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검색결과 421건 처리시간 0.035초

GOCI-II 기반 괭생이모자반 모니터링 시스템 성능 평가: 황해 및 동중국해 해역 오탐지 제거 결과를 중심으로 (Performance Evaluation of Monitoring System for Sargassum horneri Using GOCI-II: Focusing on the Results of Removing False Detecti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 이한빛;김주은;김문선;김동수;민승환;김태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2호
    • /
    • pp.1615-1633
    • /
    • 2023
  • 괭생이모자반은 황해 및 동중국해에서 대규모 번식하는 부유조류 중 하나로 우리나라 연안에 유입되어 환경 파괴 및 양식업 피해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효율적인 피해 예방 및 연안 환경 보존을 위하여 최근 인공위성 기반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한 괭생이모자반 탐지 알고리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잘못된 탐지 정보는 해상 수거 선박의 이동 거리 증가, 지자체나 유관기관의 대응 혼선 등을 유발하므로 괭생이모자반 공간정보 생산 시 오탐지 최소화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해양조사원 국가해양위성센터의 GOCI-II 기반 괭생이모자반 탐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오탐지 화소를 제거하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주요 오탐지 발생 원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형·산발적 오탐지 및 봄, 여름철에 중국 연안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녹조류를 오탐지로 간주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였다. 2022년 2월 24일부터 6월 25일까지 괭생이모자반 발생일을 대상으로 오탐지 자동 제거 기법을 적용하고, 중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육안 판독 결과를 생성하고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형 오탐지는 완전히 제거하였으며, 산발적 및 녹조 오탐지는 분포 파악에 영향을 주는 대부분의 오탐지 결과를 제거하였다. 자동 오탐지 제거 과정 이후에도 육안 판독 결과 대비 괭생이모자반의 분포 면적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이진분류모델을 이용하여 정확도와 정밀도는 각각 평균 97.73%, 95.4%로 산출하였다. 재현율은 매우 낮은 29.03%였는데, 이는 GOCI-II와 중해상도 위성영상의 관측 시간 불일치에 의한 괭생이모자반 이동 영향, 공간해상도 차이, 정사보정에 따른 위치 편차, 그리고 구름 마스킹 영향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괭생이모자반 오탐지 제거 결과는 공간적인 분포 현황을 준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생체량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괭생이모자반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 연구를 통해 향후 괭생이모자반 대응계획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Use of the Brown Algae Sargassum spp. in Heavy Metal Monitoring of the Marine Environment near Vladivostok, Russia

  • Khristoforova, N.K.;Kozhenkova, S.I.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25-329
    • /
    • 2002
  • Concentrations of Fe, Mn, Zn, Cu, Pb and Cd in two seaweed species (Sargassum miyabei and S. pallidum) from different areas in Amursky Bay near Vladivostok were determined. An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is bay was mad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some localities in the world ocean.

한국산 갈조식물 모자반속(Sargassum)의 분류 I. Bactrophycus아속 Teretia절 (Taxonomy of the Genus Sargassum (Fucales, Phaeophyceae) from Korea I.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Teretia)

  • 옥정현;이인규
    • ALGAE
    • /
    • 제20권2호
    • /
    • pp.77-90
    • /
    • 2005
  • Eight species of Sargassum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Teretia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Korea: S. confusum C. Agardh, S. pallidum (Turner) C. Agardh, S. muticum (Yendo) Fensholt, S. thunbergii (Mertens ex Roth) Kuntze, S. fulvellum (Turner) C. Agardh, S. hemiphyllum (Turner) C. Agardh, S. nipponicum Yendo, and S. miyabei Yendo. These species were investigated on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Korea. The valuable taxonomic characters between similar species of this section were discuss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ickness of leaves, types of holdfasts, shape of leaves and vesicle, and length of rhizoids.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저해 및 항응고 활성 스크리닝 (Inhibition Activities of Sea Weeds on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and Coagulation)

  • 이현진;김진희;이주현;김종식;곽상태;이경복;송경식;최병욱;이봉호
    • 생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1-237
    • /
    • 1999
  • About forty sea weeds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against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and thrombus coagulation. Out of them, methanolic extract of Ecklonia cava, Sargassum patens, Sargassum hemiphyllum,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singgildianum, Hizikia fusiformis, and Ishige okamurae inhibited more than 90% of prolyl endopeptidase activity at 40 ppm. Sargassum siliquastrum and Ecklonia cava exhibited 51% and 76% of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yrosinase at 40 ppm, respectively. In APTT assay system, Sargassum singgildianum, Pterocladia capilacea and Hizikia fusiformis delayed coagulation of thrombus about two times (210, 211, and 198% over control at ca 367 ppm, respectively) and in TT assay, Lomentaria catenata, Laurencia okamurae, and Hizikia fusiformis did most effectively (216,197, and 251% at ca 367 ppm, respectively).

  • PDF

쌍발이모자반(Sargassum paten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rgassum patens extract)

  • 김숙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64-2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쌍발이모자반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 실험에는 폴리페놀 농도측정,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 DPPH 실험, ABTS 실험, NO 실험, FRAP 실험을 실시하였다. 폴리페놀의 경우 18.99±0.69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11.89±1.16 mg/g으로 나타났다. DPPH 실험에서는 19.78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63.64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O 실험에서는 7.966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쌍발이모자반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2.089 ㎍의 환원력을 보였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독성과 LPS로 유도된 염증에 대한 항염능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80%이상의 세포 생존률을 보였으며,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100 ㎍/mL 농도에서 30.64±0.23%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쌍발이모자반 추출물이 항염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함을 보였다.

한국 동해 삼척시 갈남 해역의 해조 군집구조와 무절산호조류의 분포 변화 (Variations of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rustose Coralline Algae at Gallam, Samchuk, Eastern Coast of Korea)

  • 김찬송;김영식;최한길;남기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23
    • /
    • 2014
  • 한국 동해안 삼척시 갈남 해역의 조간대와 조하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군집구조 변화와 무절산호조류의 분포현황을 2010년 8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조사하였다. 연구기간에 녹조류 14종, 갈조류 33종, 홍조류 65종이 출현하여 총 112종 채집 및 동정되었다. 이 중 29종은 일 년 내내 출현하였다. 생물량을 근거로 한 우점종은 구멍갈파래(Ulva pertusa), 불레기말류(Colpomenia spp.),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톳(Sargassum fusiforme), 몽당잎모자반(Sargassum muticum),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과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였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건중량으로 66.7 $gm^{-2}$ 이었고, 여름에 107.5 $gm^{-2}$로 최대였고 가을에 36.2 $gm^{-2}$로 최소값을 기록하였다. 기능형군 분석에서는 성긴분기형(coarsely branched form)이 전체 해조에서 40.0~48.6%를 차지하였다. 엽상형(sheet form), 사상형(filamentous form) 및 성긴분기형을 포함한 기회종인 생태학적 상태그룹 ESG II는 46~61종으로서 76.7~82.4%를 차지하였다. 각상형의 무절산호조류는 모든 계절에 출현하였으며, 대표적인 종이 혹쩍(Lithothamnion lemoineae), 혹돌잎(Lithophyllum okamurai), 납작돌잎(Lithophyllum yessoense), 나팔가시돌잎(Hydrolithon gardineri)이었다. 동해안 갈남 해역에서 무절산호조류의 피도는 선행 연구에서 36.8%였으나, 금번에 11%로서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서해 어청도 해조상 및 군집구조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Eocheongdo in 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식;양은아;남기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5-665
    • /
    • 2013
  • 한국 서해안 어청도에서 조간대와 조하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생물량과 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6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녹조류 12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6종이 출현하여 총 101종 채집되어 동정되었다. 이중 19종은 일 년 내내 출현하였다. 총 생물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점종은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톳(Sargassum fusiforme),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neri), 고사리모자반(Sargassum filicinum)이었다. 연간 평균 건중량은 $237.5gm^{-2}$이었으며, 최대값은 겨울에 $272.1gm^{-2}$, 최소값은 여름에 $204.5gm^{-2}$을 기록하였다. 조하대에서의 출현종과 생물량은 조간대에 비하여 많았다. 어청도에서 출현종수와 생물량은 투명도가 낮은 한국 서해 연안의 일반적 특성과 반대로 높은 투명도와 자연 암반의 발달로 인하여 한국 서해안의 다른 도서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보인다.

모자반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지방세포 생성억제 효과 (Sargassum sp. Attenuates Oxidative Stress and Suppresses Lipid Accumulation in vitro)

  • 김정애;;안별님;권명숙;문옥주;김미향;이상현;유기환;김육용;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4-283
    • /
    • 2014
  • 인간 생체 내 산화스트레스는 조직적 손상을 일으켜 당뇨병, 심장혈관계질환, 비만 등의 대사성 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예방용 천연 보조제 개발의 일환으로 모자반 3종류(Sargassum hemiphyllum,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honeri)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지방생성억제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세포 내 ROS 활성 및 NO 함량의 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지방세포생성억제활성은 3T3L1세포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의 축적 정도와 $PPAR{\gamma}$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각각 Oil-Red O 염색법과 RT-PCR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 모자반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자반 중에서 S. hemiphyllum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소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MTT assay을 통해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들이 RAW 264.7 cell에 대한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세포내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내 ROS 소거능의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DCF 형광도 값이 낮게 나왔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광도 값이 일정하여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에는 세포 내 ROS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PS 처리에 의해 증가한 NO 값은 모자반의 추출물들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 처리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모자반의 추출물들을 3T3-L1지방세포에 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한 결과 모자반 추출물 중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이 세포 내 지방 축적 및 $PPAR{\gamma}$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모자반 추출물들 중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이 높은 항산화 활성과 지방세포 생성억제 효능을 보유하고 있는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