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ponari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UVB로 산화적 손상을 유도한 피부섬유아세포에 Saponaria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Saponaria Extract Against UVB-Damage in Skin Fibroblasts)

  • 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4-651
    • /
    • 2022
  • 피부는 인체를 구성하는 가장 큰 장기로 생체 내부를 보호한다. 자외선은 피부에 광노화와 산화적 손상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섬유아세포에서 UVB를 조사하여 Saponaria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UVB에 의한 세포독성과 산화적 세포사멸, NO 및 PGE2 생성에 대한 보호활성을 나타내는 Saponaria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HS68 세포를 UVB(120mJ/cm2)에 조사하고 100, 200, 400 ㎍/mL의 다양한 농도로 Saponaria 추출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으며, 자외선 B에 의해 생성된 세포 내 활성 산소 종(ROS)은 DCF-DA 염색 후 분광 형광계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또한 지질 과산화는 배양 배지로 분비되는 8-이소프로스탄의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aponaria 추출물이 UVB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산화적 세포 손상은 UVB로 유도된 HS68 섬유아세포에서 PGE2를 매개하였고, 이는 사포나리아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의 보호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내 ROS 생성 및 지질 과산화 억제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aponaria 추출물이 자외선 B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매개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여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므로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알로에 베라(A. vera)와 알로에 사포나리아(A. saponaria)로 부터 효모의 분리 및 계통분석 (Selective Isolation and Phylogeny of the Yeast Species Associated with Aloe vera and Aloe saponaria)

  • 최성창;김명욱;김종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0-243
    • /
    • 2013
  • 효모의 유용 기능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효모만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의 정립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 알로에에 정착하는 효모 군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로에 베라(Aloe vera)와 알로에 사포나리아 (Aloe saponaria)의 잎을 파쇄하여 세균을 억제하기 위해서 항생제 chloramphenicol과 streptomycin과 곰팡이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Triton X-100과 L-sorbose를 포함한 4가지 선택 배지(DOB with CS, GPY, YM, SCG)에 도말 하였고, A. vera에서 총 67균주, A. saponaria에서 총 42균주를 분리해 내었다. 분리된 균주를 ITS 1, 4 primer를 사용하여 sequence의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A. vera에서는 Meyerozyma 가 56균주, Rhodotorula 가 1균주, Sporobolomyces 가 1균주, Cryptococcus 가 9균주, A. saponaria에서는 Rhodosporidium 가 41균주, Sporobolomyces가 1균주로 분포 되었다. 계통분석한 모든 분리 균주가 효모로 밝혀졌으며, 특히 대형 플레이트를 도입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대량의 효모를 발굴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인 노랑도깨비바늘(Bidens polylepis S.F.Blake)과 비누풀(Saponaria officinalis L.) (Newly Recorded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Bidens polylepis and Saponaria officinalis)

  • 이유미;이혜정;박수현;최형선;오승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0-246
    • /
    • 2010
  • 인천광역시(영종도)와 울산광역시에서 2종류의 미기록 귀화식물을 발견하였다. Bidens polylepis S. F. Blake는 노랑도깨비바늘(신칭)로 인천광역시 운북동 운북교 부근과 울산광역시 삼남면 취서산, 상북면 샘물산장 부근에 많은 개체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속의 유사분류군들과는 설상화(ray-flower)의 크기가 큰 특징으로 구분되고, 노랑도깨비바늘속이며 설상화가 노란색인 특징에 따라 국명을 신칭 하였다. Saponaria officinalis L.는 비누풀로 인천광역시 운서동 젓개마을의 두 장소에서 귀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누풀의 암술대는 2개,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지 않으며, 잎 기부에는 부속체가 있는 특징으로 석죽과의 다른 분류군들과 구분된다.

Aloe saponaria 캘러스의 열수 추출물 유래 다당의 특성 (Polysaccharide Characteristics from Hot Water Extract of Aloe saponaria Callus)

  • 백진홍;김명욱;강태수;허원;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59-64
    • /
    • 2009
  • The callus formation from inferior leaf of Aloe saponaria was induced in M & S medium supplemented with 10-30 ${\mu}M$ NAA (${\alpha}$-naphthalene acetic acid) and 3-7 ${\mu}M$ kinetin under incubation in the dark at $25^{\circ}C$ for 6 weeks. The hot water extract ($100^{\circ}C$, 24 hrs) from cultured callus was obtained and the components analysis for the extract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callus can synthesized the bioactive component such as Aloe polysaccharide. The freeze dried extract contained the sugar of 53.2%, protein of 7.3%, ash of 18.5% and water of 21% (w/w). Two fractions (Fr-I and Fr-II) were obtained by Sepharose CL-4B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nd Fr-I, major fraction was further purified with dialysis. From sugar analysis by TLC and GC, the purified Fr-I fraction consisted of glucose (77.6%), galactose (17.7%), mannose (4.7%, w/w) and uronic acid (trace). The molecular weight of purified Fr-I fraction determined by GPC was about 110 kDa.

비누풀 잎 추출물로부터 천연 계면활성제 개발 (Development of a Natural Surfactant from Extracts of Saponaria officinalis L.)

  • 장아름;김효정;김광수;박은경
    • KSBB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202-207
    • /
    • 2013
  • In this study, saponin content of extract from modified preconditioning process was investigated in Saponaria officinalis L. for cosmetic natural surfactant. Saponin content in steamed leaves from S. officinalis L. was about three times more than that in dried leaves (tea saponin and quillaja saponin). And saponin extracts from steamed leaves was excellently shown in both forming force and forming stability. In emulsion activity, saponin extracts from steamed leaves had a similar level to quillaja saponin and tea saponin. Saponin extracts from steamed leaves in S. officinalis L. showed nontoxic effect below in $1,000{\mu}g/mL$ of concentration and dose-depende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From the experiment, the extracts of S. officinalis L. showed good cosmetic agent.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lteration of Aloe Saponaria Fermentation

  • Kweon, Do-Yeong;Kang, Min-Woo;Park, Jong-Min;Kim, Jong-Soon;Kwon, Soon-Goo;Choi, Won-Sik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6_1호
    • /
    • pp.897-906
    • /
    • 2020
  •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fermentation of Aloe Saponaria. The fermentation process applied in this study had 2 variation, depends on the aloe part as the materials (bottom, middle, and tip) and the initial sugar content (24% and 0%) used. Tests are conducted using uinkin fermented powder, sugar, salt, and distilled water as fermenting ag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oe's skin was larger than in aloe's gel as fermentation materials.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loe's leaf during the process. A lso, aloes with intial sugar condition of 24% show better results than which without sugar addition in fermentation.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의 추출: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Natural Emulsifier from Medicago sativa L. and Sapindus saponaria L.: Optimization using CCD-RSM)

  • 홍세흠;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3권3호
    • /
    • pp.272-27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하여 CCD-RSM을 이용한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관한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으며, 95% 신뢰구간에서 최적화 결과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와 추출온도,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추출물의 거품안정도로 설정하였다. 주정/초순수 부피비 53.5 vol%, 추출온도 70.9 ℃인 최적조건 하에서 알팔파 추출공정의 최대 추출수율은 26.2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4.5%로 예측되었다.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의 경우, 최적조건인 주정/초순수 부피비 60.4 vol%, 추출온도 72.4 ℃에서 최대 추출수율은 31.9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7.5%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최적화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에 대한 각각의 평균 오차율은 3.4(± 0.3)% 및 5.0(± 0.04)%로 나타났다.

Hypocholesterolemic Property of Yucca schidigera and Quillaja saponaria Extracts in Human Body

  • Kim, Sang-Woo;Park, Sang-Kyu;Kang, Sung-Il;Kang, Han-Chul;Oh, Han-Jin;Bae, Chul-Young;Bae, Dong-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2호
    • /
    • pp.1042-1046
    • /
    • 2003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blend of partially purified Yucca schidigera and Quillaja saponaria extracts on cholesterol levels in the human's blood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s, and to determine if a new cholesterol-lowering drug can be developed by the further purification of the extracts. Ultrafiltration and sequential diafiltration increased the amounts of steroidal saponin in aqueous yucca extract and terpenoid saponin in aqueous qullaja extract from 9.3% and 21.4% to 17.2% and 61.8%, respectively. Taking 0.9 mg of the blend (6:4, v:v) of the resulting filtrates a day for 4 weeks resulted in the decreases in total and LDL cholesterol levels in blood plasma of hyper-cholestrolemic patients with enhancement in gastrointestinal symptoms of patients.

Gas 자동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gas 조성이 Aloe Saponaria 세포배양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박태영;허원;김동일;조규헌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398-401
    • /
    • 2000
  • Bioreactor을 좀더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gas 성분의 조성을 on-line으로 자동제어 및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gas 성분이 식물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관점에서 비교 ${\cdot}$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산소는 exponential phase을 증가시켰으며, 이산화탄소와 ethylene은 lag phase을 줄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이산화탄소는 2차대사물질인 aloin의 생산량을 증대시켰으며, 다당의 경우를 보면 현저한 생산량의 차이(약 1.8배)를 나타내었다. Ethylene을 주입한 샘플에서는 glucose 소비속도가 매우 빨랐으며, aloin의 생산량을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