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erotinia Rot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에서 Sclerotinia minor에 의한 쑥부쟁이 균핵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by Sclerotinia minor on Aster yomena in Korea)

  • 이상엽;최효원;원항연;한지희;김다연;안성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0-204
    • /
    • 2018
  • 2016년 4월에 한국 구례지역에서 재배하는 쑥부쟁이 줄기에 균핵병이 발생하였다. 그 병징은 주로 줄기에 발생하여 물러 썩어서 심하면 식물체가 마른다. 흰색 균사가 감염된 식물체 줄기와 땅 표면에 퍼져있으며, 병든 줄기 내와 병 발생 부위에 작은 흑색 균핵을 형성하였다. 균핵병은 쑥부쟁이 재배 포장에서 20~80% 높게 발생하였다. 분리균의 형태적 특성 및 유전자 분석에 의하여 이 균은 Sclerotinia minor로 동정하였다. 한국에서 쑥부쟁이에서 분리한 Sclerotinia minor에 의한 균핵병 발생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The First Report of Postharvest Stem Rot of Kohlrabi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Kim, Joon-Young;Aktaruzzaman, Md.;Afroz, Tania;Hahm, Young-Il;Kim, Byung-Sup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409-411
    • /
    • 2014
  • In March 2014, a kohlrabi stem rot sample was collected from the cold storage room of Daegwallyong Horticultural Cooperative, Korea. White and fuzzy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on the stem, symptomatic of stem rot disease. The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infected stem and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for further fungal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to confirm its pathogenicity, according to Koch's postulates. Morphological data, pathogenicity test results, and rDNA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ITS 1 and 4) showed that the postharvest stem rot of kohlrabi was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ostharvest stem rot of kohlrabi in Korea.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omposite Vegetable Crops and the Causal Sclerotinia spp.

  • Kim, Wan-Gyu;Cho, Weon-Dae
    • Mycobiology
    • /
    • 제30권1호
    • /
    • pp.41-46
    • /
    • 2002
  • Composite vegetable crops grown in greenhouses and open fields in Korea were surveyed from 1995 to 1999.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was observed in 123 of 277 lettuce fields, in 11 of 18 head lettuce fields, in 12 of 14 endive fields, and in 4 of 38 garland chrysanthemum fields surveyed during the growing seasons. The disease most severely occurred up to 80% on lettuce.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as high as 20% at its maximum on endive and garland chrysanthemum but relatively low on head lettuce. Symptoms of the disease developed on leaves of all the composites, crowns of lettuce and head lettuce, and stems of garland chrysanthemum. Out of 240 isolates of Sclerotinia species obtained from the diseased composites, 169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the others as S. minor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 sclerotiorum was isolated from all the composites, and S. minor only from lettuce and endive. Eight isolates of S. sclerotiorum and four isolates of S. minor were tested for their pathogenicity to the composi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isolates of the two Sclerotinia spp. induced rot symptoms on the plants of the composi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The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rulence of the isolates to the composites and in susceptibility of the composites to the isolates.

Bacillus megaterium N4에 의한 들깨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erilla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Using Bacillus megaterium N4.)

  • 문병주;김현주;송주희;이광열;백정우;정순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61-769
    • /
    • 2004
  •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 지역의 들깨 하우스내에서 들깨의 잎에 갈색내지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되고 습도가 높을 시에는 잎에 무름증상과 줄기에 잘록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주전체가 고사하여 흰색의 균사로 뒤덮히고 균핵이 형성되는 병해가 발생하여 1998년 5월에 자연발생된 균핵병 발병율을 조사한 결과 약 8.1~28.3%로서 평균 13.9%였다. 이러한 증상을 띄는 병반으로부터 분리된 16균주를 균사절편 접종법으로 병원성 검정한 결과, 접종 1일 후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자연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16균주 모두 80.0% 이상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그 중 병원성이 가장 강한 52균주를 공시선발하고,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동정한 결과, 들깨 균핵 병균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되었다.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길항세균인 Nl 등 6균주를 공시하고 병원균 52균주와 균사생육 억제효과 및 생육상내 포트검정을 통해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N4 균주에 의한 균사생육 억제효과와 방제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 검정시 길항균을 병원균처리 1~3일 전에 처리할 경우 80.0%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치료 효과보다는 발병예방효과가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길항균 N4 균주를 Bergey's manual과 API system을 이 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으로 동정 되었으며, 이를 수화제형인 미생물농약 N4제제로 제조하여 유기합성 농약인 베노밀수화제와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병원균처리 3일 전에 처리할 경우 N4 수화형 제제의 방제가가 98.0%로 베노밀수화제에 의한 78.0%보다 방제가가 높았다.

Sclerotinia trifoliorum에 의한 자운영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Astragalus sinicus Caused by Sclerotinia trifoliorum)

  • 권진혁;이흥수;이용환;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90-93
    • /
    • 2010
  • 경남 고성군 자운영 재배포장에서 잎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무르고 썩으며, 시들어 말라 죽고 병든 부분에 흰색의 곰팡이와 균핵이 발생하였다. 감자한천배지 상에서 균총은 연한 회색이며 균핵의 모양은 구형이고 검은색으로 크기는 $2{\sim}14{\times}2{\sim}7m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과 균핵 형성은 $20^{\circ}C$이었다. 자낭반은 구형 또는 원반 모양이며 크기는 3~8 m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145{\sim}210{\times}10{\sim}12{\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자운영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trifoliorum Eriksson에 의한 자운영 균핵병으로 동정하였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결구상추 균핵병(Sclerotinia rot)의 발생과 병원성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f Crisphead Lettuce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Its Pathogenicity)

  • 백정우;김한우;김현주;박종영;이광열;이진우;정순재;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24-330
    • /
    • 2004
  • 2003년 1윌부터 5월까지 경상남도 부림면 신반리의 결구상추 재배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자연발병된 균핵병의 발병율를 조사한 결과, 5.7%${\sim}$39.0%로서 평균 21.9%였다. 병든 밑둥부위에서 분리하여 병원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확인된 YR-1 균주를 형태 및 배양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기존의 보고와 비교한 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로 동정되었으며, S. sclerotiorum YR-1으로 명명하였다. YR-1 균주의 병원성 검정을 위하여 균사조각 부유액을 접종원으로하여 접종원의 최적 처리량과 최적 농도를 선발한 결과, 50%에 가까운 발병도를 보인 $A_{550}$=0.4와 0.6농도의 균사조각 부유액 40 ml로 선발하였다. 균사조각 부유액으로 병원성 검정 결과, 결구상추 재배 농가에서 자연발병된 병징과 동일한 병징이 나타났다.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의 상추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 on Lettuce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이상엽;홍성기;김정준;한지희;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1-276
    • /
    • 2012
  • S. sclerotiorum에 의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기생진균 P. minitans CM2을 선발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의 상추 시설재배포장에서 실험이 3월부터 4월에 수행되었다 상추균핵병 발생초기에 기생진균의 포자현탁액의 농도별로 7일 간격 1회 부터 3회까지 상추의 지제부에 관주처리하였다. P. minitans CM2($1{\times}10^7/m{\ell}$)의 1회 처리구가 11.0%, 베노밀수화제가 2.7%, 무처리가 31.0% 각각 균핵병이 발생하였고, 2회 관주처리가 7.9%, 3회 관주처리가 12.8% 균핵병이 각각 발생하였다. P. minitans CM2 균주의 처리시기에 대한 시험을 양평과 수원에서 실시하였다. P. minitans CM2 균주의 포자현탁액($5{\times}10^6/m{\ell}$)을 상추 정식직후에 관주 처리가 75.3~84.7%, 정식전 육묘 200공 연결포트에 관주처리한 후 균핵병 발생초기에 관주처리는 58.0~63.8%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P. minitans CM2 균주는 상추균핵병에 생물적 방제를 위한 유망한 미생물농약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Diagnosi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Major Fungal Fruit Rots on Kiwifruit in Korea

  • Kim, Gyoung Hee;Koh, Young Jin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113-122
    • /
    • 2018
  • Ripe rot, Botrytis storage rot and Sclerotinia rot are major fungal diseases that lead to deterioration of fruit quality in Korea. Ripe rot, which is caused by Botryosphaeria dothidea, affects harvested fruits during post-storage ripening, while Botrytis storage rot, caused by Botrytis cinerea, affects harvested fruits during cold storage, and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mainly affects immature fruits on the trees. Major fungal fruit rots tend to affect yellow- and red-fleshed cultivars of kiwifruit more severely because of the sharp increase in their cultivation acreage in recent years in Korea. In this review, we summarize symptoms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fungal fruit rots and propos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s of the diseases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at the farmers' orchards in order to prevent the diseases based on our research works and field experiences and the research works of others conduct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worldwide.

Chemical Control of Sclerotinia rot in Rapeseed Double Cropping after Rice

  • Sun Kwon-Byung;Lim June-Taeg;Jung Dong-Soo;Shin Jong-Sup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92-39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f sclerotinia rot control,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in the cultivation of rapeseed.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rapeseed.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75% WP, chlorothalonil 75% WP, dithianon 43% WP. difenoconazole 10% WP, benomyl 50% WP, and propineb 70% WP. Dry seed yield and control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75% WP ($33g/12{\ell}$),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Sclerotinia rot.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rapeseed.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잠두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배영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5-118
    • /
    • 2007
  •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 동안 경남농업기술원 잠두재배포장에서 지제부위의 줄기와 꼬투리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생기고 시들어 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감자한천배지 상에서 균총은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띄었다. 균핵은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하며 검은색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5{\sim}10\;mm$이었으며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90{\sim}180{\times}12\;{\mu}m$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이며 무색으로 크기는 $8{\sim}12{\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이었다. 이상과 같이 잠두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 검정 결과를 토대로 병원균을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o Bary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잠두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