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ontents question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6초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활성 및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nax Notoginseng Flos extract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cne skin)

  • 김송이;리순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 독성, 항염증을 확인하고, 삼칠화 함유 화장품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여 수분, 홍반, 모공, 블랙헤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ial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었고,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주간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이 3% 함유된 스킨 토너와 스팟 솔루션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수분 증가와 홍반지수, 눈에 띄는 모공수, 블랙헤드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사용 후 만족도 조사에서 피지량 감소, 붉음증 완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칠화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여드름 관리용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창작로봇을 이용한 비전공자의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for Non-Majors Computer Science using Creative Robot)

  • 구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31-638
    • /
    • 2017
  •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우리 삶의 방식과 산업 구조가 IT 기반 자동화를 넘어 지능화 단계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최근 초중등뿐만 아니라 대학에서도 비전공자에 대한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를 통해 비전공자의 소프트웨어 교육 목표를 컴퓨팅 사고 기반의 일반적인 문제해결능력과 자신의 학문 영역에서 소프트웨어 융합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두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자 창작로봇을 이용한 비전공자의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로 구성되는 핵심교양 교과목 수강생 91명을 대상으로 창작로봇 과정과 컴퓨팅 사고 및 융합 요소와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13주 동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창작로봇을 통한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사전 진단 조사를 토대로 수업 후 학생들의 학습 성과, 창작로봇 활동 과정에 대한 만족도, 타 학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학습내용의 이해도, 다 학제적 협력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타 학문에 대한 이해도, 창작로봇 활동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 등 12개 문항에서 수업 전과 비교하여 자신의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상한창화훈지집(桑韓唱和塤篪集)"의 의학문답(醫學問答) 기록과 조일의학(朝日醫學) 교류 (The Medical Exchange of "SangHanChangHwaHunJiJip")

  • 함정식;차웅석;안상우;김남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55-17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from "SangHanChangHwaHunJiJip" how medical exchange between doctors of Joseon and Japan affected medical science of Japan. "SangHanChangHwaHunJiJip" is a record that organized the written conversation between doctors and scholars of the Joseon and Edo period when the delegation so-called Joseon Tongsinsa visited Japan in 1719. Even though "SangHanChangHwaHunJiJip" was written by Japanese, but it was comprised of Joseon's advanced medical ideology, especially "DongEuiBogam" that has occupied an important part of the Joseon medical ideology. As a matter of fact, "SangHanChang HwaHunJiJip" contains general theme and medical subject. But until now, it has been hardly studied by medical historians. Many studies were generally made related to Joseon Tongsinsa, a governmental delegation, focused on literary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by historians. "SangHanChangHwaHunJiJip" is no exception to this trend. We can find that doctors of the Joseon and Edo period entered into colloquium, a form of group discussion, about the clinical theme in "SangHanChangHwaHunJiJip". Concretely, the conversation between doctors of Joseon and Japan was about infant disease, infectious disease, folk remedies, medical herbs, moxa cautery, acupuncture, the study of nature, the study of medical books, etc. For example, when doctors of Japan ask a confirmed disease, doctors of Joseon explained it particularly. They had a great effect on in every cultural aspect of Japan, especially its medical field. Through this study of the medical questions and answers in "SangHanChangHwaHunJiJip", I came to know that the doctors of GiHae envoys gave great influence to the medical knowledge of Japan and the GiHae inherited and developed the medical tradition of SinMyo envoy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is study, I could deduct that "JeongJeongDongEuiBogam" which wa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of the Edo period is due to not only the contents of DongEuiBogam's advanced medical thought, but also the doctors of GiHae envoy. Also, "SangHanChangHwaHunJiJip" gives us an idea that doctors of GiHae envoys have medical trend of the OnBoHakFa and a group of Japanese doctors has medical trend of the study of nature. I am confident that the improvement of medical science and natural history of the Edo period is due to influence of medic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SangHanChangHwaHunJiJip" confirms that medical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affected doctors and scholars of the Edo period.

  • PDF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민감 여부에 따른 영양상태 (The Nutritional Status by Stress on Freshmen of University)

  • 이영희;이승교;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1-95
    • /
    • 2006
  • This study was made to find out how stress affect on nutrition status of the college freshmen who were experiencing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drastic emotional change. 400 male and female freshmen in 4 year colleges were surveyed respectively through the health check-up procedure for college entrance in February, In order to find out the stress in each group frustration, deprivation, lack of self efficacy, type A behavior and anxiety response were surveyed through 10 questions with total 40 points by assigning 4 points for each question. Diet Status was expressed by DDS (Dietary Diversity Score by 5 food groups) and DVS(Dietary Variety Score). 24-hrs recall method was used to find out the quantity of daily nutrient of EAR(estimated adquacy ratio) by KDRIs(Korean Dietary Recommended Intakes). Nutrition level was analyzed by Can-Pro for professionals (Korea Nutrition Association). And for the quality intake, percentage was calculated and MAR(Mean Adequacy Ratio) were produced. Highest point was obtained in the stress of anxiety with the total 40 score of 30.20, and the scores were 29.79, 28.67, and 28.39 for deprivation, type A behavior and frustration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blood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stress type. Stress type was divided into less sensitive group and highly sensitive on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blood nutrient status was observed. The difference of blood component and blood pressure in sensitive and highly sensitive groups was observed in deprivation and anxiety. The index of blood pressure(p<0.05), hemoglobin(p<0.01), HDL-cholesterol(p<0.05), and Fe(p<0.05) was high in the deprivation of sensitive group. Blood pressure and hemoglobin was high in type A of sensitive group(p<0.05). And the contents of blood triglyceride was high in the anxiety of sensitive group(p<0.001) The result of nutrition intake analysis according to stress type showed that there was low intake for energy, riboflavin, and niacin. When the degree of deprivation was high there was a lack of riboflavin intak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utrition intake in lack of self efficacy, type A behavior and anxiety response. Thus, it is necessary for colleges to educate the students to maintain mental stability through various programs and activities after catching a kind and extent of the stress college students we meeting with like the confusion of value system, open heterosexual relationship, and the employment difficulties linked with political uncertainty and economic recession.

  • PDF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이 인식하는 이해 측면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spects Required by Teachers and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production and Genesis' unit)

  • 김명희;추초원;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00-608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수업 중 교사가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인식하는 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 중 학생들에게 하는 질문, 과제 또는 학생 활동을 8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조사하여 Wiggins & McTighe(1998; 2004)가 제시한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토대로 36문항의 선택형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를 90명의 교사와 3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요구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관점, 적용,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나, 적용이 관점보다 많았던 교사의 경우와 차이를 보였다. 이해의 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의 경우 설명과 적용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 학생 두 집단 간 이해의 측면을 비교한 결과, 설명, 적용, 공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에 차이를 보였다(p<0.05). 반면, 해석, 관점, 자기지식에서는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대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기반한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에 있다(강현석, 유제순, 2010). 따라서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여섯 가지 이해의 측면이 고르게 반영되도록 학습내용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창의성, 창발성 그리고 공동가치창출 활동과의 관계: 소비자 동기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 Creativity, Emergent Nature and Engagement of Co-Creation: The Moderating Roles of Consumer Motivations)

  • 강성호;강우성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2호
    • /
    • pp.107-118
    • /
    • 2016
  • Purpose - In today's markets, new technologies such as social network systems and user generated contents have provided consumers with access to unlimited amounts of information and an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consumers in the world. Specially, the massive of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ties and interactive platforms offer the potential to cocreate with a large number of consumers. Significant changes in marketplace suggest that simply being consumer oriented is not enough, so firms must learn from and collaborate with consumers to create values that meet their individual and dynamic needs. In these sense, emergent perspectives in marketing highlight new opportunities for co-opting consumers as a means to define and cocreate value through their engagement. Although the importance of consumer co-creation with firms, the current literature lacks the respond to two questions: (1) who are the most competent consumers for creating the values with firm? and (2) what are the stimulaters to help the consumers engage for co-creation? To this answer the ques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 how to structure consumer motivations to encourage consumers to be more engaged for co-creation and what drives a consumer to get involved to respond to a call for co-cre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who had experienced the co-creation including upstream, downstream, autonomous, and sponsored co-creation with the firms. We collected a total of 343 responses. After we excluded 37 questionnaire because of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306 questionnaire remained. Working with a sample of 306 responses in Seoul and Kwangju,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is employ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 creativity and emergent nature are positively related to engagement in co-creation including upstream, downstream, autonomous, and sponsored co-creation.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 creativity/emergent nature and engagement in co-creation were moderated by intrinsic motivation in case of upstream and downstream co-creation. Finall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onsumer creativity/emergent nature and extrinsic motivation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rketing managers have to consider the consumer personality such as creativity and emergent nature and stimulate the intrinsic motivation of consumer to achieve the co-creation project successfully.

방사선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degree for Clinical Practice of Radiotechnology Students)

  • 김학성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7권4호
    • /
    • pp.75-83
    • /
    • 2004
  • 방사선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목적은 임상실습을 더욱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기초조사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방사선과 학생 227명을 조사 대상으로 2004년 1월부터 2월까지 임상실습 만족에 관한 항목을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설문조사하여 SPSS/PC+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1. 설문조사 8개 항목의 평균점수는 3.64이고, 임상실습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4.00, 임상실습 분야별 만족도는 3.64, 임상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3.69, 임상실습 후 만족도는 3.88, 임상실습 후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3.72, 임상실습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3.21, 임상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3.37, 임상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3.57로 나타났다. 2. 임상실습 시기는 대부분 3학년 1학기, 3학년 여름방학 또는 3학년 2학기에 시행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의견은 3학년 1학기 또는 2학년 겨울방학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교과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기에 합리적인 임상실습 시기를 선택해야겠다. 3. 실습평가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평가기준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실습교재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며, 대학교수는 병원횟수를 좀 더 늘려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심을 가져야겠다.

  • PDF

고지혈증 환자의 웹기반 식사관리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 (A Web-based Internet Program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et Management of Patient Having Hyperlipidemia)

  • 한지숙;허지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87-294
    • /
    • 2003
  • 본 연구는 임상영양 분야의 전문 웹사이트로서 고지혈증 환자를 위한 식사관리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고지혈증을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으로 분류하고 이들에 대한 식사관리, 영양상담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표준체중 및 열량 필요량 파일, 열량별 식단 및 일일 식단표 파일, 식사요법 및 영양관리 파일, 식사력 조사 및 평가파일, 식품 및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파일, 식품의 지방산 파일, 음식 영양소 함량 및 영양소별 20순위 식품 파일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웹 페이지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로 들어가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면 그 결과로 1일 열량 필요량 및 기타 영양소 필요량이 제시되고 그에 알맞은 식단을 보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사관리 프로그램에서는 열량별 식단 자료실을 두어 1200 kcal에서 2500kcal까지 100 kcal 단위로 일주일간의 식단을 볼 수 있게 하였고, 식단계획시 고려사항, 식품의 선택방법, 식품교환표, 고지혈증 식사지침, 식사요법 및 영양관리, 영양소별 20순위식품, 용어설명 및 관련 사이트를 소개하였다 영양상담 프로그램으로는 고지혈증 예방을 위한 식습관 평가와 질환에 바른 식사력조사 및 상담 평가, on-line 영양상담, FAQ 등이 있다. 영양평가프로그램으로는 섭취음식을 입력함으로서 영양소 섭취 상태, 열량 영양소, 지방산, 식사별, 식품군별 영양소 섭취상태, 동ㆍ식물성 식품 영양소 섭취 상태, 기간별 영양소 섭취 변화 등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양소 섭취상태는 환자의 필요량과 비교하여 그래프로 제시되고, 열량영양소, 식사별 영양소, 지방산 섭취 상태는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볼 수 있고, 동ㆍ식물성 식품 섭취 및 기간별 영양소 변화 등은 각각의 영양소별로 그 섭취 상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내 나노제품에 대한 시민 모니터링 결과 고찰 (An Experience of Korean Consumer's Monitoring on Nanoproducts)

  • 김훈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42-45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 '소비자 모니터링'이라는 대중참여모델을 고안하고 그 실행결과를 검토하는데 있다. 모니터 요원은 서울과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 22명이었다. 이들은 모두 대학 시절 이공계를 전공했기 때문에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모니터 대상은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나노제품 167개였고, 모니터 기간은 약 1개월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품에 '나노'라는 용어의 정의와 나노물질의 크기를 적시한 수는 2개(1.2%)였다. 제품에 적용된 나노기술의 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수는 15개(9/0%)였다. 제품의 기능이 향상된 이유를 충분히 설명한 수는 14개(8.4%)였으며, 과장이나 잘못된 지식이 표현됐다고 의심되는 수는 27개(16.2%)였다. 또한 인체와 환경에 대한 위해 가능성이 의심되는 수가 88개(52.7%)였으며, 안전성과 관련한 설명을 명시해야 한다고 지적된 수는 84개(50.3%)였다. 모니터 요원들은 이번 경험을 토대로, 정부가 나노제품의 안전성을 입증해주는 인증제도를 조속히 도입할 것을 촉구했으며, 기업이 나노제품의 설명서에 상세하고 신뢰감 있는 내용을 담을 것을 요구했다.

정보자원으로서 '밈'의 맥락과 실재 -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ontext and Reality of Memes as Information Resources: Focused 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outh Korea)

  • 홍소람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7-253
    • /
    • 2023
  • 이 연구는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변화한 정보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자원으로 밈을 개념화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자원으로서 밈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밈의 맥락과 실재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연구문제로 환원시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밈'은 어떠한 주제들과 함께 연구되는가? 둘째, 어떠한 것들이 '밈'으로 포착되어 연구되는가? 연구문제를 소명하기 위해 국내 밈 연구 145건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중 73건을 대상으로 밈 사례 275개를 추출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밈은 인문학, 사회과학, 복합학, 예술체육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초기에는 Dawkins의 밈 개념을 토대로 한 이론 연구(2012년 전후), 한류 콘텐츠 확산을 설명하기 위한 밈 개념 도입 연구(2015년 전후), 문화사회학의 주요 연구 주제로서 밈 개념의 독자적 연구(2019년 전후)가 이루어졌다. 둘째, 밈은 언어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언어 밈(L-meme)(102건, 37%)과 언어·시각 밈(LV-meme)(23건, 8%), 언어·시·청각 밈(LVM-meme)(21건, 8%) 등 언어 양식에 기반한 밈이 다수였고,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의 빈도·연결중심성·매개중심성 상위 노드에도 language meme(언어 밈) 키워드가 등장했다. 즉, 밈은 언어적 특성을 토대로 한 문화사회학의 고유한 정보 현상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자원으로서뿐만이 아니라 정보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밈 리터러시를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