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lp Disorde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Parry-Romberg syndrome with ipsilateral hemipons involvement presenting as monoplegic ataxia

  • Lee, Yun-Jin;Chung, Kee-Yang;Kang, Hoon-Chul;Kim, Heung Dong;Lee, Joon 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9호
    • /
    • pp.354-357
    • /
    • 2015
  • Parry-Romberg syndrome (PRS) is a rare, acquired disorder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unilateral facial atrophy of the skin, soft tissue, muscles, and underlying bony structures that may be preceded by cutaneous induration. It is sometimes accompanied by ipsilateral brain lesions and neurological symptoms. Here we present the case of a 10-year-old girl with right-sided PRS and recurrent monoplegic ataxia of the left leg. At 4 years of age, she presented with localized scleroderma over the right parietal region of her scalp; her face gradually became asymmetric as her right cheek atrophi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hemiatrophy of the face and skull base, and T2-weighted images showed increased signal in the right hemipons and hemicerebellar peduncle.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findings were unremarkable. She was treated with oral prednisolone, and her recurrent gait ataxia diminished within 2 months of the follow-up perio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only the second case of PRS presenting with an abnormal involvement of the ipsilateral hemipons.

보툴리눔독소를 이용한 연축성 발성장애의 치료에 있어 연성비인두경법과 Telelaryngoscope법의 비교 (Comparison of Flexible Nasopharyngoscopy-Guided Injection With Telelaryngoscopy-Guided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on Spasmodic Dysphonia)

  • 최홍식;서진원;문형진;이주환;김광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9-203
    • /
    • 1997
  • In the treatment of spasmodic dysphonia, local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A has been reported to be successful. The treatment of adductor type spasmodic dysphonia with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using a flexible nasopharyngoscope was conducted in 29 patients and using a telearyngoscope in 31 patients. These patients were given toxins in the vocal fold(s), unilaterally or bilaterally, under flexible nasopharyngoscopic guidance with sclerosing needle or telelaryngoscopic guidance with 23 gauge scalp needle attached by laryngeal forceps. Before the above procedure, laryngeal anesthesia was done with 2% pontocain instillation. Among the 60 patients, 59 patients were given the toxin successfully. Telephone interview were made at 2weeks and then at 4 weeks post injection. Among 29 patients using a flexible nasopharyngoscope, 75.8% and among 31 patients using a telelaryngoscope, 90.0% reported that the patients' symptom was improved.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disorder was classified into four grades. The mean pre-injection grade fir the patients using flexible nasopharyngoscope and telelaryngoscope was 1.6 and 2.1 respectively. And it was lowered to 0.7 and 1.1 respectively after the injection. The result was similar(p<0.05). As a self assessment method, the patients were asked to rate their voice on a scale of 100. In this study, the mean pre-injection score was 44 and 40 respectively. And it was improved to 77.7 and 69.8 respectively after the injection. The result was similar(p<0.05). In conclusion, botulinum toxin injection using a flexible nasopharyngoscope is also an effectiv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dductor type spasmodic dysphonia as using a telelaryngoscope.

  • PDF

SRRS를 이용한 구강 편평태선 환자의 생활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Changes of Oral Lichen Planus Patients by SRRS)

  • 고명연;박수현;옥수민;허준영;안용우;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9-17
    • /
    • 2012
  • 편평태선은 피부와 점막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써 신체 여러 부위에 침범하여 매우 다양한 임상소견을 나타낸다.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피부나 점막에서 유도된 항원변화에 대한 상피와 결체조직 사이의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년 여성에서 호발하고, 증상의 악화와 완화가 번갈아 일어나는 것이 이 질환의 특징으로,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약물 등의 여러 요소가 증상의 악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피부 편평태선 환자의 60-70%에서 구강 편평태선이 동반되고, 구강 편평태선 환자의 2/3 가량이 단독병소로써 나타난다. 이번 연구에서는 정서적 스트레스가 구강 편평태선을 악화시키는데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임상검사 혹은 조직검사 결과 구강 편평태선으로 진단된 환자 30명과 치과대학 학생들의 부모들 중 구강 편평태선의 증상 및 병력이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상황의 평가를 위해서는 한국적 문화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한 Holmes와 Rahe의 사회적 재적응 평정척도 설문지(SRR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구강 편평태선 환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최근 1년 동안 더 많은 수의 스트레스성 사건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Cerebellar Atrophy로 인해 유발된 Spinocerebellar Ataria 환아(患兒) 1례(例) 보고(報告) (The Clinical Study on Spinocerebellar Ataxia with Cerebellar Atrophy)

  • 하광수;김선미;하수연;송인선;이정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1-50
    • /
    • 2005
  • 저자는 Brain MRI 상 Cerebellar atrophy로 인한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으로 진단받은 6세 환아의 Ataxia, Dysarthria, 두부진전증(頭部振顫症), 안진(眼振) 등에 대해 한방적 치료 후 호전도가 있었기에 이에 증례보고(證例報告)하는 바이다. 특히 두진(頭振), 안진(眼振)과 같은 진전(振顫)질환과 실조증에 대하여 두침(頭鍼)시술이 유효성이 컸으며, 오지(五遲) 오연증(五軟證)에 대하여서 간(肝), 신정격(腎正格)과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장기 투여가 효과가 있었다. 일반적인 SCA, ADCA가 청, 장년기 이후에 발생하고 유전적인 경향이 큰 것에 반해 재태(在胎)시 큰 이상없이 생후 특발적으로 발생한 척수 소뇌성 운동실조에 대하여서는 한방적으로 증례보고(證例報告) 된 바가 드문 실정으로 유, 소아의 이러한 질환에 대한 진일보된 연구과 함께 평가척도나 치료방법적인 면에서의 고찰(考察)이 더욱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여성 탈모증의 정신의학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the Alopecia Areata in Female)

  • 이길홍;나철;이영식;이창훈;노병인;홍창권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1호
    • /
    • pp.31-45
    • /
    • 2000
  • 연구목적 : 여성 및 남성 탈모중의 개인적 특성이나 탈모양상, 정신의학적특성, 동반 신체질환 및 치료 방법에 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여성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 지침을 수립하기 위해 연구를 시도 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피부과에 내원하여 정신과로 의뢰된 여성 탈모증 환자 51명을 연구집단으로, 남성 탈모증환자 4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남녀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9.0V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 처리를 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는 교차 분석 및 변량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여성일수록 남성에 비해 경제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낮고, 하류 직종에 종사하며, 부친이 무직자가 많고, 형제 자매 수가 많으며, 여자형제만 있는 비율이 높다. 2) 여성일수록 피부과 내원빈도가 많고, 최근 두정부나 전두부 탈모가 많으며, 여성가족 중에 탈모 경험자가 많은 반면에 남성 가족중에는 탈모자가 적고, 후두부 탈모가 적으며, 손톱의 변화는 적다. 3) 여성일수록 가정내 갈등이나 경제적 변화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가정내 갈등이나 내성적 성격으로 인해 갈등을 겪는 반면 직장문제나 건강 변화 등 생활 변동을 겪거나, 작업 수행 능력의 부진으로 인한 갈등은 적고 직장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비율도 낮다. 4) 여성일수록 우울증이나 전환장애가 많고, 불안 증상들이나 우울 증상들을 흔히 호소하며, 불안수준이 높은 반면 신체화증상이나 강박증상은 덜 호소하며, 불안장애는 적다. 5) 여성일수록 남성에 비해 내향화 성향이나 허구 성향 억압 성향 여성화 성향이 높다. 6) 여성일수록 관절염이나 비뇨생식계장애가 많은 반면 위장관장애나 지루성피부염은 적다. 7) 여성일수록 etizolam이나 tretinoin은 많이 사용하는 반면 향정신성 의약품은 적게 사용하며, 특히 clotiazepam이나 prednicarbonate를 적게 사용한다. 결론 : 여성 탈모증 환자는 남성 환자에 비해 우울증이 많고, 불안 및 우울 증상을 흔히 호소하며, 가정 문제로 인해 발병하고, 내향화 성향이나 허구 성향, 억압 성향, 여성화 성향이 높다. 이 결과는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에 비해 더 심각한 정신병리를 보여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여성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정신과적 개업이 필요함을 말해 주고 있다. 따라서 피부과 의사들은 병발하는 정신장애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정신과와 피부과가 공동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