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uce

검색결과 1,212건 처리시간 0.03초

홍국파우더 루 첨가량을 달리한 브라운소스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the Addition of Red Yeast Rice Powder Roux)

  • 김세한;신경은;최수근;서윤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2-232
    • /
    • 2012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농후제로 사용되는 루(Roux)에 홍국파우더를 첨가하여 제조한 브라운소스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분은 홍국파우더 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점도와 탁도는 홍국파우더 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pH, 당도, 환원당도 홍국파우더 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중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는, 붉은 색의 정도, 걸쭉한 정도, 시큼한 맛, 쌉쌀한 맛, 깔깔한 정도는 홍국파우더 루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를 하였고, 누린내는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브라운소스의 품질향상에 홍국파우더 루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브라운소스의 홍국파우더 루 첨가는 전체적인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며, 홍국 파우더 30% 첨가 시 브라운소스의 기계적 특성과 관능 및 기호도의 향상에 가장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 PDF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 농도에 따른 간장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y Sauce with Added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

  • 최명효;강재란;강민정;심혜진;이창권;김경민;김동규;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8-196
    • /
    • 2016
  • Purpose: In order to develop soy sauce and increase its functionality, by adding black garlic extract. Methods: We compar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20 days aging black garlic soy sauce from mixed manufacturers with raw soy sauce (commercial fermented soy sauce) and different ratio of black garlic extract (65 Brix, 0.3-5.0%). Results: The salt content of the black garlic extract (0.3-5.0%) added soy sauce were 12.35-12.77%. The pH was lowered to 4.99, and acidity was increased to 2.12%, depending on the increase in black garlic extract added ratio. The crude protein and total nitrogen contents were 6.23-6.62% and 1.10-1.16%, respectively, and content of amino form nitrogen was 0.52-0.53%,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Contents of reducing sugar and free sugars (fructose and glucose) tended to be higher with higher mixing ratios of black garlic extract.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3% and 5% black garlic extract addition group. At concentrations of 62.5, 125, 250, 500, 1,000 and $2,000{\mu}g/mL$,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ntrol soy sauce and 5% black garlic extract added soy sauce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their concentr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oy sauce produced by adding more than 3% of black garlic extract has high antioxidant activity.

원료의 선도가 멸치액젓의 품질 및 위생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w Material Freshness on Quality and Safety of Anchovy Fish Sauce)

  • 조영제;정민홍;김보경;정우영;계현진;정효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194-1201
    • /
    • 2015
  •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raw material freshness on the quality and hygienic safety of anchovy fish sauce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raw material freshness to make high-quality and hygienic anchovy fish sauce by measur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histamine. To devide the raw material's freshness levels, raw anchovy was left for 24 hours and was sampled every 4 hour(Group I-VII). As a result, the levels of VBN(volatile basic nitrogen) and histamine increased as time passed each contents were 16.29-87.65 mg/100 g and 6.14-1499.63 mg/100 g respectively. As fish sauce fermented for 18 months, the contents of VBN were 205.31-270.51 mg/100 g and histamine were 120.54-1707.22 mg/100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means the levels of VBN and histamine of raw material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ygiene of anchovy fish sauce.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different contents of histamine at each fish sauce, bacteria from each group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t group V-VII those the lowest three groups, Leconostoc mesenteroides ssp. cremoris was identified and that produced the highest content of histamine 22.88-101.69 mg/kg and the others produced histamine 3.79-20.2 mg/kg. This means that fish sauce made by low freshness materials contain bacteria have strong ability to make histamine from histidine. Therefore, the freshness of raw material influences the hygiene and safety of fish sauce, and it is most important to manage the freshness of raw material to make the high quality and hygienically safe fish sauce.

허브의 첨가량에 따른 토마토 소스의 미생물 분석 및 항산화성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mato Sauce Prepared with Various Herbs)

  • 김장호;유승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7-21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mato sauce in terms of the variety of herb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Western cuisine. As storage time increases, the number of total microbes changes, but the bacteria count was in the range of $1.0{\times}10^1-2.1{\times}10^2$, which did not increase much over 60 days of storage. The reason seems to be that the amount of heat treatment undergone by this type of sauce type, and its acidity make for difficult conditions for microbes to live. Yeast and mold measurements showed that yeast and mold were not detected for up to 30 days of storage in the tomato sauce with various types and amounts of added herbs. After 45 and 60 days, the yeast and mold count was in the range of $1.0{\times}10^1-8.5{\times}10^1$, and the same in the control. Measurem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60 days of storage showed that tomato sauce with different types and amounts of added herbs had the lowest amounts relative to the control for all storage periods. The more herbs that were added, the higher the phenolic compounds resulted. As storage times increase, the phenolic compounds showed a tendency to declin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the tomato sauce herbs added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when more herbs were added. The microbiology results of the storage test of tomato sauce with added herbs showed that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in tomato sauce with added herbs did not increase much in 60 days of storage at $4^{\circ}C$.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was small, so tomato sauce with added herbs can be used for 2 months with refrigeration.

재료 배합을 달리한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Brown Sauce during Storage)

  • 이광일;이경희;이영순;신민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98-703
    • /
    • 2002
  • 소뼈의 일부를 돼지뼈와 닭뼈로 대체하고 와인을 첨가한 것과 와인을 첨가하지 않은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pH, 효소활성, 환원당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소스의 색, 점도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pH는 5.0~5.6이었다.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돼지뼈로 대체한 소스가 5.51~5.56으로 가장 높았고 와인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의 pH가 5.0~5.06으로 가장 낮았으며 시일 경과에 따른 pH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 $\alpha$-amylase의 활성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가장 높았고 그밖의 소스는 효소 환성이 유사한 정도로 낮았다. 저장 기간 중 효소 활성은 2~6일 사이에 높아졌다가 그 이후에 떨어졌다. 3. 환원당 함량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35.5%로 가장 높았고 와인이 첨가되며 돼지뼈를 대체한 소스는 18.2%이었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첨가된 소스보다 환원당 함량이 낮았다. 저장 10일 후의 환원당 함량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4. 소스의 색은 와인 첨가된 것이 첨가되지 않은 것보다, 동일 조건에서 닭뼈를 대체한 것이 돼지뼈를 대체한 것보다 L, a, b값이 낮았다. 따라서,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는 L, a, b값이 가장 낮았고 색이 가장 진했다. 또한 냉장 저장한 후의 브라운소스의 색은 L, a, b값이 모두 낮아져서 색이 진해지는 변화를 보였다. 5. 브라운소스의 점도는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높고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낮았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와인이 첨가된 소스보다 점도가 높았다. 저장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모든 소스는 효소 활성이 증가하기 전인 2~6일까지 점도가 높아졌으나 그 후에는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으로 4종류의 소스 중 와인을 첨가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는 $\alpha$-amylase 활성이 높아 환원당 생성이 가장 많았고 환원당에 의한 갈변반응이 잘 일어나 색이 진했으며 저장 중의 점도 변화도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 간장의 이화학적 분석 및 관능 평가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Acer mono Max.) and Kojesu(Betula costata T.) Saps)

  • 최선영;성낙주;김행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6
    • /
    • 2006
  • 기능성이 보완된 고품질의 간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존의 간장 담금용 용수 대신에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간장을 담근 후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간장의 맛과 기능성과 관련이 있는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간장 숙성 중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3종의 유리당(fructose, glucose 및 galactose), 수액 간장에서는 상기 유리당 외에 sucrose가 검출되었다. 간장의 숙성 중 유리당은 불규칙한 함량 변화를 보였으나, 숙성 기간 중 모든 시료군에서 galactose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유기산은 butyric acid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반면에 fumaric acid는 미량에 분과하였다. 무기물은 모든 시료군에서 K와 P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수액 간장에서 대조군에 비해 Ca, Mg및 F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간장 숙성 중 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glutamic acid의 함량(185.6${\pm}$1.0${\sim}$363.0${\pm}$2.7 mg/100 ml)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순이었으며, proline과 arginine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핵산 관련 물질은 대조군과 시료군 모두 숙성 기간에 관계없이 AMP의 함량(7.5${\pm}$0.2 ${\mu}$mol/100 ml이상)이 가장 높았으며, 반면에 inosine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고로쇠 수액 간장, 거제수 수액 간장 및 대조군의 순으로 맛이나 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색(色) 측정(測定) 및 관능검사(官能檢査) (The Color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for the Accelerated Fish Sauce Products)

  • 채수규;이등관;신국좌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54
    • /
    • 1989
  •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의 분포(分布)가 100nm당 log 흡광도의 변화$({\Delta}A)$를 색조의 파라메터로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오장유의 색에 있어서 log 흡광도와 450nm와 650nm 사이의 파장간에는 직선관계가 성립하였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Delta}A$ 값은 $0.55{\sim}0.59$ 범위에 있었으며, 450nm에서의 흡광도 (A450)는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가 대조(對照) 및 시판 단백분해효소 첨가 어장유(魚醬油)에 비하여 높았다.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은 어두운 적황색(赤黃色)이었으며, 그 색(色)은 장유(醬油)의 색(色)과 비슷하였다. 모든 어장유(魚醬油)에 있어서 A450은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Delta}A$는 발효 초기에 약간 증가되다가 발효 후기에는 감소되었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장유(醬油)코오지를 첨가하고 초기에 20% 식염을 가하여 제조한 어장유(魚醬油)가 풍미강도, 맛, 후미 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또한 종합적인 선호도(選好度)가 있어서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

바다가재를 이용한 소스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ce Made with Rock Lobster)

  • 이경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2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the nutrients composition of sauce made with rock lobster shells or heads. Rock lobster head sauce(LHS) turned out to have better appearance, color, taste, flavor, texture and viscosity than rock lobster shell sauce(LSS).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1.95% in LHS and 1.56% in LSS, and the crude lipid content was 1.60% in LHS and 2.27% in LSS. The major free amino acids of LHS were urea, a-aminoadipic acid, L-alanine, taurine, and those of LSS were urea, $\alpha$-aminoadipic acid, $nu$- and DL-$\beta$-aminobutyric acid. The major free fatty acids of both samples were palmitoleic acid and oleic acid, with a high quanitity of palmitoleic acid in LHS, and a significant amount of linoleic acid in LSS. The major minerals in rock lobster sauce were potassium and sodium.

  • PDF

허브간장의 항산화성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Herb Soy Sauce)

  • 김기명;신지선;이재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6-90
    • /
    • 2020
  • Herb soy sauce was prepared by extracting rosemary, lemon balm, spearmint and peppermint at a low temperature in fresh soy sauce. The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erb soy sauces were examined. Herb soy sauces were prepared by adding 2.5% (w/v) of herbs to fresh soy sauce at 60℃. The total polyphenol, DPPH%, ABTS% increased with extracting time but five minutes extraction with sufficient antioxidant herb soy sauce could be prepared. The antioxidant powers of herb soy sauces were higher in lemon balm extract, and the rosemary extract showed the lowest. Soy sauces added with herbs had lower pH and salinity (p<0.05) and higher sugar content than without herbs. The color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herb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돼지뼈를 이용한 갈색육수 소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made with Pork Bone)

  • 김용식;송청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9-13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sauce made with different kind of bone(beef bone, pork bone). For this purpose, the various methods and recipe of brown sauce appeared in the literatures were evaluated to select the most preferable brown sauce. Brown sauces made with pork bone, beef and pork bone showed negative value in the "a" value (redness). Viscosity of brown sauce made with pork bone was the highest as well as the brown stock. The sensory tests of brown sau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except flavor at p<0.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