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도서관 장학관의 역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roles of the school library supervisor)

  • 김정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1-23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o roles and qualifications of a school library supervisor.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chool library supervisor serves as a professional, advisor and director for planning, structuring, implementing, evaluating of a library program, and for curriculum manage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program administration. And to accomplish this, the school library supervisor should posses competencies and vision essential fr priorities and the leadership qualities. Therefore to perform a roles, put the systematic a n.0, pparatus for the school library full-service su n.0, ppervisor and the full-service supervisor should a n.0, ppinted 'library professional'.

  • PDF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경영을 위한 인적자원의 배치 현황 및 직무만족도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 Disposition of Human Resources for Effective Administration in Korean School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5-184
    • /
    • 2007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인적자원 배치에 관한 현황 분석과 인적자원의 직무만족 실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경영을 위한 인적자원 배치 방안의 제시와 인적자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인적자원의 배치에 관한 법률적, 통계적 자료를 고찰하였고, 직무만족도 조사를 위하여 전국 327명의 학교도서관 인적자원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에 걸쳐 질문지를 발송하여 회수한 254개의 질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교급, 근무경력, 고용구분에 따라 인적자원의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검증된 결과를 근거로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경영을 위한 인적자원의 배치율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변천 (The Historical Shift of American School Library Standards)

  • 김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167-191
    • /
    • 1995
  • The school library standards. a guideline encouraging the reasonable library administration for school education that began with early quantity in 1920, has been changed as an information power in 1988 after 7th revision. The school library is highlighted as a gear of education process and the center of education change. The major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name of librarian has been changed from teacher's librarian to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that executes as a leader for participating in plan.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 Second. the type of material has been changed from book to electronic media. Also, the number of book per capital has been increased from 6-8(1920) to 23-28(1988) Finally, the function of school library has been changed from space service into proactive service which is playing the role of the heart of school education process based on information skill.

  • PDF

학교도서관(學校圖書館)의 비이용문제(非利用問題)에 대(對)하여 (About the Problems of Nonuse in School Libraries)

  • 한윤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3-169
    • /
    • 1980
  • The most good library's service will be accomplished for the system of user centralized and we can't expect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without student's use.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for an attempt to know why students don't use the school library. The methods employ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1) To establish some tentativ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library's use or nonuse (2) to get necessary data, a questionnaire was made according to the tentative factors. A questionnaire was sent to teacher and students in the 4 sample high schools in Seoul. The followings are the am lysed results. (1) School library's collection are poor. (2) The school library's equipment and position are bad. (3) The guide or use instruction of school library are not carried out. (4) Teacher librarian can not reach the demand of the society and the atmosphere of library are not good. (5) The books are not lent to students and the circulation procedure are complicated. (6) Our country's educational programme does not organize to promote using the school library. (7) Teachers' knowledge for using the library are poor. (8) Entrance examination of the university disturbed to use the school library. (9) The school administration are not enough to understand about the school library.

  • PDF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s in School Library Use Educ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40
    • /
    • 2003
  •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계발이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주된 목적임을 밝히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교육적 역할인 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학교도서관의 연합운영체계 구축 2. 정보교육의 문화교육차원에서 재정립 3. 교육과정 기반 협동수업을 통한 이용교육 전개

  • PDF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s a culture spade for public education)

  • 조혜영;김성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1-37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공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창의성 있는 인재 양성 및 전인교육을 위해서 문화적 공간으로써 학교도서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학교도서관을 문화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문화예술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도록 영화감상 시설 및 음악 감상 시설을 비롯한 매체와 시설들이 갖추어져야 한다. 특히 방과후에는 각종 문화적 모임의 토론 공간 역할을 비롯한 자유이용 공간, 레크레이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of Korea School Library Association)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3-225
    • /
    • 2012
  •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는 우리나라의 사서교사직을 대표하는 전문직 단체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가 현안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전략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현안문제와 조직내부의 환경을 분석한 후 전체 사업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였고, 규정된 사업 중에서 전략계획이 필요한 12개 사업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업에 대해서 회원들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가 중점을 두어야할 4개의 전략사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업은 학교도서관진흥법의 개정, 초 중등교육법의 개정, 사서교사 고충사례 조사 및 대응, 우수 교육사례 모집 및 배포이며, 각 사업에 대해 달성목표, 집행부별 세부 목표, 추진절차 등을 포함한 전략계획을 수립하였다.

학교도서관 평가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 변우열;이병기;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73
    • /
    • 2011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평가체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경영개선이라는 평가의 본질적 측면과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학교도서관 평가체제 분석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를 바탕으로 평가체제 개선을 위한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쟁점은 평가주관기관, 평가목적, 평가대상 선정, 평가주기, 평가시스템, 평가결과의 활용방안이다. 이 쟁점들에 대해서 설문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효과적인 대안을 선정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시 도교육청 자체평가 모형'을 학교도서관 평가체제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평가체제는 학교도서관 평가에 대한 시 도교육청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하였으며, 평가결과가 학교도서관에 대한 구체적인 행 재정적 조치와 연계되도록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방안 연구 (A Research for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English Reading Programs at Public Children's Librari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95-4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공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타당성, 문제점 및 효과성을 평가하고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사례로 서울시 소재 공공어린이도서관인 'S 어린이도서관'의 학부모 및 프로그램 참가 아동을 대상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및 프로그램 관찰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웹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도서실 시스템 설계와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Library System Based on Web Database)

  • 손창익;설문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491-506
    • /
    • 2001
  • 본 시스템에서는 도서의 검색 및 관리, 대출, 반납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초등학교의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독서 교육 활동을 제공하고 독서에 대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 인정을 통하여 접속한 후 교사는 자기 반 학생을 관리하고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서로간의 의사 소통과 도서실 이용에 대한 제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또한 학생은 자신의 독서활동을 평가받을 수 있으며 건전한 독서생활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