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Dust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1초

포항지역 대기 중 초미세먼지(PM$_{2.5}$)의 오염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of Pohang Area)

  • 백성옥;허윤경;박영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2-313
    • /
    • 2008
  • 본 연구는 포항지역 대기 중 PM$_{2.5}$의 물리 화학적 성분들의 농도분포특성을 파악하여 PM$_{2.5}$에 대한 배출원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PM$_{2.5}$농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료채취지점은 포항지역 내의 대조적인 두 지점인 공업지역과 주거지역에서 각 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시료채취는 2003년 3월부터 12월에 걸쳐서 계절별 10$\sim$15일 동안 고용량공기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24시간 연속 채취였다. PM$_{2.5}$ 시료에 함유된 화학성분들은 산추출하여 ICP와 이온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PM$_{2.5}$의 전체평균은 공업지역이 36.6 $\mu$g/m$^3$, 주거지역에서 30.6 $\mu$g/m$^3$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두 지점 모두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다음으로 겨울철, 가을철, 여름철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측정지점에서 PM$_{2.5}$ 중 가장 많이 함유된 화학성분들은 이차생성입자를 형성하는 성분인 NO$_3^-$, SO$_4^{2-}$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농도는 공업지역에서 4.2 및 8.6 $\mu$g/m$^3$, 주거지역에서 3.7 및 6.9 $\mu$g/m$^3$로 나타났다. 반면, 공업지역에서는 Fe, Mn, Cr 등의 금속성분 농도가 주거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나 공업지역이 철강산업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항지역 대기 중 PM$_{2.5}$의 농도 변동에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업지역과 주거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도로 비산먼지와 이차생성입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변동이 전체 PM$_{2.5}$ 농도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항지역 PM$_{2.5}$에 대한 주요 발생원의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MB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공업지역의 경우 기여도가 큰 발생원은 토사 및 도로상의 비산먼지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이차생성입자, 자동차, 해염입자, 금속산업의 순을 보였으며 주거지역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서 측정된 먼지시료를 대상으로 CMB 모델링 수행 시 그 적용한계성과 문제점 등을 고찰하였다.

Comparison of air pollution and the prevalence of allergy-related diseases in Incheon and Jeju City

  • Jeong, Su-Ho;Kim, Jeong-Hee;Son, Byong-Kwan;Hong, Seong-Chul;Kim, Su-Young;Lee, Geun-Hwa;Lim, Dae-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12호
    • /
    • pp.501-506
    • /
    • 2011
  • Purpose: A high level of air pollutants can increas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llergy-related diseases such as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AR).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allergic disease, we investigated 2 areas in Korea: Incheon, an industrial area, and Jeju, a non-industrialized area. Methods: Second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11 schools in Incheon and 45 schools in Jeju) were examined in a cross-sectional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and a skin prick test was performed. The levels of $NO_2$, $CO_2$, $O_3$, particulate matter (PM) $PM_{10/2.5}$, formaldehyde, tVOCs, and dust mites in the classrooms and ground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levels of outdoor CO, $PM_{10}$, and $PM_{2.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The levels of indoor CO, $CO_2$, $PM_{10}$, $PM_{2.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The prevalence rates of AR symptoms at any time, AR symptoms during the last 12 months, diagnosis of rhinitis at any time, and AR treatment during the last 12 mon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The prevalence rate of wheezing or whistling at any time, and wheezing during the last 12 mon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children living in Incheon, which was more polluted than Jeju, had a higher rate of AR and asthma symptoms compared to children in Jeju. To determine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AR and asthma, further studies are needed.

지역사회연계 과학이슈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교육적 함의에 대한 운영 교사 및 강사, 지역 전문가의 인식 탐색 (Perceptions of Teachers, Program Instructors, and Local Experts on Implementing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s Programs)

  • 김가형;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3-464
    • /
    • 2017
  • 본 연구는 과학이슈(유기동물, 미세먼지, 재활용)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SSI-COMM) 운영을 담당한 교사, 외부 강사, 지역 전문가들의 SSI-COMM의 운영 경험을 통해 실천과 참여를 강조한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의 교육적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한 학기 동안 16차시로 운영이 되었으며 학생들의 과학이슈에 대한 흥미와 지역사회로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와 학교 밖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4명의 학교 교사, 4명의 외부 강사, 6명의 지역 전문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수업 관찰 일지 등도 추가적으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SSI-COMM 운영에 참여한 운영자들은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져올 수 있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속 과학이슈에 대해 스스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운영해보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냈다. 교사의 경우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잠재된 역량이 표출되기에 제한이 있음을 인지하였으며, 학생들이 직접 학교 밖 관련 기관을 직접 방문하고 지역 전문가와 만나 소통해보는 경험을 통해 학교 지식과 실천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지하였다. 학교 밖 교육을 담당했던 외부 강사는 자유로운 학교 밖 활동이 학교 수업에서 소외되었던 학생들에게 뿌듯함과 자신감 그리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본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지역 전문가들 역시 본인의 직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논의되는 과학이슈에 대해 학생들과 소통하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었다. SSI-COMM은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친밀한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커널분석을 활용한 미세먼지 신규 측정소 선정 - 서울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Selection of New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Stations using Kernel Analysis - Elementary Schools, Seoul, Korea)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2호
    • /
    • pp.83-92
    • /
    • 2019
  • 미세먼지는 주로 겨울철과 봄철에 높은 수치를 보이며, 실외 활동이 많은 사람들의 건강에 더욱 치명적이다. 특히 초등학생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미세먼지 대책은 국가적 차원에서 더욱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GIS를 활용하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미세먼지 신규측정소를 선정하였다. 서울시 전체를 500m 반경의 헥사곤 격자를 활용하여 608개의 헥사곤으로 구분한 뒤 측정소와 학교에 위치에 대한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학교 밀집도 분석과 포인트 대치기법을 통한 조건식을 활용하여 신규측정소 지역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로 총 10개의 500m 반경의 헥사곤 격자를 신규측정소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해당 폴리곤에 포함된 15개의 초등학교 명단을 나열하였다. 최종 선정 폴리곤이 포함된 행정구는 강북구, 은평구, 구로구, 동작구, 금천구, 동대문구, 강동구, 송파구, 광진구, 강남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8년 학교 미세먼지 종합 관리 대책'에 근거하여 공간적인 분석 결과에 따른 새로운 관리 대책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대상지를 학교 뿐 아니라 대상 건물을 확장하여 차후 연구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NCM계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의 그라파이트 첨가 탄산화 배소와 수침출에 의한 Li 회수 (Lithium Recovery from NCM Lithium-ion Battery by Carbonation Roasting with Graphite Followed by Water Leaching)

  • 이소연;이대현;이소영;손호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4호
    • /
    • pp.26-33
    • /
    • 2022
  •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발생할 폐리튬이온배터리 중의 유가금속 회수가 필요하다. 대량의 폐리튬이온배터리 리사이클링에는 건식제련이 적합하지만 Li이 슬래그나 분진으로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리튬이온배터리의 NCM계 양극재로부터 Li을 회수하기 위해 그라파이트 첨가에 따른 탄산화 배소와 수침출 거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라파이트를 10 wt% 첨가 시, Ar 및 CO2 분위기에서 승온 중 약 850 K에서 급격한 무게 감소와 함께 CO 및 CO2 가스가 배출되었다. 급격한 무게 감소 후 NCM은 금속 산화물 및 순금속으로 분해되고 환원되었다. 따라서 블랙파우더(NCM+그라파이트)의 탄산화 배소에서는 NCM의 분해에 의해 O2가 발생하면서 Li2O, NiO 등의 산화물이 생성되고, 이어서 Li2O가 CO2와 반응하여 Li2CO3를 생성하며, NiO의 일부는 그라파이트에 의해 환원되어 금속 Ni을 생성한다. 그리고 탄산화 배소 후 수침출에 의해 약 99.95 % 순도의 Li2CO3를 최대 94.5 %까지 회수하였다.

톱밥 및 농업부산물 이용 배지상에서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의 균사생장 및 자실체형성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Hericium erinaceum in Sawdust and Agricultural By-product Substrates)

  • 고한규;박혁구;김성환;박원목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9-94
    • /
    • 2004
  • 본 실험은 다양한 농가부산물들이 노루궁데이버섯의 재배를 위한 기질로써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참나무 톱밥, 사탕수수박, 코코낫박, 율무박, 왕겨, 배추, 면자각의 기본 기질들과 미강, 옥수수박의 첨가물을 서로 다른 비율과 조성을 통하여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접종한 후, 균사생장과 균사밀도, 자실체 생산량, 생물학적 효율을 조사 비교하였다. 참나무 톱밥 80%+미강 20%의 기질이 우수한 균사생장, 균사밀도, 자실체 생산량, 생물학적 효율을 보여 종균용 기질로써 적합하였다. 이러한 기질 조성의 적합성은 병재배법을 이용하는 농가에서 3개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사용하여 행한 실증실험에서 입증되었다. 그러나 봉지재배법을 이용한 농가 실증시험에서는 면자각 40%+참나무 톱밥 40% 기질에 옥수수 및 미강을 각각 10%씩 영양원으로 첨가한 기질에서 자실체 생산 및 생물학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화력발전의 가스연료 공급계통에 대한 위험도 평가 기법 연구 (I) : API RBI 절차에 기반한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Technique for Gas Fuel Supply System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s (I) : Based on API RBI Procedures)

  • 송정수;유종민;한승연;최정우;윤기봉
    • 에너지공학
    • /
    • 제27권2호
    • /
    • pp.1-13
    • /
    • 2018
  • 미세먼지 저감 및 에너지원 변환에 대한 정책 추진에 따라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발전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복합화력발전 플랜트, 열병합발전 플랜트 등에서 천연가스 연료공급계통이 가스가 가열된 상태에서 고압으로 운용되고 있으므로, 누출사고를 예방하여 화재 및 폭발에 의해 사고를 방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PI RP 581 RBI 코드를 기반으로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의 천연가스 연료공급계통을 대상으로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API RBI 코드의 적용을 위해 평가 대상 계통의 라인 및 세그먼트를 구분하였다. 파손확률과 파손피해 산출을 위해 운전 데이터 및 입력 정보를 분석하였다. 설치 초기 시점 및 운전시간 경과에 따른 위험도 평가 결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코드 기반 평가 시 가스연료 공급계통은 두께 감육, 외부 손상, 기계적 피로 손상기구의 영향이 주로 반영되었다. 운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열재 하부 부식(CUI, Corrosion Under Insulation) 등에 의한 외부손상이 위험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예상되었다.

석면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 on asbestos analysis)

  • 함승헌;황성호;윤충식;박동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3-232
    • /
    • 2009
  • This document was prepared to review and summarize the analytical methods for airborne and bulk asbestos. Basic principles, shortcomings and advantages for asbestos analytical instruments using phase contrast microscopy(PCM), polarized light microscopy(PLM), X-ray diffractometer (XR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were reviewed. Both PCM and PLM are principal instrument for airborne and bulk asbestos analysis, respectively. If needed, analytical electron microscopy is employed to confirm asbestos identification. PCM is used originally for workplace airborne asbestos fiber and its application has been expanded to measure airborne fiber. Shortcoming of PCM is that it cannot differentiate true asbestos from non asbestos fiber form and its low resolution limit ($0.2{\sim}0.25{\mu}m$). The measurement of airborne asbestos fiber can be performed by EPA's Asbestos Hazard Emergency Response Act (AHERA) metho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method,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10312 method, Japan's Environmental Asbestos Monitoring method, and Standard method of Indoor Air Quality of Korea. The measurement of airborne asbestos fiber in workplace can be performed by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7400 method, NIOSH 7402 metho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ID-160 method, UK's Health and Safety Executive(HSE)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MDHS) 39/4 method and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CODE-A-1-2004 method of Korea. To analyze the bulk asbestos, stereo microscope (SM) and PLM is required by EPA -600/R-93/116 method. Most bulk asbestos can be identified by SM and PLM but one limitation of PLM is that it can not see very thin fiber (i.e., < $0.25{\mu}m$). Bulk asbestos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EPA-600/M4-82-020, EPA-600/R-93/116, OSHA ID-191, Laboratory approval program of New York were reviewed. Also, analytical methods for asbestos in soil, dust, water were briefly discussed. Analytical electron microscope,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and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er(EDXA), has been known to be better to identify asbestiform tha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ough there is no standard SEM procedures, SEM is known to be more suitable to analyze long, thin fiber and more cost-effectiv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imaging protocol was developed to identify asbestos fiber. Although many asbestos analytical methods are available, there is no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ll type of samples. In order to detect asbestos with confidence, al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instrument and method for given sample should be considered.

IRAS 15099-5856: Remarkable Mid-Infrared Source with Prominent Crystalline Silicate Emission

  • 구본철;;서경원;문대식;;;;;김현정;정웅섭;;임명신;이호규;이재준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57-57
    • /
    • 2010
  • We report the discovery of a bright mid-infrared (MIR) source with prominent crystalline silicate emission using the space telescope AKARI and Spitzer. This source, IRAS 15099-5856, has a spectacular morphology with a bright central compact source (CCS) surrounded by knots, spurs, and several extended (~4') arc-like filaments. The source is seen only in infrared at ${\geq}10{\mu}m$. The Spitzer MIR spectrum of the CCS shows prominent emission features from Mg-rich crystalline silicates and strong [Ne II] 12.88 ${\mu}m$ and several other faint ionic lines. We model the MIR spectrum as thermal emission from several independent dust components and compare their properties to those of the Herbig Be star HD 100546 which shows very similar MIR spectrum. Our molecular line observations reveal two molecular clouds around the source, but no associated dense molecular cores. We discuss two possible origins for IRAS 15099-5856; a deeply embedded massive young stellar object on the other side of the Galaxy and a disrupted, protoplanetary disk being photoevaporated by the UV radiation from the nearby O star Muzzio 10.

  • PDF

대기오염 지표로서의 시정과 일별 호흡기계 사망간의 연관성에 관한 시계열적 연구 (A Time-serie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s an Indicator of Air Pollution and Daily Respiratory Mortality)

  • 조용성;정창훈;손지영;전영신;이종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3-574
    • /
    • 2007
  • There seems to be a consensus among most people that visibility impairment is the most obvious indicator of air pollution. While considerable evi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health outcomes including death and disease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industrial complex areas or huge urban cities, time-series, case-crossover and cohort studies, scarce literature exists on the direct evidence for the association between visibility and adverse health outcomes. Our study is assessed the effect of air pollution measured by visibility impairment on respiratory mortality over a period of six years. Relative risks in respiratory deaths were estimated by a Poisson regression model of daily deaths between $1999{\sim}2004$. Daily counts of respiratory deaths as dependent variable was modelled with daily 24-hr mean visibility measurements (kilometers) as independent variable by means of Poisson regression. This model is controlled for confounding factors such as day of weeks, weather variables, seasonal variables and $PM_{10}$. The results in this study is observ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n inverse health effect and visibility during the study period for respiratory mortality (percentage change in the relative risk for all aged -0.57%, 95% Cl, $-1.01%{\sim}-0.12%$; for $0{\sim}15$ aged -7.12%, 95% Cl, $-13.29%{\sim}-0.51%$; for 65+ aged -0.43%, 95% Cl, $-0.93%{\sim}-0.06%$ per 1 km increased in visibility). The effect size was much reduced during warm season. Visibility impairment resulting from air pollu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respiratory mortality, especially for children may be spent at outdoor. Our result provides a quick and useful indicator for eliciting the contribution of air pollution to the excess risk of respiratory mortality in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