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w concrete pile method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무소음・무진동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수치해석에 의한 거동분석 (Behavior Analysis of Noise & Vibration-Free Screw Concrete Piles by Means of Numerical Analysis)

  • 김영필;최용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21-2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환경친화적 공법으로 기대되는 무소음 무진동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공법을 소개하였고, 기존 PHC말뚝과 스크류콘크리트말뚝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말뚝의 지지력 및 침하량 거동을 분석하였고 비교하였다.

무소음.무진동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시공법 설정 (Determination of Construction Method for Noise & Vibration-Free Screw Concrete Piles)

  • 최용규;김동철;김성수;남문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360-368
    • /
    • 2010
  • Noise and vibration triggered by pile driving in a construction site not only give hard time to the surrounding areas but could also cause residents nearby to file civil complaints to the extent of bringing construction to a halt. To deal with this issue, construction engineers have worked strenuously to develop low noise & low vibration pile methods. A noise & vibration-free screw concrete pil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one of the successful outputs. It penetrates pile underground by rotating and pressing in body of the pile to avert noise and vibration while maximizing bearing capacity. A prototype of noise and vibration-free precast screw pile method was manufactured, which is not seen anywhere in Korea and elsewhere, and have undergone pilot tests twice to determine construction method.

  • PDF

무소음.무진동 공법을 위한 환경친화적인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시공방법에 따른 연직하중지지거동 분석 (An Analysis on the Vertical Load Bearing Behavior according to Construction Methods of a Environment-friendly Screw Concrete Pile for the Noise and Vibration-free Method)

  • 김동철;최용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11
    • /
    • 2013
  • 국내의 소음 진동규제는 점점 더 강화되고 있어 도심지 근접시공을 위해 현재의 저소음 저진동 공법보다 더욱 환경친화적인 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무소음 무진동 공법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공법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국내 특정 현장에서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말뚝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시공방법에 따른 연직하중 지지능력을 연구하였다. 선행굴착방식으로 시공된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연직압축지지력이 선단분출형슈방식으로 시공된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그것보다 70% 이상 크게 나타났다.

무소음・무진동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시공법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onstruction Method of Screw Concrete Piles for Noise & Vibration-Free)

  • 최용규;김동철;김성수;남문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7호
    • /
    • pp.15-24
    • /
    • 2010
  • 말뚝 항타로 인한 소음 진동공해는 건설현장 주변에 피해를 주고 민원을 발생하게 하여 심한 경우에는 공사가 중단되는 사태까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 기술자들은 저소음 저진동말뚝공법의 개발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 중의 하나인 무소음 무진동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공법은 말뚝 본체를 회전 압입시켜 지중에 말뚝을 관입시키는 방법으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이 거의 없고 지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소음 무진동을 위한 기성스크류말뚝공법은 국내 외에서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본 연구진에 의해 시제품 제작을 완료하였고 두차례 시험시공을 통하여 시공법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무소음 무진동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공법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였고 두차례 시험시공 및 이를 통한 시공법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험시공 결과를 토대로 근입깊이와 지반조건에 따라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을 지중에 관입시키는 시공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소음·무진동을 위한 환경친화적인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시공법에 따른 말뚝 인접 지반의 강도 회복 특성 (A Characteristics of the Strength Recovery of the Soil Adjacent to the Pil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s of a Environment-friendly Screw Concrete Pile for a Noise- and Vibration-free Method)

  • 김동철;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71-80
    • /
    • 2013
  • 2가지 시공법(즉 선단분출형슈방식, 선행굴착방식)으로 시공한 무소음 무진동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인접지반에서 시공 전 후 및 11개월 경과 시 원위치시험(CPT, SPT)을 실시하였다. 선단분출형슈방식 시공법의 경우 시공 직후 말뚝 중심~3.5D(여기서 D : 말뚝직경)의 영역에 있는 지반의 강도는 원지반 강도의 46%정도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시공 후 약 11개월 경과 시 말뚝 인접 지반의 강도회복은 원 지반 강도의 71%정도로 나타났다. 선행굴착방식 시공법의 경우 11개월 경과 시 말뚝 인접 지반의 강도는 원지반의 전단강도까지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의 시공 중 소음과 진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during Construction of Screw Concrete Pile for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 김동철;최용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9호
    • /
    • pp.21-30
    • /
    • 2013
  • 국내의 소음 진동규제는 점점 더 강화되고 있어 현재의 저소음 저진동공법보다 더 환경친화적인 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스크류콘크리트말뚝공법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국내 특정 현장에서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소음과 진동을 측정하였다. 진동의 경우 측정진동은 7.5m 내에서 진동규제기준을 만족하였다. 소음의 경우 측정소음은 15.0m에서 소음규제기준을 2dB(A) 정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국내에서 시공되고 있는 기존 저소음 저진동 말뚝공법의 측정치보다 5~20dB(A) 정도 저감된 값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