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line chemotherap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Tissue Factor on Invasion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ing Effect of Oxaliplatin in Human Gastric Cancer Cell

  • Yu, Yong-Jiang;Li, Yu-Min;Hou, Xu-Dong;Guo, Chao;Cao, Nong;Jiao, Zuo-Y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845-1849
    • /
    • 2012
  • Objective: Tissue factor (TF) is expressed abnormally in certain types of tumor cells, closely related to invasion and metasta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SGC7901 stably-transfected with human TF, and observe effects on oxaliplatin-dependent inhibition of invasion and the apoptosis induction. Methods: The target gene TF was obtained from human placenta by nested PCR and introduced into the human gastric cell line SGC7901 through transfection mediated by lipofectamine. Stably-transfected cells were screened using G418. Examples successfully transfected with TF-pcDNA3 recombinant (experimental group), and empty vector pcDNA3 (control group) were incubated with oxaliplatin. Transwell chambers were used to show change in invasive ability. Caspase-3 activity was detected using a colorimetric method and annexin-V/PI double-staining was applied to detect apoptosis. Results: We generated the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SGC7901/TF successfully, expressing TF stably and efficie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vasion increased, whereas caspase-3 activity and apoptosis rate we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F can enhance the invasive capacity of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Its increased expression may reduce invasion inhibition and apoptosis-inducing effects of oxaliplatin and therefore may warrant targeting for improved chemotherapy.

소세포폐암에 대한 Cisplatin과 Etoposide(PVP) 복합화학요법의 효과 (A Phase II Trial of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Cisplatin & Etoposide in Small Cell Lung Cancer)

  • 천은미;김형건;손태용;유영진;이상구;이춘택;김영환;이진오;강태웅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6호
    • /
    • pp.632-643
    • /
    • 1994
  • 연구배경: 소세포폐암은 빠른 증식속도와 조기에 전신전이를 나타내지만 화학요법에 비교적 반응을 잘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10년간 CAV에 실패한 환자의 이차 치료로서 사용되던 cisplatin과 etoposide 복합 화학요법(PVP)을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일차 치료로서 시행하여 높은 반응률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저자등은 PVP요법의 유효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9년 1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원자력 병원에서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은 6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cisplatin $30mg/m^2$와 etoposide $100mg/m^2$을 제1일부터 제3일까지 정주하고 매 3주 간격으로 반복 치료하여 그 결과를 판정 하였다. 결과: 총 61명의 환자중 평가가 가능한 55명에서 완전반응이 13예(24%), 부분반응이 29예(53%), 불변이 9예(16%), 진행이 4예(7%)로 총반응률은 77% 였다. 제한기에서는 완전반응이 8예(26%), 부분반응이 21예(68%)였고 확대기에서는 완전반응이 5예(21%), 부분반응이 8예(33%)였으며,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치가 55.8주, 제한기가 61.1주, 확대기가 51.3주였다. 그리고 전체 반응군의 반응유지기간은 29.1주였고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소세포 폐암에 있어서 PVP요법은 일차치료로 사용시 심각한 부작용이 없으면서 비교적 효과적인 복합 화학요법으로 생각된다.

  • PDF

Brain Abscess Showing a Lack of Restricted Diffusion and Successfully Treated with Linezolid

  • Kim, Joo-hyun;Park, Sang-phil;Moon, Byung-gwan;Kim, Deok-ryeong
    •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92-96
    • /
    • 2018
  • A 59-year-old patient with a histor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resented with decreased consciousness and left hemiparesis. A rim-enhanced mass lesion without diffusion restriction was observed in contrast-enhanced MRI including diffusion-weighted imaging. Based on these findings, metastatic brain tumor was suspected. However, brain abscess (BA) was diagnosed after multiple bacterial colonies were observed in aspiration biopsy. Initial conventional antibiotic treatment including vancomycin had failed, so linezolid was used as second-line therapy. As a result, infection signs and clinical symptoms were resolved. We report a case with atypical imaging featur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a BA in an immunocompromised patient undergoing chemotherapy.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이차 치료로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 요법의 효과 (Gemcitabine Plus Vinorelbine as Second-line Chemotherapy of the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hase II Trial)

  • 장필순;강현모;이정은;권선중;안진영;이연선;정성수;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344-351
    • /
    • 2005
  • 배 경 : Gemcitabine, paclitaxel, docetaxel, vinorelbine, irrinotecan 새로운 항종양제의 출현으로 일차 치료의 효과가 증대 되고 있고 재발시에도 좋은 신체 활동도를 보이고 있어서 이차 치료의 대상군도 늘어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치료의 필요성은 증대 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표준 치료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모두 독성이 강하지 않아서 혼합 요법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효과도 입증이 되어있어서 본 연구는 반응이 없거나 반응을 보인후에 재발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 요법을 시행하여서 치료 반응률과 생존율 그리고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IIIA/IIIB, IV로 진단을 받고 일차 항암화학요법치료를 받은 환자중에 초기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치료에 반응이 있었으나 병이 진행된 환자로 추적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과 반응률 그리고 독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치료 반응률은 17%, 반응 유지기간의 중앙값은 3.1개월(1-10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8.2개월(1-23개월) 그리고 1년 생존율은 35%였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독성은 3도 이상의 중성구 감소가 12%, 오심과 구토가 12.5% 였다. 결 론 : 일차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한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이차 치료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요법은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3상 연구를 통한 다른 약제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volvement of GRP78 in the Resistance of Ovarian Carcinoma Cells to Paclitaxel

  • Zhang, Li-Ying;Li, Pei-Ling;Xu, Aili;Zhang, Xin-C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517-3522
    • /
    • 2015
  • Background: Glucose regulated protein 78 (GRP78) is a type of molecular chaperone. It is a possible candidate protein that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drug resistance. We first examined the involvement of GRP78 in chemotherapy-resistance in human ovarian cancer cell.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ression of GRP78 mRNA and protein were examin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in human ovarian cancer cells line (HO-8910). Sensitivity of HO-8910 to paclitaxel was determined with methyl thiazolyl tetrazolium (MTT). Suppression of GRP78 expression was performed using specific small-interfering RNA (siRNA) in HO-8910 cells, and cell apoptosis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5.0 statistical package. Results: HO-8910 cells, with high basal levels of GRP78, exhibited low sensitivity to paclitaxel.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GRP78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t 24h, 48h and 72h after transfection and the sensitivity to paclitaxel was increased when the GRP78 gene was disturbed by specific siRNA transfe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GRP78 expression might be one of the molecular mechanisms causing resistance to paclitaxel, and therefore siRNA of GRP78 may be useful in tumor-specific gene therapy for ovarian cancer.

결핵성 흉막염에서의 6개월 단기 치료 (6-Month Short-Course Chemotherapy for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 김태형;김경아;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509-518
    • /
    • 1998
  • 연구배경: 폐결핵의 치료에서 6개월 단기치료의 효과는 이미 증명되었으나, 결핵성 흉막염의 치료에서 단기 치료의 효과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결핵성 흉막염 자체는 치료 없이도 호전되지만 5년 이내에 약 2/3에서 폐결핵이 발병하게 되므로 결핵성 흉막염 치료 후 장기적 경과 관찰을 해야 그 치료효과를 판정할 수 있다. 결핵의 유병율과 약제 내성율이 높은 국내에서의 결핵성 흉막염의 6개월 단기치료에 대하여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므로, 6개월 단기치료(HRZE 2개월 + HRE 4 개월)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9개월 치료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5월부터 1993년 5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 결핵성 흉막염으로 입원한 357명 중에서 그 진단이 균검사 혹은 조직학적 소견에 의해 이루어진 23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 과: 대상 238예 중 2 예에서는 기조사된 약제 약제 내성 결과에 의한 2차 약제가 처방되었으며, 치료도중 중도 탈락한 38예 및 폐외 결핵 동반 혹은 객담 검사상 증명된 약제 내성으로 장기 치료를 시행한 23예, 치료 도중 발생한 간독성으로 약제를 변경한 8예를 제외한 167예(70.2%)가 각각 6개월 (88예) 또는 9개월 (79예) 치료를 완료하였다. 6개월 및 9개월 치료군 167예 중 흉부 방사선 촬영 소견상 흉막염만 있었던 60예(35.9%)에서 객담도말 또는 배양 검사상 결핵균 양성인 경우가 6예(10.0%)였고, 비활동성 결핵 소견이 동반된 63예(37.7%)에서는 18예(28.6%), 활동성 폐결핵 소견이 동반된 44예(26.3%)에서는 24예(54.5%)에서 객담도말 또는 배양 검사상 결핵균 양성이었다. 6개월 치료군에서는 치료 후 69예(78.4%)에서 평균 23개월 추적 관찰하였으며, 1예(1.4%)에서 종결 후 폐결핵이 발생하였다. 9개월 치료 군에서는 치료 후 71예(89.8%)에서 평균 23개월 추적 관찰하였으며, 2예(2.5%)에서 치료 종결 후 폐결핵이 발생하였다. 치료 종결 후 폐결핵 발생 예는 모두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당시 활동성 폐결핵 소견을 보였다. 결 론: 결핵성 흉막염의 치료에서 6개월 단기 치료 후 폐결핵 발생율은 9개월 치료와 차이가 없었으며, 이상의 결과로 결핵성 흉막염에서 6개월 단기치료는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Paclitaxel 매주 투여 및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을 받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치료 결과 (Treatment Outcome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Weekly Paclitaxel)

  • 김수지;심병용;김치홍;송소향;안명임;조덕곤;조규도;유진영;김훈교;김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30-236
    • /
    • 2006
  • 목 적: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매주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 요법의 안정성과 효과를 알아보고 재발 양상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항암화학방사선 동시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회 1.8 Gy씩 주5회 분할 조사하여 $7{\sim}8$주에 걸쳐 총 선량 $55.8{\sim}64.8$ (median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매주 paclitaxel 50 또는 $60\;mg/m^2$ 용량으로 방사선치료 1일, 8일, 15일, 22일, 29일 36일째에 투여하였다. 항암화학방사선 동시요법을 마친 4주 후부터 paclitaxel $135\;mg/m^2$와 cisplatin $75\;mg/m^2$ 용량으로 3주 간격으로 3주기의 공고 항암화학요법을 추가 시행하였다. 결 과: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23명의 환자 중 3명이 도중에 환자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였고 1명이 5,580 cGy까지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고 세균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방사선 식도염으로 4명(17%)의 환자에서 2도의 식도염이 관찰되었으며 3도 이상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6명의 환자가 추가 공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공고 항암화학요법 중의 급성 부작용으로 3도 이상의 호중구 감소증이 8명(50%)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중 한 명은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 받은 20명의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조사할 수 있었으며 완전 관해 4명(20%), 부분 관해 14명(70%)으로 전체 관해율은 90%이었다. 관해를 보인 환자들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6명 중 14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국소 재발이 9명(5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3명(19%), 원격 전이가 2명(13%)이었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받은 환자들에서의 무진행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5개월이었으며, 2년 무진행 생존율은 18%이었다. 재발된 환자 중 11명에서 2차(second-line) 또는 3차(third-line)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 23명의 중앙 생존 기간은 21개월,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43%, 33%였다. 다변량 분석을 시행했을 때 환자의 나이, 수행 능력, 종양의 크기는 무진행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타났다. 결 론: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paclitaxel 매주 투여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은 안전하고 종양의 관해율도 높았다. 그러나 국소 재발률이 높고 특히 종양의 크기가 큰 환자에서 예후가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부작용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Resistant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ia Patients Treated with 5-Fluouracil plus Actinomycin D

  • Manopunya, Manatsawee;Suprasert, Prapapor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387-390
    • /
    • 2012
  • A combination of 5-fluorouracil plus actinomycin D (5FU plus Act D) is the regimen that has been commonly administered to Chinese and Japanese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ia patients as the first or second line of treatment with an excellent outcome. However, the efficacy of this regimen in a salvage setting was unclear.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5 FU plus Act D regimen utilized in this condition, all GTN patients resistant to at least three previous chemotherapy regimens who received the 5 FU plus Act D regimen between August 2009 and January 2011 at Chiang Mai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There were five cases who met the criteria. Four of those patients were in FIGO stage III to IV with a WHO scoring of more than 12. The median number of cycles for each patient was two and only one case achieved remission while four of the cases were unresponsive. The toxicity was evaluated in 12 cycles. Common complications were uncomplicated myelosuppression and mucositis. In conclusion, this regimen revealed modest efficacy in a salvage setting with manageable toxicity.

Purification of Lovastatin from Aspergillus terreus (KM017963) and Evaluation of its Anticancer and Antioxidant Properties

  • Bhargavi, SD;Praveen, VK;Marium, Salah;Sreepriya, M;Savitha, J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8호
    • /
    • pp.3797-3803
    • /
    • 2016
  • Cervic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malignancy in women worldwide and thu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tality in women. Lovastatin, a non polar, anticholesterol drug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to exert antitumour activity in vitro. In the present study, lovastatin from Aspergillus terreus (KM017963) was purified by adsoprtion chromatography and evaluated for its anticancer and anti-oxidant properties with a human cervical cancer cell line (HeLa). Growth inhibitory and proapoptotic effects of purified lovastatin on HeLa cells were investigated by determining its influence on cell number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DNA fragment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terms of hydroxy radical scavenging effects as well as levels of total reduced glutathione. Cell cycle analysis by flow cytometry (propidium iodide staining) confirmed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and revealed cell cycle arrest in the G0/G1 phase. Results of the study give leads for the anticancer effects of lovastatin and its potential usefulness in the chemotherapy of cervical cancer.

Clinical Outcome of Turkish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with Currently Available Treatment Modalities - Single Center Experience

  • Cabuk, Devrim;Basaran, Gul;Teomete, Mehmet;Dane, Faysal;Korkmaz, Taner;Seber, Selcuk;Telli, Ferhat;Yumuk, Perran Fulden;Turhal, Serd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117-122
    • /
    • 2014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cy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among women in the developed countries. Despite advances in screening, improved local therapies and adjuvant systemic treatments, median survival of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MBC) is in the range of 2-3 years at most.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rapeutic responses of our Turkish patients are similar to those in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MBC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in our institution between 1999-2009 and analyzed thei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survival outcomes retrospectively Results: A hundred and sixty patients were included. Median age was 47 (23-82), median follow up was 24 (2-186) months. At the time of diagnosis 59% of patients were under the age of 50 and 46% were postmenopausal. The majority (37%) had multiple sites of metastases. Forty percent received endocrine therapy and 40% chemotherapy as first line metastatic treatment. Thirty (20%) patients were treated with molecular targeting agents like trastuzumab, lapatinib and sunitinib, frequently combined with a chemotherapy agent. Five-year overall survival (OS) was 32% and median OS was 38 months for the whole group. Five year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was 10% and median PFS was 10 months. Menopausal status, hormone receptor expression and disease free statu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verall survival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p 0.018, p 0.018 and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s: All 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modern oncologic therapies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guidelines. From our data, MBC patients live up to 3-4 years, indicating that further improvement beyond that requires development of new treatment modalities. The survival outcomes of our patients were consistent with the data reported in the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