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mathematics classroom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Teachers Solving Mathematics Problems: Lessons from their Learning Journeys

  • Tay, Eng Guan;Quek, Khiok Seng;Dindyal, Jaguthsing;Leong, Yew Hoong;Toh, Tin L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9-179
    • /
    • 2011
  • This paper reports on the learning journey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f 21 teachers enrolled on a Masters of Education course entitled Discrete Mathematics and Problem Solving. It draws from the reports written by these teachers on their personal journey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m in terms of how they look at their own problem solving experiences, what language they employ in talking about problem solving, and what impact the course has on their views about problem solving. One particular aspect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a pedagogical innovation called the Practical Worksheet, is addressed in some detail. These graduate students are full-time mathematics teachers with at least two years of classroom experience. They include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Reconsidering the Category Framework for Describing Mathematics Teachers' Values

  • Wang, Chih Yeu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68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modified category framework derived from VAMP and VIMT projects for describing teachers' mathematical and pedagogical values, and examines the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values awareness/willingness and teaching, based on case studies of student teachers of secondary mathematics from a follow-up project of VIMT. The preliminary results show that student teachers would teach certain values depending on the awareness of values priority, willingness to teach, their teaching capabilities and classroom conditions. So,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should provide relevant courses to facilitate student teachers to be aware of their implicit values and be willing to enact these values, and to empower student teachers with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to teach the values.

최적화 문제해결 활동에서 "CAS의 도구화"가 교육과정 내용제시 순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strumentalization of Computer Algebra System(CAS) on the Sequence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Activities of CAS)

  • 한세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85-202
    • /
    • 2010
  • 본 연구는 중등수학교육에서 도구화된 CAS에 기반한 최적화 문제해결 활동을 통해 CAS가 교육과정 내용제시 순서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CAS를 활용한 최적화 문제해결 활동을 구안하였으며 3개월간의 CAS 활용 수업 경험이 있으나 아직 미적분학을 접해 본 적이 없는 고등학교 2학년 7명을 선정하여 총 9차시의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녹화자료와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CAS를 이용하여 미 학습된 교육내용인 미분과 삼차방정식, 무리방정식의 해구하기와 그래프 분석이 포함된 최적화 문제해결활동을 수준 높게 다룰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CAS가 교육과정 내용제시 순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예비 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Beliefs Related to Technology Use in Mathematics Class on Their Technology-related Knowledge)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59-478
    • /
    • 2016
  • 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으로 인한 혜택과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예비 교사의 기술적 교육학적 내용 지식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그들의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고등 수학 교사들의 수학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TPACK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이 많고 학생 중심적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이, 경험이 적고 교사 중심의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 보다 테크놀로지에 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의 TPACK과 신념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예비 교사들이 TPACK을 발전 시키고 테크놀로지 통합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지원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통찰을 제공한다.

수학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TEAM Outreach Program based on Mathematics)

  • 황선욱;김남준;손정숙;송원희;이갑정;최성자;유경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389-407
    • /
    • 2017
  • 우리나라의 창의성교육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종합적 사고력과 논리력을 키우기 위해 융합(STEAM)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STEAM의 각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어 종합적으로 문제해결 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창의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런 활동과 경험은 교실을 벗어난 다양한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초 중고등 학생들에게 다양한 수학 창의활동 교육이 강조되기는 하였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 학습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 창의적인 융합적 사고를 키우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는 초 중고등 학생들의 흥미를 극대화하고 수학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STEAM의 요소들을 기반으로 학교의 장을 벗어나서 경험할 수 있는 아웃리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과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흥미나 만족도가 높은 수준이었으며 STEAM 역량 전체점수 및 융합교육 인식은 초, 중, 고 모든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학교급 별로 하위요인은 약간씩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임과 동시에 수학 관련 분야의 진로를 정할 때 도움이 되는 활동을 제공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다양한 활동들을 활용한 흥미있는 창의적 STEAM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학년 아동의 소수 나눗셈 원리 이해에 관한 연구 (5th Graders' Logical Development through Learning Division with Decimals)

  • 이종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1호
    • /
    • pp.99-117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수 나눗셈을 도입하는 수업에서 아동들이 소수 나눗셈을 이해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소수 나눗셈 학습과 관련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아동들이 전개하는 논리적 추론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학에 어떤 차이점이 있다면 그것은 논리적 추론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논리적 추론의 특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자연수)${\div}$(소수) 학습을 하면서 나타나는 논리적 추론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5학년 아동들은 구체적 조작 수준을 넘어 가설-연역적 추론의 수준을 경험하면서 형식적 조작기의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두 종류의 가역성 가운데 상반성에 기초한 아동의 설명은 소수 나눗셈과 관련한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과 함께 이런 가역성은 아동들이 곱셈과 나눗셈을 같은 연산 체계로 이해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 PDF

수학적 모델링 맵으로 살펴본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Trends in Korea research on mathematical modeling investigated by mathematical modeling map)

  • 최경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27-34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점, 영역, 수준으로 구성된 삼차원 수학적 모델링 맵을 활용하여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국내 연구를 되돌아보고, 향후 수학적 모델링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데 있다. 그 결과,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국내 연구는 응용 관점, 개념과 교실 영역, 중등학교 수준에 집중되어 있었고, 앞으로 개념 형성 관점, 시스템 영역, 대학교 및 교사(교육) 수준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수학과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est Practice" in Mathematics)

  • 이대현;최승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49-263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과 좋은 수업에 대한 사례 관찰과 분석을 통해서 수학과 교사들의 좋은 수업의 특징을 알아보고, 수학과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정된 6명 교사들의 수업 사례에서 '좋은 수업'이란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재구성한 수업, 실생활 상황을 도입한 수업, ICT를 활용한 수업, 메타인지 학습 전략을 도입한 수업, 동기 유발이 가능한 수학 수업, 수행평가를 도입한 수업, 수준별 소집단 협력 수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6명의 교사들은 여러 가지 현장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소재에서 출발하여 학생들과 같이 하는 수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6명 교사들의 좋은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로서의 순수한 열정과 노력의 결과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좋은 수업의 특징은 실질적인 수학과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학교 교육의 내실화는 수업의 내실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의 수학교육 동향에 비추어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을 계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들 수업에서 발견되는 수업의 특징을 새로운 학교 수학 수업의 기준점으로 삼아, 수학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현실적인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PDF

정오각형 작도에 의한 특수각의 삼각비 유도 (Derivating the Ratios of Trigonometric Special Angles by Constructing Regular Polygon)

  • 조정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90
    • /
    • 2006
  • 본 논문은 중$\cdot$고등학교에서 특수각의 삼각비를 삼각비의 원래 기원인 기하학적 의미가 아닌 지나친 대수적 접근방법으로 지도하고 있다는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하여 특수각의 삼각비를 유클리드 <원론>에 기초한 정오각형과 정십각형의 작도법으로부터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오각형과 정십각형의 작도법을 고찰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특수각을 기하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런 기하학적 방법을 통하여 특수각의 삼각비의 기하학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수학사를 활용한 삼각비의 교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예비수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Secondary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ubject-Specific, Technology - Integrate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이광호;채정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95-227
    • /
    • 2009
  • 이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이 TPCK 개발을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는 동안 어떻게 그들이 실제교실에서 성공적이었는가를 묘사하였다. 다양한 자료들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결국, 이 연구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예비교사들이 TPCK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TPCK의 네 가지 요인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예비교사들의 이해로 전이되었다. 하지만 신념, 교수, 테크놀로지 배경 다양성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TPCK의 그들의 이해와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