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surface topography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1초

태풍 곤파스 전과 후의 고창 개방형 조간대 표층 지형과 퇴적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Topography and Sediments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Kompasu in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Korea)

  • 강솔잎;양우헌;전승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9-162
    • /
    • 2019
  • 서해안 대조차 개방형 연안에서 2010년 태풍 곤파스 전후에 나타난 지형, 표층 퇴적물, 퇴적상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형의 강한 태풍인 곤파스는 2010년 9월 1일과 2일 사이에 한반도 남서부 해안에 상륙하여 내륙을 관통했다. 태풍 전후에 고창 동호리 조간대의 측선을 따라 30 m 간격으로 22개 지점에서 지형을 측량하고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였다. 연구 지역을 평균고조면, 평균해수면, 평균저조면을 기준으로 고조대, 중조대, 저조대로 구분하였다. 태풍 전후의 지형 변화는 고조대에서 평균 0.03 m 퇴적, 중조대에서 평균 -0.15 m 침식, 저조대에서 평균 -0.39 m 침식으로 나타났다. 조간대의 태풍 전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사와 중립사로 구성되며, 세립사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태풍 후 표층 퇴적물은 태풍 전에 비해 평균입도가 세립해졌고, 양호한 분급을 보였다.

아산만의 해저지형과 해수유동 (The Circulation and the Submarine Topography in Asan Bay)

  • 장선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77
  • A series of echo-sounding and current measurements as well as the drogue and the drift bott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san Bay since November 1974. Several sand bars or sand flats covered by silts were developed at ebb tide in the bay. Sand waves and sand ripples were seen on the surface of the sand bars, around which sea channels of 8~ 12 meters in depth are formed. The main stream axis of the flood current which is separated into east and west branch flows southward. A cyclonic and an anticyclonic eddy are developed at the early stage of flood tide. They are transformed into a clockwise eddy before the slack water. The maximum tidal current speed observed was 3.1 ~ 3.2 knots at the entrance of the bay, while it was 1.O ~ 2.8 knots in the bay. The location of the main stream axis of the tidal current coincides well with the sea channel. A salt wedge was observed at the estuary of the Sabgyo-cheon River.

  • PDF

Enhanced Recovery of Gravity Fields from Dense Altimeter Data

  • Kim, Jeong-Hee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7-139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해면고도 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스펙트럼에 걸쳐 정밀도가 향상된 해면고도와 중력이상을 계산하였다. 평형 위성궤도상의 해면고도 자료에 주파수 영역에서의 상관계수를 이용한 필터를 적용하여 표층 지각구조에 의한 중력 시그날을 추출하였다. 교점오차를 보정하여 편향 위성궤도 오차를 수정하였으며 그 결과로 상향및 하향궤도별로 격자상의 중력 시그날을 계산하였다. 또한 방향성 제거 필터를 사용하여 잔재하는 방향성 궤도오차를 수정하였다. 그 결과에 dynamic sea surface topography를 제거하면 지오이드가 되는데 이 지오이드에 gradient 필터를 적용하여 고분해능 중력이상값을 계산하였다. 이 방법들을 약 $900km\;\times{1,200}\;km$지역의 Geosat Geodetic Mission 자료에 적용하여 약 10 km의 분해능을 갖는 지오이드와 중력이상을 계산하였다, 정확한 선상중력 자료와 least squares collection에 의한 중력이상, 그리고 NOAA의 중력이상값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약 1,600 km에 걸쳐 150 mgal의 중력변화가 있는 선상중력 측선에서 , 본 연구 결과의 중력이상값과 고정밀도 선상중력값을 비교한 결과, 차이의 평균은 0.1 mgal, RMS는 3.5 mgal, 그리고 최대차이는 10.2 mgal과 -18.6 mgal이고, 상관계수는 0.993이었다.

  • PDF

한국 서남해안 고창 해빈의 표층 지형 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Topography Variation on the Gochang Beach,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강솔잎;양우헌;전승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3-542
    • /
    • 2015
  • 고창 해빈은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동호리, 광승리, 명사십리 해빈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은 대조차, 개방형, 직선형 해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고창 해빈에서 표층 지형 변화와 퇴적물 집적률의 연평균과 계절 특성을 연구하였다. 2014년 겨울(2월), 봄(5월), 여름(8월), 가을(11월)과 2015년 겨울(2월)의 5계절 동안, 3개 측선을 따라 총 315개 지점에서 지형 고도를 측정하였다. 해안선에 수직인 각 측선은 30 m 간격의 21 지점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의 2014년 연평균 집적률은 -0.081 m/yr로 침식이 우세하였다. 지역별 연평균 집적률은 동호리 해빈 -0.091 m/yr, 광승리 해빈 -0.051 m/yr, 명사십리 해빈 -0.10 m/yr로 나타났다.

북서태평양 중기해양예측모형(OMIDAS) 해면수온 예측성능: 계절적인 차이 (Predictability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Northwestern Pacific simulated by an Ocean Mid-range Prediction System (OMIDAS): Seasonal Difference)

  • 정희석;김용선;신호정;장찬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53-63
    • /
    • 2021
  • Changes in a marine environment have a broad socioeconomic implication on fisheries and their relevant industries so that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the medium-range (months to years) predi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Using a medium-range ocean prediction model (Ocean Mid-range prediction System, OMIDAS) for the northwest Pacific, this study attempted to assess seasonal difference in the mid-range predictability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ocusing on the Korea seas characterized as a complex marine system. A three-month re-forecast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ach of the four seasons in 2016 starting from January, forced with Climate Forecast System version 2 (CFSv2) forecast data. The assessment using relative root-mean-square-error was taken for the last month SST of each experiment. Compared to the CFSv2, the OMIDAS revealed a better prediction skill for the Korea seas SST, particularly in the Yellow sea mainly due to a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topography and current systems. Seasonally, the OMIDAS showed better predictability in the warm seasons (spring and summer) than in the cold seasons (fall and winter), suggesting seasonal dependency in predictability of the Korea seas. In addition, the mid-range predictability for the Korea seas significantly varies depending on regions: the predictability was higher in the East Sea than in the Yellow Sea. The improvement in the seasonal predictability for the Korea seas by OMIDA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for a medium-range marine prediction.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rmal Fronts in the Korean Seas by Satellite data

  • Yoon Hong-Joo;Byun Hye-Ky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696-700
    • /
    • 2004
  • In the Korean sea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Thermal Fronts (TF) were analyzed temporally and spatially during 8 years from 1993 to 2000 using NOAA/AVHRR MCSST. As the result of harmonic analysis, distributions of the mean SST were $10~25^{\circ}C,$ and generally SST decreased as latitude increased. SST increased in the order as following; the South Sea $(20\~23^{\circ}C),$ the East Sea $(17\~19^{\circ}C)$, and the West $Sea(13\~16^{\circ}C).$ Annual amplitudes and phases were $4\~11^{\circ}C,\;210\~240^{\circ}$ and high values were shown as following; the West Sea $(A1,\;9\~11^{\circ}C),$ the Northern East Sea $(A5,\;8\~9^{\circ}C),$ the Southern East Sea $(A4,\;6\~8^{\circ}C),$ the South Sea $(A3,\;6\~7^{\circ}C),$ the East China Sea $(A2,\;4\~7^{\circ}C)$ and phases; $A3\;(238\~242^{\circ}),\;A4\;(235\~240^{\circ}),\;A5\;(225\~235^{\circ}),\;Al\;(220\~230^{\circ}),\;A2\;(210\~235^{\circ}),$ respectively, Both of them were related inversely except the area A2, therefore the rest areas were affected by seasonal variations. TF were detected by Soble Edge Detection Method using gradient of SST. Consequently, TF were divided into 4 fronts; the Subpolar Front (SPF) based on the Cold Water Mass (low SST and salinity Subartic Water), resulting from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NKCC) and the East Sea Proper Cold Water in the middle and low layer, and the Warm Water Mass (high SST and salinity Subtropical Water), resulting from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in area A4 and 5, the Kuroshio Front (KF) based on the Kuroshio Current (KC) and shelf waters in the East China Sea (ESC) in A2, and the South Sea Coastal Front (SSCF) based on the South Sea Coastal Water (SSCW) and TWC in A3. Also, the Tidal Front was weakly appeared in AI. TF located in steep slope of submarine topography. Annual amplitudes and phases were bounded in the same place, and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influence of seasonal variations.

  • PDF

The Altimeter Geoid of the Region of Korean peninsula

  • Yun, Hong-Sic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68
    • /
    • 1995
  • 한반도 주변의 해상고도데이타를 이용한 지오이드면을 결정하였다. 사용된 해상위성 데이타는 Geosat, ERS-1 및 Topex/Poseidon으로부터 계산된 고도데이타이며, 각각의 위성으로부터 계산된 데이터를 Cross-Over 조정방법에 의하여 조정하였다. 조정계산결과 해면고도는 RMS 10 cm 이하로 해상지오이드면으로 채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반도 주변 해상에서의 지구물리학적인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는 보다 광범위한 연구와 계속적인 데이타의 수집이 필요하다.

  • PDF

해수면 온도변화에 따른 제주도 후면 흐름구조 변화에 관한 수치연구 (Numerical Studies on the Variation of Flow Structure Due to Sea Surface Temperature at the Lee Side of Jeju Island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순환;박광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72
    • /
    • 2006
  • 대기-해양의 상호작용과 제주도 후면에서 발생하는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상관관계를 수치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카르만 소용돌이는 한라산의 제한된 높이에서 형성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900 hPa고도에서 카르만 소용돌이가 뚜렷이 생성되었다.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발생초기에는 하나의 소용돌이세포가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용돌이는 이류를 한다. 이때 작은 소용돌이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분리된 소용돌이의 강도와 지속시간은 해수면 온도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즉 약한 해수면의 온도경도는 카르만 소용돌이의 지속 시간을 길게 하며, 산 후면의 소용돌이도를 감소시킨다. 강한 해수면 온도경도는 혼합층과 대기하층 수증기량을 증가시키고, 강화된 하층대기 혼합은 산악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소형 ROV를 활용한 독도 및 심흥택해산 해저면 탐사 (Observation on the Seabed around Simheungteak Seamount near Dokdo and using Mini-ROV)

  • 민원기;노현수;김창환;박찬홍;김동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8-29
    • /
    • 2019
  • 독도와 심흥택 해산의 정상부 및 사면에서 HD 급 비디오카메라, 2기의 LED 조명, 1개의 다목적 로봇팔, 8개의 추진기가 장착된 소형 ROV로 해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장비는 스웨덴에서 제작된 500 m급 소형 무인잠수정 "V8 SII"과 지원모선인 "코쌀 5호"였으며, 수심 범위가 45~370 m인 조사해역의 4정점에서 총 6회 잠수를 수행하였고, 잠수시간은 운용조건에 따라 약 30~120분 소요되었다. 조사 결과, 독도 주변 해저 경사면과 해산 정상부 부근에는 다양한 크기의 암석 및 밀도 높은 부착생물인 심해성 말미잘(Actinostolidae sp.), 거미불가사리류(Ophiuridae sp.), 대게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1) 주요 수산자원인 대게류의 서식 확인 및 심해생물상 자료, 2) 해저면의 퇴적상 및 지형 특성 확인, 3) 육상기원 어구 폐기물 확인 등이다. 본 탐사는 수산자원 및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독도 해저면과 주변 해산의 수중환경의 첫 기록으로서, 동해의 해산 정상부의 심해 저서환경 및 생물의 직접관찰에 소형 ROV가 활용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큰 조차에 따라 변화하는 지형의 대천 해수욕장 이안류 발생 특성 수치모의 연구 (A Numerical Study of Rip Current Generation Modulated with Tidal Elevations at the Daecheon Beach)

  • 최준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247-257
    • /
    • 2022
  • 서해안에서 대규모 조차에 의해 변화하는 연안 수심의 영향으로 서로 다른 원인으로 생성되는 이안류 발달 특성을 수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대천 해수욕장 앞바다의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Boussinesq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하는 FUNWAVE 모형으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천 해수욕장 앞바다는 간조에서는 수면 위로 드러나는 바위 섬이 되고, 조위가 상승하면 수중의 암초가 되는 간출암들이 존재하는 등의 복잡한 지형이 관찰된다. 이를 포함한 조차에 의해 변화하는 수심지형의 영향으로 변형되는 파의 횡방향 비균등성에 의해 발생하는 이안류가 잘 재현되었다. 그 결과를 기반으로 조위에 따라 발생 가능한 이안류의 특성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