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n mod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6초

Master-Slave 기법을 적용한 System Operation의 동작 검증 (Verification of System using Master-Slave Structure)

  • 김인수;민형복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1호
    • /
    • pp.199-202
    • /
    • 2009
  • Scan design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structured Design For Testability approach. In scan design, all storage elements are replaced with scan cells, which are then configured as one or more shift registers(also called scan chains) during the shift operation. As a result, all inputs to the combinational logic, including those driven by scan cells, can be controlled and all outputs from the combinational logic, including those driving scan cells, can be observed. The scan inserted design, called scan design, is operated in three modes: normal mode, shift mode, and capture mode. Circuit operations with associated clock cycles conducted in these three modes are referred to as normal operation, shift operation, and capture operation, respectively. In spite of these, scan design methodology has defects. They are power dissipation problem and test time during test application. We propose a new methodology about scan shift clock operation and present low power scan design and short test time.

New Protocol at Fast Scan Mode for Sea-surface Small Target Detection

  • Cha, Sangbin;Park, Sanghong;Jung, Jooho;Choi, Inoh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1-107
    • /
    • 2022
  •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new protocol at fast scan mode for a sea-surface small target detection. The conventional fast scan mode is composed of coherent intrascan integration to suppress sea clutter and non-coherent interscan integration to exclude sea spikes. The proposed method realizes the coherent interscan integration by the new Fourier relationship between carrier-frequency and initial-radial-range, which can be analytically derived by using multiple carrier frequencies at fast scan mode, leading to improved detec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n-coherent methods. In simulations, our proposed method is verified.

저전력을 고려한 스캔 체인 구조 변경 (A Low Power scan Design Architecture)

  • 민형복;김인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4권7호
    • /
    • pp.458-461
    • /
    • 2005
  • Power dissipated during test application is substantially higher than power dissipated during functional operation which can decrease the reliability and lead to yield loss. This paper presents a new technique for power minimization during test application in full scan sequential circuits. This paper shows freezing of combinational logic parts during scan shift operation in test mode. The freezing technique leads to power to minimization. Significant power reduction in the scan techniques is achieved on ISCAS 89 benchmarks.

Test of a Multilayer Dose-Verification Gaseous Detector with Raster-Scan-Mode Proton Beams

  • Lee, Kyong Sei;Ahn, Sung Hwan;Han, Youngyih;Hong, Byungsik;Kim, Sang Yeol;Park, Sung Keun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4권5호
    • /
    • pp.297-304
    • /
    • 2015
  • A multilayer gaseous detector has been developed for fast dose-verification measurements of raster-scan-mode therapeutic beams in particle therapy. The detector, which was constructed with eight thin parallel-plate ionization chambers (PPICs) an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bsorber plates, is closely tissue-equivalent in a beam's eye view. The gas-electron signals, collected on the strips and pad arrays of each PPIC, were amplified and processed with a continuous charge.integration mode. The detector was tested with 190-MeV raster-scan-mode beams that were provided by the Proton Therapy Facility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South Korea. The detector responses of the PPICs for a 190-MeV raster-scan-mode proton beam agreed well with the dose data, measured using a 2D ionization chamber array (Octavius model, PTW). Furthermo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ector simultaneously tracked the doses induced at the PPICs by the fast-oscillating beam, with a scanning speed of 2 m s-1. Thus, it is anticipated that the present detector, composed of thin PPICs and operating in charge.integration mode, will allow medical scientists to perform reliable fast dose-verification measurements for typical dynamic mode therapeutic beams.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에서 Volume Mode의 유용성 연구 (The Study of Effectiveness of Volume Mode in Pediatric CT)

  • 박연;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25-431
    • /
    • 2014
  • 본 연구는 ATOM Phantom을 이용하여 선량, 화질을 비교 분석 하여 Volume mode의 유용성 밝혀 소아 CT 검사에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Helical mode Noise와 Volume mode의 Noise, HU, SNR은 p>0.05 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이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부위별 선량값은 모두 p>0.05 이므로 통계적 유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DLP값이 Helical mode보다 Volume mode가 더 낮게 측정되었다. 유효선량 역시 Volume mode가 Helical mode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Mode에 따른 조건 별로 각각 Helical: 2.6, 3.3, 4.36 Volume: 2.8, 3.64, 4.44, Mode별 Follow up 영상평가 결과로는 Helical mode가 3.8 Volume mode가 3.83점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세 이하의 소아 CT검사에 있어서 640-MDCT Volume scan이 Helical mode와 비교해 낮은 선량으로 영상의 질이 큰 차이가 없기에 소아 CT 검사에는 유용 하다고 생각된다.

한반도 지형에 적합한 SAR 위성의 운영모드 설계

  • 신재민;임정흠;김응현;이상곤;이상률
    • 항공우주기술
    • /
    • 제3권2호
    • /
    • pp.34-4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SAR 위성시스템 설계에서 위성의 임무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위성의 운영모드 설계를 수행하였다. strip mode, scan mode, fine mode 3가지 모드에 대한 기본적인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위성의 Look angle 결정을 위해 Incidence angle을 고려한 한반도의 지형적인 고찰도 함께 이루어졌다. 결정된 운영 모드를 이용하기 위해서 위성의 임무 수행지역을 정의하였고 정의된 수행지역은 위성의 레이다 자료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결정 되었다. 현재 구성된 사항들은 추후 더욱 상세한 요구사항들과 조건들을 고려하면서 연구될 것이다.

  • PDF

콘빔CT 촬영 시 mAs의 변화에 따른 피부선량과 영상 품질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Skin Dose and Image Quality o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안종호;홍채선;김진만;장준영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3
    • /
    • 2008
  • 목 적: 선형가속기에 부착된 온보드영상장치(On-Board Imager)를 이용한 콘빔CT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는 환자의 셋업 오차 확인 및 보정, 장기 및 표적의 움직임 확인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영상유도방사선 치료 장비이다. 하지만 촬영 시 받게 되는 imaging dose는 2차 암 발생위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저자는 촬영조건(mAs)을 변화시킨 4가지 촬영 mode로 피부선량과 영상 품질을 비교 평가하여 적정한 촬영 mode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체 모형 팬톰(RANDO phantom)을 사용하여 열형광선량계(TLD-100, Harshaw)를 두부, 흉부, 복부로 나누어 각 부위별로 8개씩 위치시킨 후 4가지의 촬영 mode (A: 125 kvp 80 mA 25 ms, B: 125 kvp 40 mA, 25 ms, C: 125 kvp 80 mA 10 ms, D: 125 kvp 40 mA, 10 ms)로 피부선량(skin dose)을 각각 3회씩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얻어 평가하였고 catphan 504 phantom을 이용하여 장비 제조사의 영상 품질 정도관리 protocol에 따라서 각 촬영 mode 별 영상품질(image quality)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피부선량을 측정한 결과 두부에서는 A mode: 8.96 cGy, B mode: 4.59 cGy, C mode: 3.46 cGy, D mode: 1.76 cGy였고, 흉부는 A mode: 9.42 cGy, B mode: 4.58 cGy, C mode: 3.65 cGy, D mode: 1.85 cGy가 복부에서는 A mode: 9.97 cGy, B mode: 5.12 cGy, C mode: 4.03 cGy, D mode: 2.21 cGy의 값으로 측정이 되었다. 이는 A mode를 기준으로 약 B mode는 50%, C mode 60%, D mode는 80%의 선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영상품질 평가 항목인 HU reproducibility, Low contrast resolution, Spatial resolution (high contrast resolution), HU uniformity를 분석한 결과 모든 촬영mode에서 장비제조사에서 제시하는 tolerance 이내의 값으로 평가되었다. 결 론: 콘빔CT에 있어서 좋은 영상품질을 유지하면서 imaging dose를 줄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soft tissue가 관심영역일 경우는 A mode로 두부 촬영 시 bone이 관심영역일 경우 D mode가 일반적인 경우에는 B, C mode가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콘빔CT촬영으로 인해 증가되는 2차 암 발생위험은 낮은 mAs의 촬영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Flexible Radiochromic Film Based on LiPCDA

  • Jung, Seongmoon;Cho, Jin Dong;Kim, Jung-in;Park, Jong Min;Choi, Chang Heo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2권4호
    • /
    • pp.179-18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and scan mode for a flexible radiochromic film (F-RCF) based on the active lithium salt of pentacosa-10,12-diynoic acid (LiPCDA). F-RCFs of 90, 120, 140, and 170-㎛ thickness were fabricated using LiPCDA. Several pieces of the F-RCFs were exposed to doses ranging from 0 to 3 Gy. Transmission and reflection modes were used to scan the irradiated F-RCFs. Their dose-response curves were obtained using a second-order polynomial equation. Their sensitivity was evaluated for both scanning modes, and the uniformity of the batch was also examined. For both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modes, the sensitivity increased as the film thickness increased. For the reflection mode, the dose response increased dramatically under 1 Gy. The value of the net optical density varied rapidly as the thickness of the film increased. However, the dose-response curves showed a supralinear-curve relationship at doses greater than 2 Gy. The sensitivity of the reflection scan at doses greater than 2 G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flection scan within 0-2 Gy. The sensitivity steadily decreased with increasing doses, and the sensitivity of the two modes was within 0.1 to 0.2 at 2 Gy and was saturated beyond that. For the transmission scan, the sensitivity was approximately 0.2 at 3 Gy. For the intra-batch test result, the maximum net optical density difference of the intra-batch was 5.5% at 2 Gy and 7.4% at 0.2 Gy in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scans, respectively. In the low-dose range, film thickness of more than 120-㎛ was proper in the transmission mode. In contrast, the transmission mode showed a better result compared to the reflection mode. Therefore, the proper scan mod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ose range.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H.264의 FMO 성능분석과 비교에 관한 연구 (H.264의 FMO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over Packet-Lossy Networks)

  • 김원정;임혜숙;임창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C호
    • /
    • pp.490-496
    • /
    • 2006
  • H.264는 현재 IP를 기반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표준으로서 기존에 제정된 비디오 표준들보다 향상된 에러 복구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비디오 표준에서 사용되어 오던 raster scan 방식과 H.264의 에러 복구 기술들 중 하나인 FMO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방식에 에러 은닉 기술을 적용하여 에러 은닉의 성능이 정확히 온 인접한 매크로블락 수에 따라 좌우됨을 분석하고, 다양한 패킷 손실율에서의 성능을 보인다. 시뮬레이션 결과, FMO 방식이 raster scan 방식에 비해 손실없이 오는 인접한 매크로블락 수가 많아 에러 은닉에 의한 PSNR 성능이 $1{\sim}9dB$ 정도 향상되고, 특히 인트라 프레임 간격이 길고 패킷 손실율이 높은 경우에 FMO 방식에 의한 PSNR 성능 향상이 더 크다.

CT Scan Mode와 관전압 변경에 따른 소아 두부 영상의 선량 및 영상평가 (Dose and Image Evaluation of Pediatric Head Image according to CT Scan Mode and kVp Changes)

  • 김병제;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01-808
    • /
    • 2023
  • 소아 두부 CT 검사 시 방사선 피폭 최소화와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Volume Axial Mode, High Pitch Mode, Helical Mode 간 피폭 선량과 영상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Volume Axial Mode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1세 미만의 소아 두부 CT Helical Mode, High Pitch Mode, Volume Axial Mode에서 70, 80, 100 kVp의 관전압에 따라 영상평가와 선량평가를 시행하였다. 영상평가는 각 영상에 ROI를 설정해 SNR과 CNR을 산출하여 영상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고, 선량평가는 검사 후 장비에서 직접 제공하는 Dose Report에 표시되는 DLP값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Volume Axial Mod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을 때, DLP 값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왔고, SNR과 CNR은 각각 ROI와 kVp별 차이를 가졌다. Volume Axial Mode가 다른 Scan Mode와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을 때, 그 차이 값이 균일하지 않아 특정 Mode가 우수하다고 볼 수 없었으나 선량 측면에서는 가장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Volume Axial Mode의 짧은 스캔 시간과 Table의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검사 할 수 있는 점은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1세 미만 소아 CT검사에서 유용하게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