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worker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5초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측두하악관절장애 증상에 따른 삶의 질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mptoms in Dental Hospital Worker)

  • 김동국;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61-72
    • /
    • 2012
  • 측두하악장애(TMD)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TMD 환자에서의 삶의 질은 저하된다. 일반 인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치과병원 종사자 또한 TMD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그 중 다수가 시간과 관심의 부족으로 인해 TMD 증상을 간과하거나 참게 되며, 이에 따라 TMD 증상이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나타나는 TMD 증상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모집되었고, 대상자들은 동의서 작성 후 WHOQoL 삶의 질 설문지를 기입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TMD의 주관적, 객관적 징후와 증상에 대해 평가되었다. 대상자들은 4가지 군으로 분류되었다 : (1) 정상 군 (2) 관절 장애 군 (3) 국소 근육통 군 (4) 근막동통 군. 총 대상자 중 64.7%가 TMD 증상을 가지고 있었고, 전체 대상자 중에서 무증상군이 사회적 영역 및 그 하부척도 일부, 환경 영역의 하부척도 중 가정환경, 여가생활, 물리적 환경에서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TMD 증상에 따른 진단 분류군 간에는 영적, 종교적, 개인적 신념 영역 외에는 삶의 질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국소 근육통 군이 관절 장애 군과 근막동통 군보다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의사군 내에서는 증상군에서 전체적인 삶의 질이 낮았으며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정신적 영역, 독립성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에서도 증상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그 하부척도인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대인관계, 성적 활동, 가정환경, 재정적 자원, 여가생활, 물리적 환경, 교통수단에서 무증상군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진료보조인력군 내에서의 전반적인 삶의 질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관계 영역 및 그 하부척도인 대인관계에서는 증상군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TMD 증상이 나타난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삶의 질이 낮음을 보였고, TMD 증상과 치과병원 종사자의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추후 치과병원 종사자에서의 TMD 증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공기압력식 진동공구의 국소진동평가 (Assessment of Vibration Produced by Pneumatic Hand Tools Used in Automobile Assembly)

  • 김선술;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n automobile assembly line located in Kyonggi-do, Korea from January 16 to February 28, 199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worker exposures to hand-arm vibration and the performance of gloves for reduction of vibration. The exposure to vibration was measured using to the ISO 5349(1986) method. Vibration acceleration and frequency spectra for each tool were determined on-line replicating actual working conditions and analyzed together with exposure time for evaluating individual worker exposure. Eight pneumatic hand tools, 60 workers exposured to hand-arm vibration, and three pairs of glove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ominant frequencies of vibration for all tools(n=8) measured in this study ranged from 250 Hz to 800 Hz. 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eration between dominant frequencies and free running speed (p>0.05). 3. Total predicted exposure times of using impact, hammer type did not exceed 40 minutes, but metal finish task, using grinder and sander exceeded 40 minutes. Total exposure time affected significantly the frequency-weighted, 4 hr equivalent acceleration. 4. Predicted prevalence and observed exposure period data were compared in workers(n=60), according to ISO 5349. In this results, 23(50.0 %) and 24(48.07 %) persons exceeded the mean latency periods for vibration-induced white finger(VWF) at 10 % (n=46) and 50 % (n=52) standard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ISO equation, mean latent periods for VWF were 3.23, 4.72 years at 10 %, 50 % standards, respectively. 5. Reduction of vibration by gloves was evaluated. Since impact pneumatic tools produced low frequency vibrations, conventional gloves did not provide any protection. Gloves A and C amplify somewhat the signal at frequency below 400 Hz; the attenuation increases progressively by frequency to reach 18 dB ($7.94{\times}10^{-6}m/s^2$) at 1,000 Hz, slightly worsening Glove B did not provide any protection and made the situation slightly worse. However, since they make the hands warm, the occurrence of vibration-induced white fingers may be reduced.

  • PDF

조타실과 기관실 근무자의 뱃멀미 민감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sickness Susceptibility of Seafarer at the Wheel House and Engine Room)

  • 김득봉;김부기;임긍수;김홍렬;김창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2-48
    • /
    • 2014
  • 멀미는 구토 증상뿐만 아니라 현기증, 두통, 졸음, 피로감, 무기력증 등을 동반하여 선박운항자의 신체리듬과 판단능력을 저하시켜 해양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승선경험이 없는 조타실 근무자(실습항해사)와 기관실 근무자(실습기관사)를 대상으로 뱃멀미 민감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선박의 X, Y, Z축 방향에 대한 선체운동을 측정할 수 있는 선체운동계측장비(motion sensor)를 이용하여 선체의 운동을 계측하였고, 설문을 통해 조타실과 기관실 근무자의 멀미에 대한 증상 정도(VIR, VSR)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동일한 상황에서 조타실 근무자와 기관실 근무자간에 느끼는 멀미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멀미는 선체 움직임의 크기뿐만 아니라 움직임의 주기와도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X축과 Y축 방향 선체운동보다 Z축 방향의 선체운동이 멀미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Z축 이외 X축과 Y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조타실과 기관실 근무자의 안전과 선박의 거주성 및 승선감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소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의 커넥티비티 검증 및 소음저감 분석 (Connectivity Verification and Noise Reduction Analysis of Smart Safety Helmet for Shipyard Worker)

  • 박준혁;허준영;이상복;박재문;박준수;이광국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8-36
    • /
    • 2022
  • 현재 조선산업 현장의 자동화, 지능화가 가능해져 작업 생산능력과 비용 경쟁력은 향상되었으나, 산업현장 작업자들의 안전사고 감소율은 여전히 저조한 편이며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는 매우 심각하므로 현장에 맞게 개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소의 작업자 보호 및 환경 안전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의 개발과 함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 구역에서 스마트 안전모 간의 커넥티비티 실증을 목표로 한다. 또한, 작업자 보호 및 안전을 위해 스마트 안전모 착용자 간의 다대다 LTE 통신을 구현하고, 조선소 작업장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작업자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95dB 이상의 충격 소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Butterworth, Chevbychev, elliptic 알고리즘으로 필터링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마트 안전모 간의 커넥티비티 테스트와 소음저감 방법은 향후 조선산업의 현장 맞춤형 스마트 안전모 고도화 개발로 활용성 및 현장의 안전성을 증대시켜줄 것이다.

3D BIM을 활용한 골조 거푸집 공사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Productivity Analysis for Strutural Formwork Using 3D BIM)

  • 최창훈;박영진;소지윤;김성연;이준복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2-300
    • /
    • 2014
  • 건설 프로젝트에 BIM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BIM은 전 생애주기 동안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생산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BIM기반의 물량산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D BIM기반 모델을 기반으로 부재의 물량정보를 활용하여 물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현장 생산성을 도출하여 통합 생산성 기준과 비교 분석하였다. 향후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생산성 저하요인을 분석하여 현장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방안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 대기업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Workers in a Large Company)

  • 유경열;이경종;민경복;박규철;채상국;박재범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6-155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male and female workers in a large electric manufacture company.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on 3,228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annual medical check-up working in a large electric manufacture company in Gyeonggi Province. Medical check-up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hort Form (KOSS-SF)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 were applied to assess occupational stress and mental health.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Results: The proportion of high risk of mental health was 17.1% in male, and 46.9% in women. Job stress had a greater effect on mental health than other general and work characteristics. All subscales of job stress were revealed to affect mental health. Bad occupational climate and lack of reward are the strongest risk factors in mental health of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job stress could affect mental health among large electronic manufacture workers.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 담당 위생관리항목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Performed by School Food service Workers)

  • 이혜연;장혜원;배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31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gap in perceived importance-performance between dietitians and food service workers regarding school food service sanitation and to analyze items that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improvement. Data were collected by 440 food service workers and 71 dietitians in Gyeongbuk provinc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AS package program (version 8.2 for Windows)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itians and food service workers in 18 out of the 20 items. In all of 18 items, the evaluated performance scores according to the food service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dietitians. In addition, the results of IPA confirmed the following areas as improvement priorities: proper hand washing of food service workers, cleanliness of trays and utensils, monitoring of temperature of refrigerated/frozen foods and quality of the food materials during inspection, proper washing and disinfection of raw vegetables and fruits and maintenance of CCP records, and control of food holding temperature and methods. In conclusion, dietitians should perform education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that have low perceived importance and should make a plan to improve sanitation management after understanding the gap in perceived importance-performance between dietitians and food service workers.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and -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he Beef Production Chain in Korea

  • Lee, Haeng Ho;Lee, Gi Yong;Eom, Hong Sik;Yang, Soo-J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01-414
    • /
    • 2020
  • The emergence and persistence of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MSSA) an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in livestock animals have been reported a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transmission to huma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ationwid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MRSA and MSSA in the Korean beef production system, including retail markets, slaughterhouses, and cattle farms. From a total of 1,285 samples, only 5 MRSA strains were isolated: from a farmer (1 ST72 MRSA), a carcass sample from a slaughterhouse (1 ST72 MRSA), and beef cattle (3 ST5 MRSA). In addition, 11 MSSA strains were isolated from beef cattle (n=3), humans (1 farmer, 1 slaughterhouse worker, and 4 retail market workers), and carcass samples (n=1) and slaughterhouse environment (n=1). Although the prevalence of MRSA and MSSA in beef cattle was much lower than that reported in pigs, 5/5 MRSA and 2/11 MSSA strains displayed multiple drug resistance (MDR) phenotypes. Unlike the swine-associated MRSA,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tracycline/zinc resistance and MDR phenotype. However, MRSA strains had an identical set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s and exhibited enhanced levels of resistance to antimicrobial peptides (PMAP-36 and LL-37) compared to the MSSA strains. In conclusion, continued and systemic surveillance of livestock, meat products, and humans in close contact with livestock/meat products is necessary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MRSA and MSSA to humans.

납 취급 근로자의 Monte-Carlo simulation을 이용한 노출 및 건강위해성평가 (Exposure and Health Risk Assessment of Lead Workers using Monte-Carlo Simulation)

  • 염정호;권근상;이주형;정주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0-122
    • /
    • 2006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chronic lead exposure from various media(ie. working environment, food, ambient air), and to certify the usefulness of exposure assessment using Monte-Carlo simulation in the fields of occupational health.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n lead worker's exposure was estimated indirectly from various media and parameters (ie. volume inhaled, body weight, dietary intake, etc.). Uncertainty was analyzed by Monte Carlo simulation with Crystal Ball software. Exposure doses and hazard indices were simulated with various hypothetical scenarios including weekly working hours and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Results : Without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the total exposure dose per kilogram of body weight of lead workers was estimated as $5.45{\times}10^{-3}mg/kg/day$, and hazard index was estimated as 2.26, and exposure contributions were calculated as follows : working environment(82.42 %); foods(17.57 %); and ambient air(0.01 %). But, if working condition has changed - reduction of working hours and using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the total exposure dose per kilogram of body weight was estimated between $1.34{\times}10^{-3}-1.49{\times}10^{-3}mg/kg/day$, and hazard index was estimated between 0.56 - 0.62.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occurrence of hazardous impact(ie. increased blood pressure) through lifetime lead exposure would be expected, and that the Monte-Carlo simulation was useful for the fields of occupational health.

CNT 분산 방법에 따른 접착조인트의 저항 및 분산성 평가 (Evaluation of Dispersivity and Resistance of the Adhesive Joint According to Dispersion Methods of CNT)

  • 이봉남;김철환;권진회;최진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348-355
    • /
    • 2015
  • 접착 조인트는 환경조건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접착강도가 크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파괴 검사법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접착제에 1-2 wt%의 CNT를 첨가하고 저항변화를 측정하여 접착 체결부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전기저항법이 제시되었다. 전기저항법에서는 동일조건에서 접착조인트의 저항값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CNT의 균일한 분산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결함 검출의 정확도가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분산 방법으로 CNT를 접착제에 분산시켜 접착조인트을 제작하고 전기적 물리량을 측정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CNT의 전처리 및 기화과정, 물리적 교반 방법등을 선정하여 효율적인 분산방법을 정립하고 분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제시하였으며 일반적인 분산 방법 대비 선정된 분산 방법을 적용했을 때 전기저항법의 결함검출능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