업을 하는데 무리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파악된 과제에 대한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했다.

  • PDF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주거개념에 대한 중요도 인지 및 주거학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부산시를 중심으로 - (Scondary home economics teachers' opinions reganiding importance of teaching verious housing concepts and use of teaching method and media)

  • 최영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13-128
    • /
    • 199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eaching housing course at secondary level. The main tasks of Investigation were to: (1) identify appropriate housing concepts to be taught at secondary school, (2) determine the Kinds of media and methods used for teaching housing course at secondary school.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1) the teacher`s background, (2) the teacher`s opin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housing topics to teaching. (3) what type of media and methods were used by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In Pusan during November 1959. The Sample, 150Home Economics teacher was randomly selected from secondary school list in Pusan. Responses from 122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processed by the S.P.S.S. computer program. and N.P.E.R.C using for frequency counts and percentages to analyze the data from all three sections of questionnai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Newman-kuels Multiple Comparison test were used to reject or accept the hypotheses.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opin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housing topics to teach and teachers actural practice of teaching housing concepts and topics, (2) teachers taught housing concepts which were important to teach by their opinion, even though those concepts were neglected in textbook, (3) teachers did not use a various of media and methods for their teaching housing class, (4) the important reasons given why the teachers for not using the various media and methods were because of undesirable educational situations, and (5)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ackground and teachers` opinion regarding importance of teaching topics in housing class at secondary school, using media and methods.

  • PDF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중복 내용 분석 (The analyses of duplicated contents of 'Consumer Life'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이정윤;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1-1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생활' 영역의 분석준거를 설정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중복된 내용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가정과 교육에서 '소비생활' 영역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내용 중복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기술 가정 I II", "사회 I II", "도덕 I II", 고등학교 "기술 가정", "사회", "생활과 윤리"교과서를 개발된 분석 준거로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도덕, 사회) 교과서 내용의 중복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술 가정, 도덕, 사회 교과서 순으로 '소비 생활' 영역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중학교 기술 가정, 도덕, 사회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제시된 중복 상세 요소는 '소비자 정보', '소비의 경제적 영향', '식생활과 지속가능성',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둘째, '소비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사회, 생활과 윤리)를 분석준거에 따라 내용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 '소비생활' 영역 교육내용의 비중은 기술 가정, 생활과 윤리, 사회 교과서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중복 내용 요소는 '식생활관리와 소비환경', '소비욕구', '소비의 경제적 영향', '소비문화의 변화요인과 특징',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가정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은 학습자인 청소년 소비자가 실제 일상생활에서 교과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소비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강점을 지니며 교과 특성상 의식주생활을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생활' 영역을 다루고 있으므로, '소비생활' 영역 교육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정과 교육에서의 '소비생활' 영역 교육은 교육 내용의 학년별 연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단원 내용 구성을 통해 중복 내용 요소를 줄이고, 청소년들이 실제 소비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청소년들이 미래 사회의 합리적인 성인 소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소비생활' 영역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정교과에서 '생활과 연계된' 생애 관점의 진로교육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fe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cross the life span)

  • 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3-1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 진로교육은 어떻게 자리매김 되어 왔으며, "진로와 직업" 과목과의 공통점과 상이점의 검토를 통해, 가정교과에서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대안적 진로교육 교수 학습 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07 및 2009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해 집필된 중학교 1-3학년 가정과 교과서 각각 7권씩 21권과 진로와 직업 교과서 1권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육과정과 가정과 관련 학회지를 분석한 결과, 가정과에서의 진로교육은 가정교과의 중요한 한 영역으로서 자리매김 되고 있었다. 둘째, 가정교과와 "진로와 직업" 과목에서 다루는 진로교육의 내용은 자신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의사결정, 진로계획 수립 및 진로라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교육내용을 다루는 관점과 구체적 내용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진로와 직업" 과목에서는 '직업과 연계된' 진로(vacational career) 개념의 진로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가정교과에서는 가정생활, 직업생활, 지역생활을 고려하면서, 직업에 한정하지 않고 '생활과 연계된' 진로(life career) 개념의 진로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셋째, 파악된 가정교과에서의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살린 대안적 교수 학습 전략을 제안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