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onari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and Nutrient Content of Fermented Aloe Saponaria as Pigs Feed Additive Food

  • Choi, Sun Mi;Supeno, Destiani;Kwon, Soon Hong;Chung, Sung Won;Kwon, Soon Goo;Park, Jong Min;Kim, Jong Soon;Choi, Won Sik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9-16
    • /
    • 2018
  • Aloe gel layer is well known as raw materials of medicines and cosmetics due to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aloe gel extracting process, the outer part of the leaf was removed. It contains high quality of fiber and many nutrients. However, this part is thrown away and generally used as fertiliz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mportant nutrient of Aloe saponaria. Moreover, the feasibility of using aloe as a dietary supplement by feeding fermentation treatment of aloe was investigated. To do this, the aloe leaf was divided into several parts including leaf skin, bottom of the leaf, tip of the leaf, middle of the leaf, and leaf flesh. Then the saponin content were analyzed from each part. The extraction method was used to clarify the saponin content. The aloe then fermented to improve it benefit. The fermented Aloe then given as dietary food to group of pig. Finally, the appropriate feed level was determined and the pork meat quality was analyzed. The extraction of saponin shows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aponin located on the skin of the leaf. The feeding experimen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ig growth without aloe dietary food and groups with aloe as dietary food. It was conclude that fermented aloe can replace the pigs normal feeder as an alternative feeding solution.

건조조건(乾燥條件)에 의(依)한 알로에의 부위별(部位別), 품종별(品種別) 지방산(脂肪酸) 유기산(有機酸) 및 Barbaloin 성분(成分) 연구(硏究) (Fatty and organic acids, and barbaloin in various parts of Aloe species dried at different drying temperatures)

  • 장기운;박종상;장기철;남윤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44-248
    • /
    • 1993
  • 건조조건에 의한 알로에의 품종별 및 부위별로 지방산 및 유기산과 약효성분인 barbaloin을 추출 분리정량 하였다. 7종의 지방산 및 6종의 유기산과 barbaloin 성분을 확인한 후 각 품종별, 부위별, 건조온도별로 함량을 비교하였다. 7종의 총지방산량으로 볼때 palmitic, eicosanoic acid 함량이 높았으며, Aloe saponaria가 가장 적었다. 6종의 유기산 총량으로는 malic, citric 및 oxalic acid가 다른 유기산보다 많았으며, Aloe sponaria가 함량이 많았고, Aloe arborescence 변종 1은 적었다. $65^{\circ}C$$80^{\circ}C$ 열풍건조시료는 유기산 및 지방산의 함량이 거의 유사하였고, 동결건조한 시료는 열풍건조한 시료보다 함량이 낮았다. Barbaloin의 경우 품종별 함량은 Aloe arborescence 변종 1이 가장 높았으며, 건조조건에 따른 Aloe vera의 barbaloin 성분은 $65^{\circ}C$보다 $80^{\circ}C$의 경우 감소되었고 동결건조가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cpDNA와 ITS 염기변이에 근거한 신품종 생장알로에 유전적 상관관계 (Genetic relationship of Aloe vera 'Saengjang', a new forma, based on cpDNA and ITS sequence variation)

  • 크리쉬나모르씨;장선일;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50-256
    • /
    • 2014
  • 본 연구는 3개의 색소체 matK, trnL-F, rbcL DNA 염기서열과 1개의 핵 ITS DNA 염기서열을 근거로 한국산 Aloe 3종 A. arborescens, A. vera 그리고 A. saponaria 등과 하나의 변이종 알로에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알고자 수행되었다. 전체 2,420 bp 서열이 증폭되었다. 두 개의 삽인-결실(indel)이 trnL 지역에서 확인되었고, 또한 여러 개의 종 특이적인 염기자위가 전체 29개의 최소변이 정보지역(parsimonious informative site)에서 확인되었다. 조사된 한국산 4 종간에는 148 염기변이 지역이 있었으며, 세계산 Aloe 종들을 포함한 비교해서는 170개의 변이지역 중 75개의 최소변이 지역이 확인되었다. UPGMA를 이용한 phenogram에서 새로운 변이종 알로에는 A. vera와 가장 가깝게 유집되었다. 변이종 알로에는 아직까지 보고된 어떤 종류의 Aloe속내 종과 형태적 및 유전적으로 일치하지 않았다. 조사된 알로에 종들의 유집분석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Aloe 세포 배양계에서 $CO_2,\;O_2,\;C_2H_4$ gas가 세포 생장 및 다당체 생산에 미치는 영향

  • 박태영;조규헌;허원;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25-32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gas 성분의 조성을 on-line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성분들이 식물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CO_2$가 첨가되었을 때, 세포의 생장에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2차 대사물 및 polysaccharide의 생산성을 증대시켰다. 특히, polysaccharide의 경우, $CO_2$가 참가되었을 때 1.8배의 생산성 증대를 나타내었다.

  • PDF

천연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O/W 유화액의 제조 :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유화안정성 최적화 (Emulsification of O/W Emulsion Using Natural Mixed Emulsifiers : Optimization of Emulsion Stability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Reponse Surface Methodology)

  • 홍세흠;천추이웨이;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4권3호
    • /
    • pp.299-30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무환자와 알팔파로부터 추출한 천연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 사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CCD-RSM)을 이용한 O/W 유화 제조공정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공정변수로는 혼합유화제 첨가량, 천연유화제 혼합비율(무환자 사포닌/알팔파 사포닌), 유화시간으로 설정하였고 반응치로는 유화액의 유화안정화지수, 평균입자크기, 항산화능(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설정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한 계량인자범위는 혼합유화제 첨가량(12~14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30~70%), 유화시간(20~30 min)으로 설정하여 CCD-RSM을 이용하여 최적화한 결과, O/W 유화 제조공정의 최적조건으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2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4.2%, 유화시간은 25.8 min으로 나타났으며, 이 조건에서 예측된 반응치로서 유화액의 유화안정도지수(ESI)는 88.7%, 평균입자크기(MDS)는 815.5 nm, 항산화능은 38.7%으로 계산되었다.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유화액의 ESI는 90.6%, MDS는 830.2 nm, 항산화능은 39.6%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오차율은 2.1%이었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유화 제조에 적용하여 만족스러운 O/W 유화제조 공정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An Optimized Methodology to Observe Internal Microstructures of Aloe vera by Cryo-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Choi, Yoon Mi;Shin, Da Hye;Kim, Chong-Hyeak
    • Applied Microscopy
    • /
    • 제46권2호
    • /
    • pp.76-82
    • /
    • 2016
  • Aloe vera has been used in the pharmaceutical, food and cosmetic industry for its therapeutic properties. However, there are not many current studies on the microstructure of A. vera compared to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and health efficacy of A. vera. Therefore, we compared the morphology of an A. vera leaf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 convention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 cryo-SE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observing the gel in the inner leaf of A. vera, which is challenging using standard imaging techniques. We found that cryo-SEM is most suitable method for the observation of highly hydrated biomaterials such as A. vera without removing moisture in samples. In addition, we found the optimal analytical conditions of cryo-SEM. The sublimation conditions of $-100^{\circ}C$ and 10 minutes possibly enable the surface of the inner leaf of A. vera to be observed in their "near life-like" state with retaining moisture. The experiment was repeated with A. arborescens and A. saponaria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wards the basic research of aloe and further extend previous knowledge about the surface structures of the various succulent plants.

옥상녹화지에서 허브식물의 관수처리에 따른 생육특성 (Effect of Irrig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 Plants on a Green Rooftop Area)

  • 김동엽;박희령;하유미;류경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6-105
    • /
    • 2018
  • 허브식물을 이용한 옥상녹화시 관수를 실시한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애플민트, 레몬밤, 스피아민트, 파인애플세이지, 초코민트, 옥스아이데이지, 캐모마일 및 타임이었다. 반면, 무관수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페퍼민트, 장미허브 및 피버퓨였다. 관수에 따른 생장에 차이가 없는 허브식물은 라벤다, 로즈마리, 탠지, 레몬버베나, 헬리오트로프, 소프워트 및 레이디스맨틀이었다. 관수 및 무관수 처리가 허브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최대 광합성 효율을 조사한 결과, 관수처리 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초코민트, 스피아민트, 레몬밤, 애플민트 등으로 나타났다.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페퍼민트와 탠지였으며, 장미허브는 무관수시 생장은 증가한 반면 최대 광합성효율은 감소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관수 및 무관수 처리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으나, 최대 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는 로즈마리와 소프워트였으며, 레몬버베나, 피버퓨, 헬리오트로프 등은 관수 및 무관수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고, 최대 광합성 효율 역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코민트와 페퍼민트는 중부지방에서 월동 가능함과 동시에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상록으로 유지되어 옥상녹화에 적합한 식물이라고 생각되었다. 반면, 장미허브, 파인애플세이지, 애플민트는 추위에 약하고 월동이 안 되어서 옥상녹화에 부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스피어민트와 레몬밤은 엽색의 변화와 동해 피해로 인해 관상가치는 떨어졌으나, 월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옥상녹화에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중부지방에서 활용 가능한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는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월동이 가능한 페퍼민트와 탠지가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식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몬버베나, 소프위트 및 레이디스맨틀도 중부지방에서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