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bass (Lateoiabrax japonicu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실내사육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생식소 및 성호르몬의 주년 변화 (Monthly Gonadal and Sex Hormonal Changes of Indoor-Reared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during Annual Reproductive Cycle)

  • 강덕영;한형균;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14-620
    • /
    • 2002
  • 본 연구는 3년생 양식 가두리산 어미를 실내 수조로 옮긴 뒤 연중 생식소와 호르몬의 주년 변화를 파악하기 2년 동안 매달 샘플을 실시하였다. 형태학적 내분비학적 분석 결과 수컷은 암컷에 비해 앞서 성숙이 진행되고, 산란은 1월말에서 3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산란기 이후 다음해 1월까지 모든 암컷은 난황형성 이전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수컷 중 일부는 정자형성 활성을 다시 나타내기 시작했다. 10월에 접어들면서 일조량의 감소와 함께 성장 중인 난모세포에서 cortical alveoli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정자 형성이 점차 늘어났다. 10월과 2월 사이 암컷은 vitellogenesis, 수컷은 spermatogenesis가 일어나며, 난소 성숙지수는 암컷이 4.3$\~$$24.1\%$, 수컷은 $6\%$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산란력 평가를 통해 농어는 다른 해산어류와 유사한 산란 전략을 지니고 있었으며, 다회산란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농어의 생식기 과정동안에 이루어진 성호르몬인 testosterone (T)과 estradiol-17$\beta(E_{2})$ 의 분석 결과 생식기 발달에 따른 농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11월에서부터 2월까지 높은 혈중 T와 $E_{2}$의 농도는 이 시기 수컷의 정자형성과 난소의 성숙란 형성에 있어 이들 호르몬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양식산 농어의 생식기능은 실내 수조에서 발현이 되며,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필요한 수정란 생산이 실내 수조에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남해안 어류양식장 해수 및 양식어류의 위생지표세균 및 병원성세균 조사 (Survey of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and Pathogenic Bacteria in Fish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손광태;오은경;이태식;이희정;김풍호;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59-364
    • /
    • 2005
  • The distributions of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and pathogenic bacteria in seawater and four species of farmed fishes, including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red sea bream (Pagrus major) and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collected at fish farm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October in 2004. The detection rates of fecal coliform and Entirococcus spp. of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in all samples were $38.9\%$ and $23.8\%$, respectively. The occurrence of fecal coliform was highest of $58.3\%$ in Busan, Geoje and Wando area, followed Yeosu $33.3\%$, Jeju $12.5\%$, Tongyeong $11.1\%$. The occurrence of Enterococcus spp. was highest In Wando area ($45.8\%$), followed by Yeosu ($33.3\%$), Tongyeong ($22.2\%$), Busan ($16.7\%$), Geoje and Jeju ($12.5\%$). The detection rate of fecal coliform was higher than that of Enterococcus spp., except in the Tongyeong are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tection rate of fecal coliform from May to October, but the detection rate of Enterococcus spp. increased with seasonal warming seawater temperature. Among the pathogenic bacteria, the detection rate of Vibrio alginolyticus ($49.2\%$) in all samples was highest, followed by V. parahaemolyticus ($36.5\%$), Staphylococcus aureus ($6.3\%$), Salmonella sp. ($2.4\%$). However, V cholerae, V. vulnificus and Shigella sp. were not detected in all tested samples. The detection rates of V. parahaemolyticus and V. alginolyticus increased with seasonal warming seawater temperature from May to Aug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