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water immers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원전 안전관련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예측을 위한 재령계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ime Dependent Diffusion for Prediction Service Life in NPPs Safety Related Concrete Structures)

  • 이춘민;윤의식;김성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36-142
    • /
    • 2019
  • 원자력발전소 콘크리트 구조물은 해안가에 접해 있으며, 해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염해에 의한 내구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3년간의 염해 장기침지시험을 실시하여 염화물이온확산계수의 변화 및 재령계수(m)을 평가한 결과 4,000 Class인 구조물 기초의 m은 0.35~0.39로 KCI나 ACI 제안값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5,000 Class인 필수 냉각수 구조물 및 터널은 0.44~0.53, 6,000 Class인 원자로 격납건물은 0.62로 FIB 제안값과 유사하였다. 실측된 재령계수로 내구수명을 예측한 결과 원전의 모든 안전관련 콘크리트 구조물은 설계수명 60년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시간의존성에 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Study on the Time-dependent Property of Chloride Diffusivity of Concrete)

  • 최두선;최재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4A호
    • /
    • pp.365-371
    • /
    • 2009
  • 콘크리트 중의 염화물이온 확산특성의 평가는 농도 차에 의한 방법이 보통이지만, 이 방법은 보통 수개월에서 수년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최근의 연구는 주로 전위차를 이용하여 염화물이온의 이동을 전기적으로 촉진시켜 전기화학적 이론으로 해석하는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 평가 방법들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촉진시험 방법 중 하나인 Tang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염화물이온 확산계수와 인공해수 침지시험을 통하여 구한 농도차 염화물이온 확산계수와의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다. 포틀랜드시멘트 콘크리트 및 고로슬래그미분말을 시멘트 질량의 40 및 60% 혼합한 고로슬래그미분말 혼합 콘크리트에 대하여 각각 물-결합재비 40, 45, 50 및 60%로 하여 촉진 염화물이온 침투깊이 및 염화물이온의 확산계수를 평가하였다. 염화물이온의 확산계수 및 침투깊이는 시멘트의 수화가 진행될수록, 물-결합재비가 작을수록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시험 방법별 염화물이온 확산계수의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촉진 및 침지시험으로부터 구한 염화물이온의 확산계수 사이에는 선형함수 형태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결정계수 0.96으로 좋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침몰 선박 항해장비의 항적추출 가능성 확인을 위한 침수시험 (Immersion Testing of Navigation Device Memory for Ship Track Extraction of Sunken Fishing Vessel)

  • 이병길;최병철;조기정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4-217
    • /
    • 2022
  • 침몰 선박이 발생하는 경우, 선박의 사고에 대한 원인분석과 사고수습을 위하여 선박의 정확한 항적이 요구된다. 선박의 항적은 육상의 시스템에서도 수집될 수 있으나, 레이더, AIS 등 시스템 권역이 미치지 않는 경우, 선박 자체에 저장된 항적에 의존된다. 우선, 선박사고에서 항적은 사고 분석의 핵심 키가 되는데, 침수되는 선박의 경우, 항적을 저장한 항해장비가 침수되어 부식이 되므로 장비활용이 어렵게 만든다. 최근 사고 선박의 메모리칩을 이용하여 항적을 추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항적을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나, 침수 선박으로 부식이 많이 된 상태에서 인양이 되면 칩자체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부식이 심하게 일어나기 전의 침수 선박의 인양 시점이 언제인지 또는 침수된 선박의 항해 장비 취득 시점이 언제인지는 해양분야 과학 수사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침수된 선박의 항해장비와 같은 유사한 칩들을 침수시키는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시험환경 및 결과 들을 공개 하고자 한다.

  • PDF

왕우럭조개의 모패관리와 성숙촉진을 위한 가온 효과 구명 (Study on the Management of Broodstock and Effect of Raise the Temperature for Promotion of Maturity in Sulf Clam, Tresus keenae)

  • 김철원;정달상;강한승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149-157
    • /
    • 2019
  • 패류 인공종자생산에서 모패관리의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으며 최적의 모패 관리 조건과 원하는 시기에 종자생산을 할 수 있는 성숙유도 조건을 구명하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왕우럭 조개의 모패관리 최적조건과 성숙 촉진을 위한 가온 효과를 조사하였다. 모패관리는 실내사육에 비하여 실외사육이 비만도와 생존율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 측면에서도 인위적인 먹이생물 공급이 없으며 자연환경 조건에서 사육하기 때문에 관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계가온을 통한 성숙촉진 유도는 비만도와 생식소 관찰 등을 통하여 수온 18℃ 이상에서 2개월 정도 사육하였을 경우 성성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성숙관리가 다른 패류에 비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의 산란유발 및 난발생 (Spawning Induction and Egg Development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 이정용;장영진;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9-427
    • /
    • 1996
  • 한해성 패류인 북방대합을 대상으로 자극방법별 산란유발 및 수온별 난발생 과정을 조사하였다. 모패에 대한 산란유발 자극은 $NH_4OH$ 첨가와 serotonin 주사가 효과적이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반응개시 시간에 있어서 $NH_4OH$ 첨가시 방란은 $3\~4$시간, 방정은 1시간 전후에 개시되어 암수간의 차이가 있었다. serotonin 주사는 암수 모두에서 5분 이내에 방란${\cdot}$방정을 유도하였다. 방출된 알의 수는 $NH_4OH$ 첨가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serotonin 주사에 의해 산란유발된 알의 GVBD율, 수정률 및 부화율은 $NH_4OH$ 첨가에 의한 알보다 높았다. 방출된 알은 평균 난경 $65.2{\pm}1.8\;{\mu}m$인 분리 침성란으로 GVBD 이전에도 수정이 가능하였으며, 적정 발생수온은 $15\~20^{\circ}C$였다. 초기 D상 유생까지는 $15^{\circ}C$에서 42시간, $20^{\circ}C$에서 27시간이 소요되었다.

  • PDF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fermented soybean meal, and Saccharina japonica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Yun, Ahyeong;Kim, June;Jeong, Hae Seung;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26.1-26.8
    • /
    • 2018
  •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SBM) and fermented SBM (FSM)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was compared in abalone farm. Dietary inclusion effect of the combined macroalgae (MA) (Undaria pinnatifida and Hizikia fusiforme) and a single Saccharina japonica on abalone was also compared. Three thousand six hundred juvenile abalone were purchased from a private hatchery and acclimat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2 weeks. Six 5-ton flow-through raceway tanks were used, and abalon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anks (n = 600 per tank).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n duplicate. Fish meal, FSM, corn gluten meal, and shrimp meal and wheat flour and dextrin were used as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sources, respectively, in the FSM diet. MA was also included in the FSM diet. FSM and MA in the FSM diet were substituted with SBM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and S. japonica, referred to as the SBM and SJ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elletized by an extruded pelleter. Water stability of nutrients in the experimental diets was monitored at 12,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to satiation with a little leftover for 120 days. The retained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truded pellets were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SBM diet were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and SJ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J diet were also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diet. The longest shell length, widest shell width, highest shell height, and greatest soft body weight were obtained in abalone fed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SJ and FSM diets.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In conclusion, SBM was a superior protein source to FSM in extruded pellet for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Dietary inclusion of a single S. japonica was superior to the combined inclusion of U. pinnatifida and H. fusiforme in the production of abalone.

Substitution effect of white radish (Raphanus sativus L.)' by-product and tunic of sea squirt (Halocynthia rorentzi, von Drasche) for Undaria pinnatifida in feed of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Jeong, Hae Seung;Kim, June;Yun, Ah-Yeong;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10.1-10.8
    • /
    • 2018
  • Substitution effect of white radish' by-product (WRB) and tunic of sea squirt (TSS) for Undaria in feed on growth and carcass composition of abalone was determined. Eight-hundred forty juveniles were distributed into 12 containers. Three formulated diets were prepared in triplicate. A 15% Undaria was included in the control diet. The 15% Undaria was substituted with a same amount of WRB and TSS, referred to as the DRG and TSS diets, respectively. Finally, dry Undaria was also prepared to compare effect of the formulated diets on performance of abalone.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at a satiation level with a little leftover. The feeding trial lasted for 16 weeks.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perimental diets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Higher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s retained in all formulated diets compared to the Undaria were observed at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Survival of abalone was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TSS diet was greater than all other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control diet was not different from those of abalone fed the WRB diet.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as affected by the diets. In conclusion, WRB and TSS are the promising feed ingredients to replace Undaria in abalone feed; especially, TSS is superior to either Undaria or WRB. The formulated diets produced improved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over the single Undaria.

굴, Crassostrea gigas 정자의 냉동보존 (Cryopreservation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Sperm)

  • 박미선;민병화;박정준;임현정;명정인;정민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1-2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굴, Crassostrea gigas의 계획적인 인공종묘생산 및 우량형질의 정자를 보존하기 위하여 냉동보존 시 적정 결빙억제제 (cryprotective agent, CPA) 및 농도를 알아보고자, CPA 종류 및 농도별 독성 및 냉동보존 효과를 파악하고 해동 후 정자의 세포 손상을 조사하였다. CPA 종류 및 농도별 침지시간에 따른 굴 정자의 독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생존율 및 운동성은 DMSO가 가장 좋았으며, 다음으로 EG, glycerol, Methanol 순이었다. 희석액으로 여과해수를 사용하여 CPA 종류 및 농도별 냉동보존 결과, 15% DMSO로 냉동보존 한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이 가장 높았다. 굴의 냉동/해동 정자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DMSO, EG, methanol, glycerol 순으로 세포 손상이 적었으며, 농도는 15, 20, 10, 5%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굴 정자의 냉동보존 시 여과해수를 희석액으로 사용할 경우 적정 CPA는 DMSO이며, 농도는 15%였다.

원전 취배수 구조물 콘크리트 배합의 염소이온 확산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Evaluation of Chloride 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Mix for Nuclear Power Plant Water Distribution Structures)

  • 이호재;서은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12-118
    • /
    • 2022
  • 이 연구는 원전 안전성 관련 구조물의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이용하여 확산특성을 평가하였다. 원전안전성관련 콘크리트 구조물 중 해수에 침지되거나 간만대에 위치하는 취배수구조물의 배합을 선정하여 압축강도, 전기전도도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평가, 염수침지를 통한 확산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전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기준강도인 91일까지 재령에 따라 1, 7, 14, 28, 56, 91일에 압축강도를 측정했으며, 재령 28, 91일에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평가를 실시했다. 재령 28일 콘크리트 시험체를 28일간 염수에 침지한 뒤 깊이별 시료를 채취하여 염화물량을 분석함으로써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100%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플라이애시가 20% 치환된 원전 콘크리트 배합이 28일 이후 장기적인 강도증진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원전콘크리트 배합이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100% 사용한 배합보다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높고 확산계수도 더 낮게 나타나 염해에 대한 저항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