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ed and dried squid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오징어를 이용한 조미 건조포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and Dried Squid Slice)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116-120
    • /
    • 2007
  • 주요 수산가공자원의 하나인 오징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오징어포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오징어의 효율적 이용 측면에서 조미 오징어포의 제조는 오징어를 70%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오징어와 수리미를 70:30의 비율을 사용하여 제조한 조미 오징어포는 조미 수리미포에 비하여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및 threonine 등이었다. 또한, 조미 오징어포의 칼슘 및 인 함량은 조미 수리미포에 비해 높았으며, 조미 오징어포의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 및 taset value는 각각 3,199.1 mg/100g 및 402.00이었고 맛에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이었다.

조미오징어(Dosidicus gigas)의 가공 공정 중 미생물 오염도 및 오염원에 관한 연구 (Microbial Contamination of Seasoned and Dried Squid Dosidicus gigas during Processing)

  • 최규덕;박욱연;신일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45-453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seasoned and dried squid Dosidicus gigas processing, including the apparatus, machines, and employee's gloves at each step in processing at two companies. The numbers of bacteria floating in air in each processing area were also examined. The numbers of Staphylococcus aureus (3.6-6.0 log CFU/g) and Escherichia coli (1.3-1.4 log MPN/100 g) in domestic and imported daruma (a semi-processed product of seasoned and dried squid) at companies A and B exceeded the regulatory limits of the Food Sanitary Law of Korea (S. aureus, ${\leq}2.0$ log CFU/g; E. coli, negative). S. aureus in both daruma was reduced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or 3.6 log CFU/g after the roasting step, but increased again to 3.3 and 5.5 log CFU/g after the mechanical tearing step at companies A and B, respectively. E. coli showed similar tendencies at both companies. The surfaces of the apparatus, machines, and employee's gloves that contacted daruma were also contaminated with S. aureus (1.0-5.5 log CFU/$m^2$) and E. coli (negative-to 3.5 log MPN/$m^2$). The numbers of bacteria floating in air were high (1.7-5.1 log CFU/$m^3$) at both compan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SOP) must be developed to control of microbial cintamination in seasoned and dried squid.

수입육류 및 어류의 방사선조사 여부 판별을 위한 Marker로 검출되는 Hydrocarbons의 활용 (Application of Hydrocarbons as Mar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Imported Meats and Fish)

  • 황금택;박준영;김충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09-1115
    • /
    • 1997
  • Hydrocarbons were analyzed in irradiated beef, pork, dried and seasoned beef, dried anchovy, dried squid, dried shrimp, and fish paste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ocarbons can be used as mar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the imported meat and fish products. The samples were irradiated at 0.5, 1, 3, and 6 kGy. Fat was extracted with hexane, and hydrocarbons were separated from the fat through Florisil column. The hydrocarbons were analyzed with GC. Hydrocarbons 15:0, 16:1, 17:1, 16:2, 17:2, and 16:3 in beef and pork, 17:1, 16:2, and 17:2 in dried and seasoned beef, 16:2 in dried anchovy, 16:1 and 17:1 in dried squid, 16:1, 17:1, and 16:2 in dried shrimp, and 16:1, 16:2, and 16:3 in fish paste were detected in the irradiated samples, but not in the unirradiated, so that the hydrocarbons may be used as ma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each item.

  • PDF

Accelerating Effect of Squid Viscera on the Fermentation of Alaska pollack Scrap Sauce

  • Kim, Sang-M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3-106
    • /
    • 1999
  • Fish sauce is a liquid form of salt-fermented fish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dietary life. Fish sauce was manufactured by utilizing Alaska pollack scrap from Himedara(seasoned and dried Alaska pollack tail) processing . In addition, the effects of squid viscera as a fermentation enhancer were also evaluate.Ph of Alaska plllack scrap sauce with squid viscera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over the entire fermentation process. Squid viscera acceleraged the production of amino-nitrogen, VBN , TBA and free amino acids, and the degradation of IMP and Inosine. The addition of squid viscera and koji at 5% concentration, respectively , also accelerated the digestion of Alaska pollack scrap and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squid viscera at 10% concentration.

  • PDF

전통 밑반찬의 인지도와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II) -마른반찬 및 자반류-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II) -Dried Side Dishes and Jabans-)

  • 윤계순;송요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93-600
    • /
    • 199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dried side dishes and Jabans, by housewives. Among the 59 kinds dried side dishes and Jabans, the most well-known food (above 90% of subjects) turned out to be squid Po (dried strip), kong Jaban (seasoned bean), pollack Po, dried yellow croacker, build -dried anchovy Jaban and laver Boogag in the order. In cooking experience of dried side dish and Jaban, over 40% of subjects for build-dried anchovy Jaban, squid Po, dried yellow croacker and kong Jaban have cooked frequently.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has bought the marketed dried side dishes and Jaban products was 61.5%. Major problem of that products was pointed out for a sanitary condition and high price. If marketed dried basic side dishes and Jabans were improved over the aspects,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would buy the products was 70.0%. Preparation ability of these basic side dishes was influenced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The working housewives had higher frequency in use than the non-job housewives. The interesting degree for basic side dish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ge, resident area and educational level.

  • PDF

조미건어포류의 안전성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the Safety in Seasoned Dried Fishes)

  • 윤미혜;홍해근;이인숙;박민정;윤수정;박정화;권연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47
    • /
    • 2009
  • 경기북부지역의 시중마트와 재래시장, 국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조미건어포류를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73건을 수집하여 보존료, 이산화황 사용유무 및 함량과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보존료는 73건 중 25건(34%)에서 보존료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한 보존료는 소르빈산으로서 $0.01{\sim}0.92$ g/kg 검출량을 보여 우리나라 사용기준에 적합하였다. 이산화황도 대부분의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1건에서 10.5 mg/kg이 검출되었으나 기준 이내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호기성균은 조사대상 73건에서 모두 검출되었으며 오염범위는 $3.00{\sim}6.45\;log_{10}$ CFU/g, 평균오염도는 $5.09\;log_{10}$ CFU/g를 보였다. 총호기성균 오염도는 시중마트, 재래시장 판매제품보다는 온라인상에서 판매되는 제품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은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조미건어포류들은 우리나라 식품공전 기준에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총호기성균 검사 결과에서 위생적인 제품 생산, 유통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훈액처리에 의한 조미오징어 훈제품의 가공 및 품질안정성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Seasoned Smoked-Dried and Vacuum-Packed Squid)

  • 이응호;박향숙;오광수;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6-324
    • /
    • 1985
  • 북양에서 어획되는 대형 빨강오징어의 효과적인 이용방안의 하나로서 훈액처리진공포장 및 열탕살균법을 병용하여 훈제조미오징어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저장중의 품질안정성을 실험하였다. 동결오징어를 해동한 다음, 탈피한 동부육에 대하여 설탕 $5\%$, 식염 $2.5\%$, 솔비톨 $12\%$, monosodium glutamate $1\%$로 된 혼합조미료를 살포하여 조미($5^{\circ}C$, 15시간)한 다음 건조($45^{\circ}C$, 6시간)하였다. 건조후 $10\%$ Smoke-EZ(Alpha foods Co., Ltd)용액에 1분간 침지후 재건조($45^{\circ}C$, 1시간)한 것을 훈액제품으로 하여 적층 필름포장주머니(polyethylene/polyester : $12{\mu}m/70{\mu}m,\;15{\times}15cm$)에 충전하여 진공포장한 후 $95^{\circ}C$에서 30분간 살균하였다. 제품을 상온, 저온($5^{\circ}C$) 및 $35^{\circ}C$의 항온기에 90일간 저장하여 두고, 저장중 제품의 품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제품은 저장 90일까지 품질에 손상없이 상온에서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었고, 훈액처리함으로서 풍미나 색조면에 있어서 재래식훈제품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훈연처리제품의 결점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는 조미오징어 훈제품을 가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원료오징어와 제품중에서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taurine, glycine 및 proline이었고, 핵산관련물질로서는 hypoxanthine의 함양이 많았다. 그리고 지방산조성 중 함량이 많은 것은 docosahexaenoic acid(22:6), hexadecanoic acid(16:0) 및 eicosapentaenoic acid(20:5)였다.

  • PDF

Koji를 첨가하여 발효한 오징어 내장 조미료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Squid Viscera Product with Aspergillus oryzae Koji and Its Seasoning)

  • 최승화;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4-101
    • /
    • 2011
  • 본 연구는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내장에 koji를 첨가하여 속성 발효한 천연조미료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휘발성 염기질소량과 trimethylamine은 대조군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서서히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pH의 변화량이 적었다. 반면, 산도는 pH 감소와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아미노질소는 식염 5% 첨가군이 가장 짧은 기간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식염 10, 15% 첨가군은 식염 5% 첨가군과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발효기간이 길어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식염 5% 첨가군이 조미료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식염 5%의 농도에 14일 간 발효시킨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이 가장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alanine과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항산화와 항대장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positive control에 비하여 활성이 떨어졌다. 관능검사 결과는 시판 천연조미료와 비교하여 관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은 천연조미료 등 식품첨가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경기와 경북지역의 제수 비교 연구 (Research on the comparison on the ritual food of Gyeonggi and Gyungsangbuk-do province)

  • 김정미;장성현;김종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62-570
    • /
    • 2003
  • The awareness of ritual foods in general rituals were surveyed and compared in the Gyeonggi and Gyungsangbuk-do area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ituals and establish desirable ritual foods. As materials for "Jeon" (fried pan cakes) in rituals, fish fillets, meat and vegetables were largely used in the Gyeonggi region. In the Gyeongbuk region, all three of these ingredients were the most highly used for "Jeon" also. In the case of rice cakes, "Songpyun" steamed on a layer of pine needles, "Jeolpyun" and "Sirudduk", with a red beans, were mostly used in Gyeonggi-do, while "Songpyun", "Jeolpyun" and "Ingelmi" were largely used in Gyeongsangbuk-do. As seasoned vegetables and herbs, fernbrakes, root of bell flowers, green bean sprouts and bean sprouts were largely used in Gyeonggi-do region, whereas, fernbrakes, bean sprouts, root of bell flowers and spinaches were mainly used in Gyeongbuk region. The use of fernbrakes was highest in both regions.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side dishes, 2∼3 kinds of seasoned herbs and 3∼4 kinds of fruits were mostly used, but with slightly higher numbers in the Gyeongsangbuk-do than the Gyeonggi-do region. With regard to liquor used for rituals, clear strained rice wine was used most in the Gyeonggi-do area, while more unrefined rice wine was used in the Gyeongbuk region. Meat was the most used ingredient in broth slices of dried meat and cod were highly used in the Gyeonggi region, but slices of dried squid were most widely used in the Gyeongbuk region. Most households in both regions tended not to use raw fish in the rituals, and as for the ingredients of Korean Kabobs, meat was the most widely used, then fish and finally vegetables were the most used ingredients. Beef soup was the most used, but more green vegetable soup was used in the Gyeongbuk than the Gyeonggi region. Sweet drink made from fermented rice (sikhe) was generally used in the rituals. It was the most widely used in the Chusok-Hangawi Ritual in the Gyeonggi region, while it was used in the New Year's Ritual in the Gyeongbuk region.

장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한식 메뉴에 대한 성인 기호도 조사 (Survey on Menu Preferences of Adults for Korean Food Made from Korean Traditional Sauces)

  • 부고운;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6-136
    • /
    • 2016
  • 전국의 성인남녀 총 962명을 대상으로 장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한식 메뉴 65종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은 메뉴는 돼지갈비찜, 쇠갈비찜, 쇠갈비구이, 불고기, 떡갈비 순이었고,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낮은 메뉴는 가지나물, 오징어무국, 우엉조림, 도라지오이생채, 마른새우볶음 순이었다. 그리고 여자의 기호도가 남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잡채, 도토리묵무침, 궁중떡볶이, 탕평채, 비빔밥, 쇠고기미역국, 숙주나물, 닭찜, 아귀찜이었고, 남자의 기호도가 여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더덕구이, 동태찌개, 고추장찌개, 추어탕, 콩비지찌개 등 총 19종이었다. 또한 20세 미만 그룹의 기호도가 다른 그룹보다 유의적 높은 메뉴는 콩나물국이었고 20세 이상에서 30세 미만 그룹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육원전이었다. 한편 40세 이상 그룹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갈치조림, 더덕구이, 조기양념구이, 동태찌개, 추어탕 등 총 15종이었다. 그리고 생산 서비스직군의 기호도가 다른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동태찌개, 추어탕, 북어구이, 북어찜, 북어국, 가지나물, 조기양념구이였고, 사무 전문직군과 학생직군은 쇠갈비찜, 쇠갈비구이, 닭찜, 비빔국수, 육원전, 궁중떡볶이, 순두부찌개, 잡채, 탕평채, 비빔밥, 오징어볶음의 기호도가 생산 서비스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저나트륨 한식 메뉴 조리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식 외식업체의 식단 개발 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