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Box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1초

대형토조시험을 이용한 모래다짐말뚝이 적용된 복합지반의 침하 및 하중전이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Ground with Sand Compaction Pile(SCP) using Large Soil Box)

  • 김우석;박언상;김재권;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74-981
    • /
    • 2005
  • Because general laboratory tests for sand compaction pile method including unit-cell test device have fixed outside diameter, as area replacement ratio increase, diameter of sand pile increase. These condition can bring about overestimation of stiffness of composite ground. In addition, existing large soil box which consist of bellows type loading plate can occur serious mistake in checking the amount of drained water because there are additional drainage along the inside wall in device. Overcoming these shortcoming, this paper developed modified large scale soil box consist of piston type load plate. In this study, using this device, series of modified large scale soil box tests were performed, and investigated the settlement and stress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with area replacement ratio in sand compaction pile method.

  • PDF

중자조형기의 토치위치 최적화를 위한 열계해석 (Thermal System Analysis for Optimization of Torch Position in The Core Making Machine.)

  • 한근조;안성찬;심재준;한동섭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7-590
    • /
    • 2000
  • The new core making method economized on core sand requested. The new method is heating core box until it reaches reasonable temperature and then spraying core sand with core binder into core box.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have to uniform in order to form core of uniform thickn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eat of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ore box in priority. First, determine proper torch number. Next, optimize the torch position to minimize the average of absolute deviation(AVEDEV) of inner temp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ed : 1. The torch number that makes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about $300^\circ{C}$ uniformly is 25. 2. When $S_H$ and $S_V$ is 0.7, the torch position is optimized and AVEDEV is 5.85.

  • PDF

방식사의 지중 전력설비 되메움재로의 활용성 평가 (The Utilization of Waste Foundry Sand as Backfill Material for Underground Electric Utility Systems)

  • 이대수;홍성연;김경열;상현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01-20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주물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주물사를 가공처리한 방식사를 지하 전력구 및 전력선용 보호관로 공사의 되메움재료로 사용하는데에 따른 적합성을 분석하고자 물리적, 화학적, 열저항 특성실험을 실시하고 현재 지하 전력 구공사의 되메움재로 사용하고 있는 강모래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방식사는 전력구 되메움재로서 물리적 기준에 적합하며, 화학적으로 유해성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나, 허용전류 측면에서는 함수비 변화에 따른 열저항율의 변동폭이 커서 강모래에 비해 불리하게 나타났다. 이는 방식사가 전력선용 보호관로의 되메움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나, 토양의 열저항과 무관한 콘크리트 Box로 차폐된 전력구에서는 되메움재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 이러한 측면에서 방식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저항율에 대한 저감방안 등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방식사의 지하 전력시설용 되메움재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Waste Foundry Sand as Backfill Material for Underground Electric Utility Systems)

  • 이대수;홍성연;김경열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65-672
    • /
    • 2002
  • In this paper, the utilization of waste foundry sand produced in the molding process is studied as a backfill material for underground electric utility systems such as concrete box structures and pipe lines for power supply. The physical, 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for waste foundry sand are investigated for mechanical stability, environmental hazard and power transmission capacity. Also its properties are compared with the natural river sand. The test results show that waste foundry sand can be utilized for underground concrete box structures as a backfill material; however, it can not be applied to underground pipe lines due to high thermal resistivity or low power transmission capacity.

  • PDF

제강슬레그의 연직배수재로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Converts Slag for Vertical Drains)

  • 김용수;정승용;한기현;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23-630
    • /
    • 2000
  • In this study, it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o use the converts slag, by product in producing steel as a substitute material with sand that is used fur a civil construction materials, in developing techniques to use converts slag to improve soft clay ground. To do this, it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nverts slag as a civil construction material. For this, cylindrical cell consolidation with a single vertical drains and large scale soil box test were performed. Through large scale soil box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converts slag to the present vertical drain techniques which is dependent on sand and plastic drains was studied. As a result of that, it was found that the shape of inserted drains was maintained after completing a consolidation process of a soft clay with slag drains. In addition, we could find that the slag drains showed the similar results with sand drains in soft clay by analyzing the effect of acceleration of consolidation.

  • PDF

벼 육모일수에 따른 양분흡수와 배유양분 소모 (Nutrient Absorption and Endosperm Consumption in Rice Seedling)

  • 김상수;최민규;이선용;조수연;전병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5-410
    • /
    • 1996
  • 벼 육묘 일수에 따른 양분 흡수 양상을 밝혀 어린모 기계이앙 상자육묘시 시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1990년 모래를 HCI로 세척후 시비량을 달리하고 동진벼를 상자당 200g을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토의 질소 함유율은 모래(N-lg), 인공상토 모두 파종 후 3일부터 감소하였으며, 파종 후 11일부터는 모래(N-lg)에서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2. 식물체 질소 함유율은 파종 후 9일까지는 모래 N-lg, 인공상토, 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으나 파종후 11일부터는 인공상토>모래 N-g>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다. 3. 질소 흡수량은 출아 직후인 파종 후 3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며, 파종 후 9일까지는 인공상토와 모래 N-1g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11일부터는 흡수량 차이가 컸다. 4. 인산의 흡수량은 파종 후 7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고 칼리 흡수량은 모래의 시비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모의 초장과 건물중은 파종 후 3일부터, 엽수는 파종 후 5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다. 6. 배유 소모율은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나 배유 의존도(배유소모량/지상부 건물중)는 모래 N-0g>모래 N-lg>인공상토의 순으로 많았다.

  • PDF

중자조형기의 토치위치 최적화를 위한 열계해석 (Thermal System Analysis to Optimize Torch Position in The Core Making Machine.)

  • 한근조;안성찬;심재준;한동섭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47
    • /
    • 2002
  • The new core making method economizing the amount of core sand has been requested. The new method is that a core box is heated until it reaches reasonable temperature and then core sand with core binder is sprayed into the core box. Since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have to be uniform in order to form uniform thickness of core, we studied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ore box. First, we determined proper number of torches and optimized torch positions to minimize the average of absolute deviation(AVEDEV) of inner temperature. The results are as fellowed: 1. The number of torches that enables uniform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about $300^{\circ}C$ is 25. 2. When $S_H$ and $S_V$ is 0.7, the torch positions are optimized and AVEDEV is 5.85.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해체 다문화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and effective evaluation through instructional sand box play -Focusing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이옥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53-365
    • /
    • 2019
  • 본 연구는 다양한 관계에서 위축되고 의사소통이나 표현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해체 다문화가족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양적분석 데이터 수집을 위해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를 통한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점수를 비교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로 SPSS 18.0 Package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해 회기 내 B아동의 언어적 변화를 자기표현척도에 위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간 총 12회기 개별 활동과 1회의 집단 활동, 1박2일의 가족캠프 활동으로 총 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양적으로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자아존중감 능력에서 z=-2,200으로서 p<.05보다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질적으로 아동 B의 회기별 언어적 표현이 회기가 진행될수록 긍정적 표현이 증가하고, 부정적 표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엇보다도 주제를 제시하는 지시적 개별 모래 상자의 접근방법과 더불어 가장 안정적 환경인 아동의 집으로 방문하는 과정이 해체 다문화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증가시키는 효과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내담자 특성에 따라 지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이동형 개별적 모래상자 프로그램으로 가는 전초적인 기본 틀이 마련 될 것이다.

잔골재 종류에 따른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 특성 (Comparison of rheological properties containing natural and crushed sands in self-compacting concretes)

  • 이근수;최열;정웅;이재익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365-368
    • /
    • 2008
  • 최근, 하천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모래의 부족과 환경 보호에 대한 요구 등으로 인해 잔골재로써의 부순 모래가 콘크리트 산업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골재는 자기충전 모르타르(SCM)를 포함한 자기 충전 콘크리트(SCC)의 특성에 큰 영향을 준다. 잔골재로 부순 모래를 사용한 SCC와 SCM의 유동적 특성을 자연 모래를 사용한 것과 두 가지를 섞은 모래를 사용한 SCC와 SCM과 비교 하였다. 실험결과는 50% 섞인 모래가 포함된 SCM의 yield stress가 SP 함유량에 따른 자연 모래와 부순 모래보다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연모래 SCC의 슬럼프 값은 부순 모래의 SCC보다 거의 5-15% 높다. 또한 같은 물/시 멘트비와 증점제에서 자연모래 SCC의 L-box test 값은 부순 모래 SCC보다 거의 20-30% 높다.

  • PDF

플라이 애시와 석회석 미분말을 혼용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 특성 (Flowability of High Flowable Concrete with Fly Ash and Lime Powder)

  • 조일호;성찬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4호
    • /
    • pp.23-30
    • /
    • 2006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flowability of high flowable concrete using ordinary portland cement, crushed coarse aggregate, crushed sand, sea sand, fly ash, lime powder and superplasticizer. The slump flow and air content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lime powder. But, the O-type funneling time and Box-type passing a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lime powder. The slump flow, air content, O-type funneling time, Box-type passing and L-type filling of target compressive strength 21-27 MPa and 35-42 MPa at curing age 28 days are 47-50 cm and 56-60 cm, 4.2-5.5% and 4.0-5.7%, 8-12s and 5-10s, 4.3-5.0 cm and 3.4-5.0 cm, and excellent, respectively. These concrete can be used for high flowable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