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3,173건 처리시간 0.026초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라 발생하는 초등학교 과학과 학습 내용 중복 및 누락에 대한 분석 (The Reformed Science Curriculum Contents Overlapped or Omitted in Elementary School Comparing with Existing Curriculum)

  • 전민지;장진아;전영석;이인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58-56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inimize the learning deficiency on science subject in changeover from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o the next curriculum which was noticed in 2007.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overlapped or omitted in science contents organization between the two curriculums; moved contents to upper or lower grade, deleted contents, enlarged contents and reduced contents. Also we found that the deficiency will be occurred for the students who entered school in 2006 and 2007 in elementary school. To minimize the learning deficiency in the changeover, we must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1) We need to promote the teachers' comprehension about the learning deficiency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before carrying out the next curriculum. (2) We must add the measures minimizing the learning deficiency to the teachers' guide and resources which are used in encouragement of learning and teachers' training. (3) We must develop the instructing materials to supplement the learning deficiency for the students who entered school in 2006 and 2007. As practicing above points, we will be able to reduce time loss in studying and teaching the same contents and to supplement the omitted contents.

  • PDF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주제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U.S.)

  • 최상희;하유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3-71
    • /
    • 2019
  •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실무현장과 학술연구분야를 반영하여 교과과정을 개편하자는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편에 필요한 해외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세 가지 측면에서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교과목 분석에 적용된 기준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문헌정보관리 직무단위, 한국연구재단의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와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 나타난 문헌정보학 주제 분류이다.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 결과 공통되게 나타난 현상은 시스템 구축설계 및 정보기술분야의 교과목 수가 많은 것이며 도서관 및 정보센터 경영과 이용자서비스도 교과목이 많은 주제 분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과목선이수제를 위한 환경과학 표준교육과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in Environmental Science)

  • 최돈형;조성화;이순철;전영석;홍준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67-78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UP) in environmental science. UP has much merit; for example, high school students can develop their road for future by the UP procedure which is related intimately with their choice of road for future. Environmental Science is the subject which is stable for UP's goals because of interated nature of environmental science. These goals and the increase of social demand made us proceed this study. So this study had developed a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designed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liberal arts and high school environmental science curriculum. As a result,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s have been conducted mainly by an approach of natural science. Inevitably they should have limits in which students can't have holistic view in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targeted on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consideration for nature of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interests for environment. The second point is promotion of environmental literature for talented highschool students. The third point is the level of lecture, which we put together the lecture level on university general liberal arts. And designed the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which constructed of six field and sisty hours.

  • PDF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과학관 비교 분석 - 패널전시 설명문을 중심으로 (Science Museum Comparative analysis by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 Focused on the Panel Exhibition)

  • 김태형;이창진;신명경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2-302
    • /
    • 2005
  • 과학관은 학생들이 학교 과학 수업 이외에 과학을 경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학교밖 과학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중학교 지구과학내용체계와 영역별 성취기준을 근거로 과학관 패널전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수준과 전시의 연계성이 미흡하였고, 지질영역 전시에 편중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고려한 전시물이 요구된다. 차후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관의 전시 및 교육의 방향과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PDF

제7차 교육과정기의 초등 과학교과 현장학습 실태조사 (A Survey on Science Field Study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in 7th Korean School Curriculum)

  • 김은진;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2호
    • /
    • pp.173-18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current status of science field study in elementary schools. A total of 72 elementary teachers in Busan and Gyungnam districts were involved and the data from questionnaire was gathered.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two parts: items on general level include the epistemological aspect and actual condition and items on concrete level according to chapt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any teachers cognize the requirement of science field study in 7th Korea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is larger than 6th one. But they respond the actual number of science field study in 7th curriculum is nearly equal to 6th. 2. In analysis to grades, the actual number of field study decrease as grade is high. 3. In the science content aspects, the requirement of field study is the largest on biology domain and earth science domain. 4. Many teachers have pointed out “the difficulty of administration for field study” and “inappropriated surrounding of their school” as the problems of science field study in elementary school.

  • PDF

제6차 및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의 STS 내용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S Contents of the 6th and 7th primary Science Curriculum)

  • 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tendency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S education of the 6th and 7th primary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Primary science textbooks in the 6th curriculum, average 13.3% of the total pages was assigned to STS contents but it is increased to 24.2%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STS constituents of the 6th primary science textbooks come out orderly applic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47.1%), relevance of a community(40%), social problems and issues(11.8%). Of the 7th science textbooks, the contents about applic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amount to 67.1% of the total STS constituent and relevance of a community(32.2%) rank behind it. The contents of other components are not enough. The 6th science textbooks contents about the effe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mount to 35.3% of the total STS subject area, and environmental quality(20.0%), natural resource(15.2%), energy(11.8%), sociology of science(11.8%) ranks behind it.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ranking is the effe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42.3%), natural resource(17.3%), energy(12.5%), sociology of science(12.5%), environmental quality(20.0%). There are few contents about population, human engineering and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se in the science textbooks.

  • PDF

과학관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 및 도달 수준 - 중등학교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Levels of Reflection and Attainment of School Science Curriculum Demonstrated in the Texts of Exhibition Panels in Science Museums: Case Studies of Earth Science Contents at the Secondary Level)

  • 김태형;이창진;류춘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73-786
    • /
    • 2009
  • 최근 들어 과학관과 학교 교육과정의 연계가 강조되고 있으나 과학관이 학교 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의 교육과정 반영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할수 있는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과학관 패널 전시 설명문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충청도지역의 세 과학관에서 지구과학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와 교육과정 도달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관 지구과학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는 38.7%로 측정되었으며, 교육과정 도달 수준은 5.0 만점에서2.82로 평가되었다. 차후 과학관 전시물의 패널 전시 설명문의 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도와 도달 수준의 평가 결과가 활용될수있기를 기대한다.

TIMSS 2019의 8학년 화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the Chemistry Domains of the 8th Grade TIMSS 2019)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71-37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9 중학교 화학 영역의 8개 주제를 우리나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지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4명과 중학교 교사 4명은 각각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전공별로 참여하여 총 8명의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2명이 참여해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중 TIMSS 2019 과학 평가틀의 화학 내용이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TIMSS 2019 평가에서 8학년 대상의 246개 문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이 일치하는지 분석하여 8개 주제가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도 분석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MSS 2019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는 주기율표, 화학 반응에서 물질과 에너지, 화학결합에서 전자의 역할이었다. 따라서, '원소를 규칙에 따라 배열하는 주기율표'에 대한 주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변의 발열 반응이나 흡열 반응', 그리고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관한 주제도 국제적인 흐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하거나, 수준을 고려하면서 내용 등을 재구성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화학 내용과 범위, 특히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될 개념의 범위와 순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2007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Analyses of Science Content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2007-Revised)

  • 오윤정;장지영;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75-10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7~9학년 과학과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5개 단원 가운데 9개 단원에서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생물과 지구과학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었고 각각의 주제가 통합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롭게 마련되고 있는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진술 및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필요성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내용 체계, 학습 목표, 교수-학습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안에서 자연적(환경적)차원 이외의 다른 차원인 경제적·사회적·정치적 차원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육목표 분석 -7학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7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Focusing on 7th grade-)

  • 김상달;이용섭;최성봉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640-651
    • /
    • 2005
  • 본 연구는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를 이용하여 한국의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7학년 과학과의 교육목표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목표를 분석하여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목표가 교육과정상의 요구 목표와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목표와 교과서가 연계성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목표는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5의 조작적 기능(G.0)을 제외한 전 범주에 걸쳐 그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정의적인 영역(범주 $H.0\~I.0$)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교과서는 NSTA의 권장 목표 비율과 비교해 볼 때 인지적 영역에 더욱 비중을 두고 출판되었으며, 교과서에 지향(범주 I.0)에 관한 목표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