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cY

검색결과 5,777건 처리시간 0.034초

Streptomyces coelicolor에서 secY 유전자의 클로닝과 염기서열 결정 (Molecular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Gene for SecY from Streptomyces coelicolor (Muller))

  • 김상숙;현창구;김영민;이주헌;정인권;김대명;서주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78-686
    • /
    • 1995
  • SecY is a central component of the protein export machinery that mediate the translocation of secretory proteins across the plasma membrane of Escherichia coli. In order to study the mechanism of protein secretion in Streptomyces, we have done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Streptomyces coelicolor secY gene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for SecY from S. coelicolor showed over 58% identity to that of M. luteu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were highly homologous to those of other known SecY polypeptides, all having the potential to form 10 transmembrane segments, and especially second, fifth, and tenth segments were particularly conserved, sharing greater than 75% identity with W. lute s SecY. We propose that the conserved membrane-spanning segments actively participate in protein export. In B. subtilis and E. coli, the secY gene is a part of the spc operon, is preceded by the gene coding for ribosomal protein L15, and is likety coupled transcriptionally and translationally to the upstream L15 gene. In the other hand, secY gene of S. coelicolor and M. luteus have its own promoter region, are coupled translationally with adk gene and pr sented in adk operon.

  • PDF

Streptomyces lividans에서 secE 유전자의 클로닝과 염기서열 결정

  • 김순옥;서주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3-257
    • /
    • 1997
  • The secE gene of Streptomyces lividans TK24 was clon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with synthetic oligonucleo- tide primer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treptomyces coelicolor secE-nusG-rplK operon.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SecE were highly homologous to those of other known SecE protein, that is 36.8%, 30.4%, 80.0%, and 80.9%, similarity to E. coli, Bacillus subtilis, Streptomyces griseus, Streptomyces virginiae SecE, respectively and exactly same with Streptomyces coelicolor SecE. It means that in spite of evolutionary differences, the genes for protein translocation machinery are highly conserved in eubacteria. The gene organization of secE-nusG-rplK is also similar to that of E. coli, B. subtilis, and streptomycetes.

  • PDF

Under Bump Metallurgy의 종류와 리플로우 시간에 따른 Sn 솔더 계면반응 (Interfacial Reactions of Sn Solder with Variations of Under-Bump-Metallurgy and Reflow Time)

  • 박선희;오태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49
    • /
    • 2007
  • 웨이퍼 레벨 솔더범핑시 under bump metallurgy (UBM)의 종류와 리플로우 시간에 따른 Sn 솔더범프의 평균 금속간화합물 층의 두께와 UBM의 소모속도를 분석하였다. Cu UBM의 경우에는 리플로우 이전에 $0.6\;{\mu}m$ 두께의 금속간화합물 층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250^{\circ}C$에서 450초 동안 리플로우함에 따라 금속간화합물 층의 두께가 $4\;{\mu}m$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Ni UBM에서는 리플로우 이전에 $0.2\;{\mu}m$ 두께의 금속간화합물 층이 형성되었으며, 450초 리플로우에 의해 금속간화합물의 두께가 $1.7\;{\mu}m$으로 증가하였다. Cu UBM의 소모속도는 15초 리플로우시에는 100 nm/sec, 450초 리플로우시에는 4.5 nm/sec이었으나, Ni UBM에서는 소모속도가 15초 리플로우시에는 28.7 nm/sec, 450초 리플로우시에는 1.82 nm/sec로 감소하였다.

  • PDF

속도변화에 따른 점용접된 모자형단면부재의 에너지흡수 특성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for Spot Welded Hat-shaped Section Members at Various Velocities)

  • 심재기;차천석;양인영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14-120
    • /
    • 2006
  • Front-end side members of vehicles are structures with the greatest energy absorbing capability in a front-end collision of vehicles. This paper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pot welded hat and double hat-shaped section members under the axial collapse.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various collapse velocities. It was expected that para-closed sections would show collapse characteristics which b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perfectly closed sections. The collapse velocities were selected as follows: the velocities in the hat-shaped section members were 0.00017m/sec, 0.017m/sec, 4.7m/sec, 6.5m/sec, 6.8m/sec, 7.2m/sec, and 7.3m/sec those in the double hat-shaped section members were 0.00017m/sec, 0.017m/sec, 6.5m/sec, 6.8m/sec, 7.2m/sec 7.3m/sec, and 7.9m/sec. In the program system presented in this study, an explicit finite element code, LS-DYNA3D, is adopted for simulating complicated collapse behavior of the hat and double hat-shaped section members under the same condition of the collapse test. The validity of simulation was confirmed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 and the collapse experiment.

2D-PC MRA를 이용한 넥타이의 순간적인 압박(壓迫)이 내경정맥의 혈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Effects of the Transient Compression by Tightly Tied Necktie on Blood Flow in the Internal Jugular Veins Using 2D-PC MRA)

  • 김긍식;정태섭;박인국;이범수;김현수;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67-276
    • /
    • 2008
  • 본 연구는 20세에서 50세까지 건강한 남성 지원자를 대상으로 내경동맥과 내경정맥의 혈류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2D-PC MRA를 촬영했다. 2D-PC MRA는 제4-5경추디스크를 지나는 FOV 24cm 넓이로 횡단 촬영하여 내경동맥과 내경정맥의 혈류속도를 넥타이를 매지 않은 상태와 세게 맨 상태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넥타이를 매지 않았을 때 내경동맥의 평균 혈류속도 최고치는 우측 72.13cm/sec, 좌측 74.96cm/sec (양측 평균 73.54cm/sec)이였고 내경정맥의 평균 혈류속도 최고치는 우측 -34.45cm/sec, 좌측 -24.99cm/sec(양측평균 -29.72cm/sec)였다. 그러나 넥타이를 세게 매었을 때 내경동맥의 평균 혈류속도 최고치는 우측 61.35cm/sec, 좌측 65.19cm/sec(양측 평균 63.27cm/sec)이며 내경정맥의 혈류속도 최고치는 우측 -22.14cm/sec, 좌측 -17.93cm/sec (양측 평균 20.03cm/sec)였다. 목에 세게 넥타이를 맨 경우가 넥타이를 매지 않은 상태 보다 양쪽 내경동맥의 평균 혈류속도가 86% (63.27/73.54cm/sec)로 약간 감소하는 반면 양쪽 내경정맥의 평균 혈류속도는 67%(-20.03/-29.72cm/sec)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넥타이를 세게 매었을 때 내경정맥의 순환에 미치는 영향(33%의 혈류속도감소)이 내경동맥(14%의 혈류속도감소) 보다 유의성 있게 큰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2D-PC MRA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목에 세게 매었을 때 순간적으로 양쪽 내경정맥이 내경동맥보다 상대적으로 압박되어 혈류속도가 의미 있게 감소되며 일시적 폐쇄가 되는 소견을 보였다. 이 경우 넥타이를 목에 세게 매고 생활을 하는 경우에 대변을 보거나 또는 세면을 하는 등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예기치 않게 일시적으로 내경정맥혈관이 압박되어 폐쇄되며 이차적으로 두개강 내의 정맥성고혈압을 일으켜 뇌졸중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 PDF

The Effects of Isokinetic Exercise Program on the Muscle Strength and Blood Constituent by the Relatively Angular Velocities

  • ;정병옥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3-11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gular velocity on muscle strength and blood constituent. Subjects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6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n=8), and $24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n=8). Each group was applied to perform the isokinetic exercises on extensor muscle group for each 7 times in 10 set (3 days per a week for 3 weeks).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peak torque of quadriceps femoris and blood constituent was measured using RBC, WBC and Hb. The peak torque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 weeks application of $6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than $24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The RBC and Hb wer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 weeks application of $6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than $24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But WBC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 weeks application of $24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than $60^{\circ}/sec$ angular velocity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60^{\circ}/sec$ angular velocity isokinetic exercise application were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on increase of muscle strength. But $240^{\circ}/sec$ angular velocity isokinetic exercise application were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on immune protect system.

수문변화지표법을 이용한 댐 특성요소별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분석 (An Analysis of the down stream impact of dam Characteristics of Dam Using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s)

  • 강기호;박봉진;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48-195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수문변화 지표법을 적용하여 광동댐 등 12개 용수 전용댐의 연 최소 최대유량 크기와 지속기간, 고 저맥파 빈도와 주기, 수문곡선 변화 비율과 빈도, 유량변화정도 등을 분석하여 댐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제시 하였다. 광동댐 등 12개 댐의 월 유량변화를 산정한 결과, 갈수기에 해당하는 10월부터 다음해 6월까지 8개월간의 댐건설전 월평균 방류량은 $0.64\;m^3/sec{\sim}3.05\;m^3/sec$이었으나, 댐건설후 월평균 방류량은 $0.33\;m^3/sec{\sim}2.99\;m^3/sec$$-69.7%{\sim}167.8%$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12월과 1월을 제외하면 댐건설 이후 오히려 $6.8%{\sim}69.7%$가 감소하였다. 우기철인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은 댐건설전 월평균 방류량이 $6.82\;m^3/sec{\sim}7.67\;m^3/sec$이었으나, 댐건설후 월평균 방류량은 $4.12\;m^3/sec{\sim}4.35\;m^3/sec$$51.0%{\sim}55.1%$가 감소하여 저수지 공용량을 이용한 저류효과가 다소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 최소 최대유량 크기와 지속기간 분석결과 1일, 3일, 7일, 30일, 90일 최소유량은 광동댐 등 10개 댐이 댐건설 전후 모두 $0.0\;m^3/sec$로 증감이 없었으며, 달방댐의 경우 30일 최소유량이 $0.026\;m^3/sec$에서 $0.000\;m^3/sec$로 99.11%가 감소하였다. 영천댐의 경우도 30일 최소유량이 $0.101\;m^3/sec$에서 $0.067\;m^3/sec$로 33.73%가 감소 하였으며, 90일 최소유량의 경우 달방댐은 $0.067\;m^3/sec$에서 $0.031\;m^3/sec$로 53.48%가 영천댐은 $0.219\;m^3/sec$에서 $0.150\;m^3/sec$로 31.29%가 감소하였다. 12개 용수 전용댐중 유지용수공급이 계획되어 있는 영천댐과 달방댐을 제외하고는 댐하류 방류량이 없이 건천화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고 저맥파의 빈도와 주기 분석결과 댐건설 이후 수문곡선이 25% 이하로 떨어지는 저맥파는 $72.99%{\sim}98.52%$가 감소하였으며, 저맥파의 기간은 $-80.0%{\sim}4,423.3%$까지 분포하여 상당히 증가하였다. 수문곡선이 75%를 초과하는 고맥파의 발생 횟수는 댐건설 이후 $34.28%{\sim}91.67%$가 감소하였으며, 고맥파의 기간은 $-64.31%{\sim}135.62%$로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 PDF

콘크리트 CLWL-DCB 시험편의 저항곡선 (Resistance Curves of Concrete CLWL-DCB Specimens)

  • 연정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57-364
    • /
    • 2002
  • CLWL-DCB 시험편에 대한 변위제어 파괴실험으로 381mm의 균열성장에 대한 저항곡선이 유도되었다. 변형률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된 평균 균열성장속도는 0.70 mm/sec와 55mm/sec이었다. 초기균열에서 측정된 회전각도는 0.70 mm/sec와 55mm/sec의 균열속도에 대해 각각 최소한 171mm와 93mm의 균열성장 이전에 특이성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저항곡선의 최대 기울기는 0.70mm/sec 균열속도에 대해 25.4mm와 88.9mm 그리고 55mm/sec 균열속도에 대해 50.8 mm와 127mm의 균열성장길이 사이에서 발생되며, 미소균열 국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빠른 균열속도에서 미소균열성장 구역은 보다 길게 형성되며, 미소균열의 국부화 동안에도 큰 균열성장을 보였다. 0.70mm/sec 균열속도의 파괴저항은 152.4mm의 균열성장 이후에 평균 파괴에너지율의 약 70%인 143N/m의 비교적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55mm/sec 균열속도는 254mm 균열성장에서 최대 파괴저항 245N/m까지 증가한 후 파괴저항의 감소되어 불안정 균열성장이 발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5mm/sec 균열속도의 저항곡선은 TPB 실험과 유사하여, 시험편의 크기가 작거나 균열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 취성거동을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 경기만에서 조류자료에 의한 경계면 전단속도 산출 (Estimation of Boundary Shear Velocities from Tidal Current in the Gyeonggi Bay, Korea)

  • 최진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0-349
    • /
    • 1991
  • 1987년 8월 24일부터 9월 28일까지 경기만에 발달한 조류 기원 사퇴위에서 측정한 조류 자료를 분석하여 해저면 상부 1.0 m 에서의 조류 속도(U /SUP 100/) 및 경계면에 서의 전단 속도(U /SUP */)를 구하였다. 전 조사기간 동안 평균 조류 속도는 중충(해 저면 상부 9.0 m)에서 창조시 56.3 cm/sec, 낙조시 63.7 cm/sec 의 지수는 0.15로 추 정된다. 해저 경계층에서의 유속 구조가 대수적 속도 구조 (logarithmix velocity profile) 가정을 이용하여 구한 U /SUP 100/, U /SUP */의 평균값은 각각 41.4 cm/sec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계산된 평균 U /SUP */ 값은 (2.39 cm/sec)동일 지 역에서 최(1990)가 보고한 경계면에서의 임계전단 속도 U /SUP *c/ 보다 상당히 크며, 따라서 본 연구지역의 모래는 대부분의 조석 기간중 쉽게 침식 운반되는 것으로 보여 진다.

  • PDF

한국산 파파리반딧불이의 발광양상 (Luminescent Patterns of the Firefly Hotaria papariensis from Korea)

  • 심하식;권오길;조동현;최준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71-276
    • /
    • 1999
  • 본 연구는 국내에 서식하는 파파리반딧불이의 암컷과 수컷의 발광양상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발광양상은 암컷과 수컷의 정지발광과 구애발광을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각각의 발광지속시간과 발광주기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수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2초)보다 구애발광(0.17초)에서 1.4배 증가하였으며 암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5초)보다 구애발광(0.19초)에서 1.5배 증가하였다. 발광 주기는 수컷에서 정지발광(1.26초)보다 구애발광(1.12초)에서 0.88배 감소하였고, 암컷에서 정지발광(2.99초)보다 구애발광(1.06초)에서 0.35배 감소하였다. 발광양상에서 발광주파수는 수컷의 정지발광에서 0.8Hz, 수컷 구애발광 0.9 Hz, 암컷의 정지발광 0.3 Hz, 암컷의 구애발광은 0.9 Hz로 각각 나타났다. 파파리반딧불이의 발광파장영역은 400nm에서 700 nm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첨두치는 600 nm에 있고 500에서 600 nm사이의 파장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