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affolding Type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건설현장에서의 사고유형별 원인 분석 및 재해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Analysis and Preventive Measures by Disaster types in Construction Fields)

  • 조재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4
    • /
    • 2011
  • Recently, carelessness on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has caused a sharper upward trend in accidents and disasters,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occurred on construction sites in the year of 2010, and proposes preventive measure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d a heavy death rate with 279 out of 418 deaths from falls in all industrial sites, accounting for 66.7%. And the causation analysis found a particularly high incidence of temporary structure-related accidents, with falling off scaffolding as the most common cause of accidents. According to the causation analysis of fall-down accident cases, accidents induced by protrusion on construction sites are a big contributor resulting in the deaths of 312, accounting for 74.8%, which is deemed to be due to site disorderliness. And to remove floor protrusions and to secure workers' traffic line and safety, neat and thorough site arrangement is necessary. Against collision, efforts must be made to prevent equipment-pedestrian crashes on site, which necessarily requires emergency lamps, alarm bells, and safety poles and blocks to be installed, lighting systems to be improved, obstacles to be removed, site supervisors to be assigned to construction equipment works, and workers to be more intensely trained and supervised.

  • PDF

건설현장에서의 재해유형별 원인 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Analysis and Preventive Measures by Disaster types in Construction Fields)

  • 조재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3
    • /
    • 2012
  • Recently, carelessness on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has caused a sharper upward trend in accidents and disasters,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occurred on construction sites in the year of 2007, and proposes preventive measure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d a heavy death rate with 279 out of 418 deaths from falls in all industrial sites, accounting for 66.7%. And the causation analysis found a particularly high incidence of temporary structure-related accidents, with falling off scaffolding as the most common cause of accidents. According to the causation analysis of fall-down accident cases, accidents induced by protrusion on construction sites are a big contributor resulting in the deaths of 312, accounting for 74.8%, which is deemed to be due to site disorderliness. And to remove floor protrusions and to secure workers' traffic line and safety, neat and thorough site arrangement is necessary. Against collision, efforts must be made to prevent equipment-pedestrian crashes on site, which necessarily requires emergency lamps, alarm bells, and safety poles and blocks to be installed, lighting systems to be improved, obstacles to be removed, site supervisors to be assigned to construction equipment works, and workers to be more intensely trained and supervised.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동기 유형에 따라 교수메시지에 대한 반응행동 탐색 (Exploring of Reaction Behavior to Instructor Messages according to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14-524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 활동 촉진을 위해 교수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하였을 때, 학습동기(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 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A대학과 B대학의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협력학습을 수행하였고, 교수자는 총 6회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후 학습자들의 반응 시간과 상호작용의 빈도와 수준을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메시지를 전달하기 전보다 이후가 상호작용의 빈도와 수준이 모두 높아졌다. 교수메시지에 대한 반응 시간은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을 가진 학생들이 가장 빨랐으며, 스캐폴딩 형태의 메시지에는 숙달목표지향성의 학생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독촉의 메시지에는 수행회피목표지향성 학생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마지막으로 숙달목표지향성 학생들은 새로운 주제에 대한 행동이 많았고, 수행접근목표지향성 학생들은 정확성과 관련성에 대한 행동이 많았다.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Teacher Professionalism by the Type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92-60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의미를 정립하고 수업에서 드러난 과학과 PCK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다. 과학과 PCK 구성요소나 유형별 사례를 추출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수업 동영상, 수업분석 협의회 자료, 교사 면담 자료 등을 면밀히 교차 분석하였다. 이어서 교사별 또는 주제별 수업 사례들이 왜 과학을 가르치는 좋은 실천으로 간주되며, 실천의 어떤 측면이 그 수업을 다른 수업과 차별화하며 권장될 만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즉, 근저 이론(grounded theory)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1학년 빛 단원에 해당하는 수업들로, 세명의 과학교사들이 진행한 같은 주제의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여 과학과 PCK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과학과 PCK 유형을 (1)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수업, (2) 주변 자연현상에 대한 학생 나름의 설명 모델을 만들어나가는 수업, (3) 과학이라는 사회적 언어 학습이 일어나는 수업, (4) 연계성을 기초로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수업, (5) 스캐폴딩을 제공하여 학습 수요를 낮추는 수업, (6) 학생 이해에서 출발하는 수업, (7) 논증을 통한 탐구가 있는 수업, (8) 추상적인 과학개념을 구체화하는 수업, (9) 소외되는 학생이 없는 과학 수업으로 분류하였다. 각 PCK 유형에 따라 교사 전문성의 특징을 고찰하고, 높은 수준의 PCK를 지닌 교사들이 공유하는 특징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69-593
    • /
    • 2008
  •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실 수업 살리기의 핵심에는 교사가 있다는 인식에 따라 교수 활동에 전문성을 부여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용 교수 지식(PCK)은 Shulman(1986)에 의해 교수 활동의 기반 지식으로 제기된 이래 교사의 전문성 논의에서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2007년부터 내용 교수 지식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한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기본 연구의 틀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을 차별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수학 교과의 경우, 국내 외 PCK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PCK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단, 본 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일차적으로 PCK 분석틀을 설정하는 과정과 절차까지를 다루었다.

  • PDF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489-514
    • /
    • 2008
  • 그동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내용 교수 지식(PCK)에 관한 연구를 교과별 여건과 진도에 따라 자율적으로 진행해 왔으나, 2007년부터는 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은 차별화하면서도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연구틀을 정립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에서 다뤄지는 함수 관련 내용에 대한 수업 관찰 및 면담, 수업 노트 작성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PCK를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PCK 연구 과정과 결과는 수학 교사 개개인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실제적 도움을 주고, PCK에 기초한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게 될 차기 년도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환경조화형 철탑 개발 (Development of Eco-friendly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in KEPCO)

  • Lee, Won-kyo;Mun, Sung-Duk;Shin, Kooyong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5권3호
    • /
    • pp.135-140
    • /
    • 2019
  • Lattice towers and tubular steel poles have been commonly used for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in Korea. They are durable, structurally stable, simple and can easily be constructed in limited spaces. However, residents are opposed to construct transmission lattice towers in their areas because they are not visually attractive, and electrical field occur at the transmission lines. Underground transmissions have been used instead of the traditional towers to re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hey are not cost effective to construct and run. Therefore, we have developed eco-friendly towers that are more attractive, well blending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uch more economical than underground transmissions. There are four categories of the eco-friendly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about design aspects. Firstly, there is decoration type such as tree tower and ensemble tower. Tree tower looks like actual trees with leaves and branches so it blends into surroundings. Ensemble towers were designed after pair of crane birds. Those towers have decoration features and art works. Structural examination and manufacturing this type would be very similar to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towers. Secondly, there is arm design type such as traditional tower. Design features are added to the existing towers. As partial design can be adoptable on these types, it can easily meet height regulations and attach to conventional lattice towers and tubular steel poles. Also, these towers are more economical than others. Third category is multipurpose type such as Sail Tower. These towers have simple pole or tubular structure with features which can be used as information message board, public relations and much more. This type will face greater wind pressure because of the area of the board, also visibility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Lastly, there is moulding type such as arc pylon. It is different shape to the conventional towers - lattice towers and tubular steel poles. Dramatic design changes have been adapted - from a hard and static tower to a soft and curved tower. These towers will well stand out in the field. However, structural examination and manufacturing this type would be difficult and costly. Also certain towers of this type would require scaffolding or false work to construct, which will result in limitations of the construction area. This paper shows KEPCO 154 kV Sail tower in detail. KEPCO 154 kV Sail tower that is included in fabrication of sample tower and tower testing has develop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We hope that sail tower is also considered as a solution to have public acceptance or to create a familiar atmosphere among towers and people in coastal area.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el for Using Digital Textbook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송진여;손준호;정지현;김종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2-277
    • /
    • 2017
  •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율을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완결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수업모형은 출발점 행동 진단과 피드백,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구축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을 돕는 교사, 학생,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준비단계, 실행단계, 다지기단계로 구성하였다. 준비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서 제공되는 수준별 피드백 자료를 통해 출발점 행동을 보완하고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한다. 실행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의 다양한 기능과 여러 형태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다지기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사가 구성한 다지기 영상 및 다지기 문제 풀이 활동 그리고 학습자가 커뮤니티에 누적해 놓은 결과물을 재확인함으로써 학습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개발한 수업모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등 과학 5학년 2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 50명에게는 개별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51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비해 학업 능력이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율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 교사,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