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ellite Laser Ranging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1.5m급 다목적형 레이저 추적 시스템 예비 성능 분석 (Preliminary Perfomances Anlaysis of 1.5-m Scale Multi-Purpose Laser Ranging System)

  • 손석현;임재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771-780
    • /
    • 2021
  • 우주물체 레이저 추적(DLR : space Debris Laser Ranging) 시스템은 인공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인공위성 레이저 추적(SLR : Satellite Laser Ranging) 시스템의 확장형이라고 할 수 있다. 레이저를 발사하여 수신하는 광자 왕복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궤도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거리 정밀도는 mm급 단위로 측정 가능하고 현존하는 시스템 중 가장 정밀한 시스템이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은 인공위성 레이저 추적 시스템을 세종 및 거창에 구축하였고, 나로호 과학위성, 다목적 실용위성 5호의 정밀궤도를 검증하기 위해 SLR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최근 몇 년간 우주쓰레기의 추락 또는 충돌로 인해 자국의 위성이 위협받고 있고, 이는 안보적인 측면에서 자국 우주자산 보호,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우주물체 레이저 추적이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위성 레이 추적, 우주물체 레이저 추적을 고려한 다목적형 레이저 추적 시스템의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1.5m 급 주경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주요 구성품의 성능(레이저 파장, 레이저 출력) 등을 고려하여 링크버짓 분석을 통해 시스템 예비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SLR을 이용한 GPS-36 위성의 정밀 궤도 결정 (PRECISE OR81T DETERMINATION OF GPS-36 SATELLITE USING SATELLITE LASER RANGING)

  • 임형철;박관동;박필호;박종욱;조정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385-394
    • /
    • 2002
  • SLR(Satellite Laser Ranging)은 위성과 관측소간 거리를 가장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1964년 발사된 Beacon-B 위성의 궤도결정을 위해 SLR 기술이 처음 사용되었는데 거리측정 정밀도가 m 수준이었다. 현재 single shot 정밀도는 cm, NP(Normal Point)는 mm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SLR을 이용한 궤도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36위성의 정밀 궤도를 결정하였다. 알고리즘의 정밀도를 검증하기 위해 산출한 정밀 궤도를 IGS(International GPS Service)에서 제공하는 정밀 궤도력과 비교하였는데 74cm의 RMS(Root Mean Square)를 얻었다. 또한, SLR 시스템의 관측잔차 RMS는 55mm 미만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44mm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Validation of Geostationary Earth Orbit Satellite Ephemeris Generated from Satellite Laser Ranging

  • Oh, Hyungjik;Park, Eunseo;Lim, Hyung-Chul;Lee, Sang-Ryool;Choi, Jae-Dong;Park, Chandeo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5권4호
    • /
    • pp.227-233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the generation and accuracy assessment of predicted orbital ephemeris based on satellite laser ranging (SLR) for 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satellites. Two GEO satellites are considered: GEO-Korea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2B (GK-2B) for simulational validation and Compass-G1 for real-world quality assessment. SLR-based orbit determination (OD) is proactively performed to generate orbital ephemeris. The length and the gap of the predicted orbital ephemeris were set by considering the consolidated prediction format (CPF). The resultant predicted ephemeris of GK-2B is directly compared with a pre-specified true orbit to show 17.461 m and 23.978 m, in 3D root-mean-square (RMS) position error and maximum position error for one day, respectively. The predicted ephemeris of Compass-G1 is overlapped with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final orbit from the GeoForschungsZentrum (GFZ) analysis center (AC) to yield 36.760 m in 3D RMS position differences. It is also compared with the CPF orbit from the International Laser Ranging Service (ILRS) to present 109.888 m in 3D RMS position differences. These results imply that SLR-based orbital ephemeris can be an alternative candidate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commonly used radar-based orbital ephemeris for GEO satellites.

고반복율 인공위성 레이저추적을 위한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on Software for High Repetition rate Satellite Laser Ranging)

  • 성기평;최은정;임형철;정찬규;김인영;최재승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103-1111
    • /
    • 2016
  • 한국천문연구원은 인공위성 정밀궤도 결정, 우주측지 및 인공위성 자세역학 연구를 위해서 2kHz 반복율을 가지는 SLR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측지위성의 회전속도를 보다 정밀히 결정하고 거리 측정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고반복율의 SLR 관측 데이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고반복율 시스템 구현을 위해 운영 소프트웨어 및 레인지 게이트 생성기를 개발하여 최대 10kHz 반복율로 레이저추적이 가능한 HSLR-10(High repetition-rate Satellite Laser Ranging-10kHz) 시스템으로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kHz 반복율을 가지는 HSLR-10 시스템의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구성 및 검증 결과를 제시한다.

Design and Development of High-Repetition-Rate Satellite Laser Ranging System

  • Choi, Eun-Jung;Bang, Seong-Cheol;Sung, Ki-Pyoung;Lim, Hyung-Chul;Jung, Chan-Gyu;Kim, In-Yeung;Choi, Jae-Seu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209-219
    • /
    • 2015
  • The Accurate Ranging System for Geodetic Observation - Mobile (ARGO-M) was successfully developed as the first Korean mobile Satellite Laser Ranging (SLR) system in 2012, and has joined in the International Laser Ranging Service (ILRS) tracking network, DAEdeoK (DAEK) station. The DAEK SLR station was approved as a validated station in April 2014, through the ILRS station "data validation" process. The ARGO-M system is designed to enable 2 kHz laser ranging with millimeter-level precision for geodetic, remote sensing, navigation, and experimental satellites equipped with Laser Retro-reflector Arrays (LRA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next generation high-repetition-rate SLR system for ARGO-M. The laser ranging rate up to 10 kHz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in the SLR community to improve ranging precision. To implement high-repetition-rate SLR system, the High-repetition-rate SLR operation system (HSLR-10) was designed and developed using ARGO-M Range Gate Generator (A-RGG), so as to enable laser ranging from 50 Hz to 10 kHz. HSLR-10 includes both hardware controlling software and data post-processing software. This paper show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key technologies of high-repetition-rate SLR system. The developed system was tested successfully at DAEK station and then moved to Sejong station, a new Korean SLR station, on July 1, 2015. HSLR-10 will begin normal operations at Sejong station in the near future.

Conditional Signal-Acquisition Parameter Selection for Automated Satellite Laser Ranging System

  • Kim, Simon;Lim, Hyung-Chul;Kim, Byoungso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6권2호
    • /
    • pp.97-103
    • /
    • 2019
  • An automated signal-acquisition method for the NASA's space geodesy satellite laser ranging (SGSLR) system is described as a selection of two system parameters with specified probabilities. These parameters are the correlation parameter: the minimum received pulse number for a signal-acquisition and the frame time: the minimum time for the correlation parameter. The probabilities specified are the signal-detection and false-acquisition probabilities to distinguish signals from background noise. The steps of parameter selection are finding the minimum set of values by fitting a curve and performing a graph-domain approximation. However, this selection method is inefficient, not only because of repetition of the entire process if any performance values change, such as the signal and noise count rate, but also because this method is dependent upon system specific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Moreover, computation is complicated and graph-domain approximation can introduce inaccuracy. In this study, a new method is proposed to select the parameters via a conditional equation derived from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detection and false-acquisition probabil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yields better efficiency and robustness against changing performance values with simplicity and accuracy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satellite laser ranging (SLR) systems.

정지궤도복합위성 레이저 레인징 가능 시간대 해석 (GEO-KOMPSAT-2 Laser Ranging Time Slot Analysis)

  • 박봉규;최재동;이상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6
    • /
    • 2018
  • 정지궤도복합위성(GEO-KOMPSAT) 2A와 2B는 천리안위성의 임무를 승계하기 위해 각각 2018년과 2019년에 발사되어 동경 $128.25{\pm}0.05$도의 정지궤도상에 위치할 예정이다. 그 중에서 정지궤도복합위성 2B는 정밀 거리측정을 위해 LRA(Laser Retroreflector Assembly)를 장착하였으며 거창에 위치한 SLR(Satellite Laser Ranging) 시스템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 경우 거리측정을 위해 지상에서 발사된 레이저가 위성에 장착된 광학탑재체에 입사될 경우 탑재체의 안전성이나 영상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정지궤도복합위성 2B의 셔터가 닫혀 있는 야간시간대에 만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하지만 동일 경도상에 위치한 정지궤도복합위성 2A는 하루 24시간 영상획득을 수행하기 때문에 야간 시간대에 레인징을 수행하더라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거창 SLR Station에서 바라본 정지궤도복합위성 2A와 2B의 사이각이 일정 이상일 때 레이저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궤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두 위성 사이의 연간 각거리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레이저 레인징이 가능한 시간대를 분석하였다.

NGSLR 시스템을 이용한 LRO 달 탐사선의 레이저 거리측정 (Laser Ranging for Lunnar Reconnaissance Orbiter using NGSLR)

  • 임형철;;박종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136-1143
    • /
    • 2010
  • NASA가 발사한 LRO 달 탐사선의 정밀궤도 결정을 위해서 지상에서 발사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단방향 거리측정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이는 실제 탐사선의 임무에 활용되는 첫번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RO 달 탐사선의 레이저 거리측정을 수행하는 탑재체 및 지상 시스템, 레이저 비행시간 및 망원경 지향 오차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상에서 발사한 레이저 펄스가 earth window내에 검출되기 위한 기술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하여 실제 LRO 달 탐사선의 레이저 추적을 통해서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성공적인 단방향 거리측정 기술이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atellite Laser Ranging System at Geochang Station

  • Lim, Hyung-Chul;Sung, Ki-Pyoung;Yu, Sung-Yeol;Choi, Mansoo;Park, Eunseo;Park, Jong-Uk;Choi, Chul-Sung;Kim, Sim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5권4호
    • /
    • pp.253-261
    • /
    • 2018
  •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has been developing the space optical and laser tracking (SOLT) system for space geodesy, space situational awareness, and Korean space missions. The SOLT system comprises satellite laser ranging (SLR), adaptive optics (AO), and debris laser tracking (DLT) systems, which share numerous subsystems, such as an optical telescope and tracking mount. It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laser ranging up to geosynchronous Earth orbit satellites with a laser retro-reflector array, space objects imaging brighter than magnitude 10, and laser tracking low Earth orbit space debris of uncooperative targets. For the realization of multiple functions in a novel configuration, the SOLT system employs a switching mirror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telescope pedestal and feeds the beam path to each system. The SLR and AO system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at the Geochang station, whereas the DLT system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nd the AO system is being prepared for testing. In this study,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OLT system are addressed and the SLR data quality is evaluated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Laser Ranging Service (ILRS) tracking stations in terms of single-shot ranging precision.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SLR system has a good ranging performance, to a few millimeters precis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LR system will no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ember of the ILRS tracking network, but also contribute to future Korean space mi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