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bangsa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제주도 지오파크의 발전적 콘텐츠 개발 - 산방산·용머리 해안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Expansive Contents for Jeju-do Geopark - Focus on Sanbangsan and Yongmuri Beach-)

  • 권동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0
    • /
    • 2011
  • 지오사이트로서의 산방산과 용머리 해안은 그 범위가 상당히 넓고 다양한 코스를 통해 관광객들이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이 곳의 지오사이트 안내표지판은 현재보다 최소 2배 이상 늘리고 설치 장소를 포인트별로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안내표지판의 제목은 '산방산 용암원정구', '용머리 응회환', '산방산 용암원정구와 용머리 응회환의 관계' 등 세가지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표지판은 관광객들이 짧은 시간에 한눈에 읽어내야 하므로, 그 내용은 서술이 체계적이고 간단, 명료해야한다. 연구 지역의 뷰포인트는 크게 산방산 조망, 용머리해안 조망, 산방산과 용머리해안 동시 조망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각 조망별 뷰포인트는 각각 3곳씩 모두 9곳에 설정이 가능하다. 산방산과 용머리 해안 지오사이트 내에서는 산방산과 용머리 응회환의 층서 경계부, 포획 현무암, 마린 포트홀, 타포니, 엇갈린 경사퇴적층 등 5곳의 소주제 경관이 관찰된다. 이들 소주제들은 해당 지오사이트는 물론 전체 지오파크를 유기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므로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제주도 산방산 용암돔(Lava Dome)의 구성암석에 대한 화산암석학적 연구 (Petrology of the Sanbangsan Lava Dome, Jeju Volcanic Field)

  • 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7-317
    • /
    • 2019
  • 제주도 남서부에 위치하는 산방산 용암돔에 대하여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방산 용암돔의 형태를 용암분출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화구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계속적인 마그마 주입에 의하여 서서히 밀면서 상승 팽창한 '내부 기원형'에 해당하며, 용암돔 외곽부에 발달하는 테일러스 에이프런은 대부분 침식 제거되고 그 내부의 용암류의 냉각에 의한 수직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낮은 용암돔형'에 해당한다. 산방산을 구성하는 암석을 화산암 TAS 분류도에 적용하여 분류하면, Cox et al.(1979) 분류도에서 일부 벤모리아이트 영역에 도시되나 대부분이 조면암의 영역에 도시되며, 최근 사용하는 Le Maitre et al.(2002)의 분류도와 Zr/TiO2-Nb/Y 분류도에서는 모두 조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그러므로 산방산 용암돔을 구성하는 암석을 '조면암질 안산암'이라고 설명한 표현은 마땅히 '조면암'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산방산 용암돔을 구성하는 화산암은 노옴 석영을 함유하는 조면암으로 SiO2 59.75-63.46 wt.%의 범위에서 일정한 분화 경향을 보인다.

Age and life history of an old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tree at Cave Temple on Mt. Sanbangsan, Jeju Island, Korea, died due to pine wilt disease in 2013

  • Kim, Eun-Shik;Lee, So-Hee;Kim, Joon-Bum;Kim, Chan-Soo;Yoon, Bong-Taek;Lee, Sung-Hoon;Lim, Wontaek;Kim, Hyojung;Choi, Junghwan;Han, Hyer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1호
    • /
    • pp.85-93
    • /
    • 2015
  • In 2013, the epidemics of pine wilt disease caused by the pine wood nematodes (Bursaphelenchus xylophilus) resulted in damages to the forests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trees in Jeju Island, Korea. Among the affected trees, an old black pine tree at Cave Temple on Mt. Sanbangsan was included and died due to the prevalence of pine wilt disease. The tree was on Mt. Sanbangsan, which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Scenic Place with the Number 77 and was believed to be more than 400 years old in age. By examining the disc of the tree stem obtained from the height of 2 m, we counted the tree rings from 4 different directions and cross-dated the readings by comparing the records of drought simulated from the BROOK Model. Our analysis indicates that the tree seems to have grown since late 1860s. Contrary to the belief of the general public, we can conclude that the age of the tree was estimated to be at maximum 150 years, which means that it was not the same old tree as was shown in the painting of the Tam-Ra-Sun-Ryeok-Do (an old painting book for the Inspection Tour of Jeju Island) published in 1702. Discussion was extended to the life history of the tree in growth and leaning and the measures to protect the tree species from the damages of the pine wilt disease caused by pine wood nematodes.

제주도(濟州道)에 분포(分布)하는 화산암류(火山岩類) 및 퇴적암류(堆積岩類)에 대(對)한 고지자기(高地磁氣) 연구(硏究) (Paleomagnetic Study on the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of Jeju Island)

  • 민경덕;원중선;황석연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2호
    • /
    • pp.153-163
    • /
    • 1986
  • Paleomagnetic and geological studies of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of Jeju Island have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virtual geomagnetic pole(VGP), and to estimate the geological sequence and their age. As a result of paleomagnetic studies, the reversal polarities are measured in the Sanbangsan trachyte and Hwasun formation, and the normal are the rest. In case of normal polarity, the mean values of declination and inclination are $2.3^{\circ}$ and $48.4^{\circ}$,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 of VGP is $85.4^{\circ}N$ and $79.9^{\circ}W$. The locations of VGP's are coincident with those obtained from world-wide Plio-Pleistocene rocks. The Hwasun formation and Seongsan formation which have been known to be sedimented in the similar time in the 2nd-stage of volcanic eruption, possess reversal and normal polarities, respectively. This fact brings about the result that two formations should be separated in a sense of geological sequence. Consequently, the geological sequence of the 2nd-stage of volcanic eruption is Pyoseonri basalt-Seoguipo hawaiite-Hwasun formation-Seongsan formation-Jungmun hawaiite-Sanbangsan trachyte. Referring to the paleomagnetic studies and the previous and present geological studies, Seoguipo formation corresponds to the Gauss normal epoch, the 2nd-stage of volcanic eruption to Matuyama reversed epoch, and the 3rd-, 4th-, and 5th-stages to Brunhes normal epoch. Therefore, the Seoguipo formation is mostly sedimented during late Pliocene and/or presumably extended to the early Pleistocene. The rocks of the 2nd- to 5th-stage are formed later than this.

  • PDF

산방산용암돔 조면암에서 산출되는 장석의 안티라파키비 조직 (Antirapakivi Mantled Feldspars from Sanbangsan Trachyte Lava Dome, Jeju Volcanic Field, Korea)

  • 윤성효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2호
    • /
    • pp.87-97
    • /
    • 2020
  • 산방산조면암에서 반정으로 산출되는 장석은 라브라도라이트(An53.6)에서 안데신(An35.4), 미반정과 기질부에서 래쓰로 산출되는 것은 안데신(An31.2)에서 올리고클레이스(An18.7)에 해당한다. 장석 반정과 미반정을 감싸 얇은 띠(누대)를 이루는(mantled) 장석은 안오소클레이스(Or20.5An9.4)에서 새니딘(Or49.2An1.4)이다. 뚜렷한 누대구조를 나타내는 사장석 반정은 반정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감에 따라 누대의 An함량이 안데신(An39.3)에서 라브라도라이트(An51.3) 사이에서 감소 증가를 반복하는 진동누대구조를 나타내며, 반정의 가장자리는 알칼리장석(Or31.9-39.4Ab63.2-57.0An4.9-3.7)으로 둘러싸여 안티라파키비 조직을 보여준다. 안티라파키비 조직을 나타내지 않고 미반정으로 산출되는 사장석의 누대구조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감에 따라 An함량이 감소하는(An36.4→An25.6) 정상누대구조를 나타낸다. 전형적인 누대구조를 나타내는 장석 반정에 대하여 K, Ca, Na 원소에 대하여 면분석(X-ray mapping) 결과, 6개의 누대가 뚜렷한 성분 조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진동누대구조를 잘 보여주며, 그 가장자리는 알칼리장석으로 감싸면서 안티라파키비 조직을 나타낸다. 기질부는 K-부화, Ca-결핍된 알칼리장석으로 구성된다. 산방산조면암에서 나타나는 장석의 안티라파키비 조직은, 조면암질 마그마보다 더 고철질의 마그마 속에서 이미 결정화된 사장석 반정과 미반정이 산방산 조면암질 마그마와 혼합되면서 사장석 반정과 미반정 주위를 알칼리장석이 결정화되어 맨틀링하면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제주도의 제4기 지구조운동 (Quaternary Tectonic Movement on Cheju Island)

  • 황재하;이병주;송교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2호
    • /
    • pp.209-212
    • /
    • 1994
  • Cheju Island wa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probably related to the inferred geodynamics in the early Quaternary times. Paleostress analysis, in spite of a few fault slip data collected near Sanbangsan trachyte dome (dated 0.87 Ma) represents an extentional tectonic event with the direction ENE-WSW. Joint anayses in the vicinity of Seahwa reveal three extensional tectonic events of directions NW-SE, NE-SW and ENE-WSW. Especially the extensional event with the direction ENE-WSW affected the whole Cheju area during the most recent time.

  • PDF

한국(韓國), 제주도(濟州島)에 산출(産出)하는 조면암류(粗面岩類)의 고지자기(古地磁氣) 및 절대연령(絶對年齡)에 관(關)한 연구(硏究) (Paleomagnetism and Radiometric Age of Trachytes in Jeju Island, Korea)

  • 원종관;마츠다 주니치;나카오 케이스케;김광호;이문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1호
    • /
    • pp.25-33
    • /
    • 1986
  • 제주도의 지질은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과 소량의 조면암질 용암으로 특징지워진다. 제주도는 지형적인 특징에 따라서, 용암대지, 순상형의 한라산 화산체 및 360여개 이상의 기생화군으로 구분된다. 이와같은 지형적인 특징은 제주도의 화산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조면암질 용암은 암석기재학적 및 산출상태의 특징에 따라서 백록담 구룹과 산방산 구룹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제주도의 화산층서 상, 하한선을 규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두 구룹의 조면암질 용암의 연대측정 및 고지자기 연구를 하였다. 산방산 구룹 조면암의 평균 연령은 $0.733{\pm}0.056M.Y.$을 나타내며, 이는 Brunches 정자극기와 Matuyama 역자극기 사이의 경계의 약간하부와 (0.69 M.Y.) 대비된다. 반면 백록담 구룹 조면암의 평균연령은 $0.025{\pm}0.008M.Y.$를 나타내며, Laschamp excursion, Lake Biwa excursion 또는 Lake Mono excursion 중 어느 horizon과 대비된다. 이들 두 조면암구룹은 위도 9'($0.15^{\circ}$)의 차이를 두고 분포하며, 연대는 0.71 M.Y.의 차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두 구룹의 조면암류 용암이 같은 원천의 hot spot에서 분출된 것으로 가정한다면, 제주도를 포함한 lithosphere는 신생대 제 4기 동안에 약 2.3cm/y의 속도로 남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undamental Parameter 법에 의한 만장굴용암 쌍자석주의 형광X선분포

  • 택훈;고문옥;김경식
    • 동굴
    • /
    • 제19권20호
    • /
    • pp.29-62
    • /
    • 1989
  • Cheju Island, which wa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is an oval in its shape with the major axis 80km and the minor axis of 40km. The island holds in its heart Mt. Hanala rising 1,950m above the sea. Petrological study of this volcanic island has been made actively by Sang-Man Lee, Chong-Kwang Won and Moon-Won Li. The chronological measurements of the island by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showed that it is composed of Sanbangsan trachytes and Backlokdam trachytes(25,000 year ago). These reports are based on the chemical analysis and the rediometric chronological measurements on the ground.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s about the inside of caves. We made an (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side of Manjang Cave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s nondestructive analysis. and it enables us to make the values processed by a computer.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methods are as follows: SiO$_2$(49%), $Al_2$O$_3$(17%), Fe$_2$O$_3$(13%), CaO(8.1%), MgO(5.5%), Na2O(3.6%), TiO$_2$(2.1%), $K_2$O(0.86%), P$_2$O$_{5}$(0.28%), and MnO(0.20%) respectively. The data obtained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e was compared with the data provided by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Our measurement was made by K-Ar-method in cooperation with T. ITAYA. The samples are of 30,000-420,000 years ago. The composition of the values of our underground analysis with the existing values obtained by the analyses on the ground produced new data about Cehju volcanic island.d.

  • PDF

Fundamental Parameter 법에 의한 만장굴 용암 석주의 형광X선분석 (Manjang Cave of Twinrock Composition obtained by Fundamen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 택훈
    • 동굴
    • /
    • 제21권22호
    • /
    • pp.17-56
    • /
    • 1990
  • Cheju Island, which wa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is an oval in its shape with the major axis of 80km and the minor axis of 40km. The island holds in its heart Mt. Hanla rising 1,950m above the sea. Petrological study of this volcanic island has been made actively by Sang-Man Lee,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The chronological measurements of the island by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showed that it is composed of Sanbangsan trachytes and Backlokdam trachytes(25,000 year ago). These reports are based on the chemical analysis and the rediometric chronological measurements on the ground.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s about the inside of caves. We made an (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side of Manjang Cave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s nondestructive analysis, and it enables us to make the values processed by a computer.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methods are as follows : SiO$_2$(49%), $Al_2$O$_3$(17%), Fe$_2$O$_3$(13%), CaO(8.1%), MgO(5.5%), Na$_2$O(3.6%), TiO$_2$(2.1%), $K_2$O(0.86%), P$_2$O$_{5}$(0.28%), and MnO(0.20%), respectively. The data obtained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was compared with the data provided by Chong-Kwan and Moon-Won Lee. Our measurement was made by K-Ar-method in cooperation with T.ITAYA. The samples are of 30,000~420,000 year ago. The composition of the values of our underground analysis with the existing values obtained by the analyses on the ground produced new data about Cheju volcanic island.d.

  • PDF

한국산 물통이속(Pilea) 식물의 nrDNA, cpDNA를 통한 계통분석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Pilea (Urticaceae) using nrDNA and cpDNA sequences)

  • 문애라;박정미;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8-168
    • /
    • 2015
  • 한국산 물통이(Pilea)속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서 총 1속 5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물통이속은 모두 1년생 초본으로, 그늘지고 습기가 있는 지역에서 서식하며, 여름에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를 맺는다. nrDNA의 ITS regions과 cpDNA의 psbA-trnH regions의 DNA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산물통이, 물통이는 분계조를 각각 형성하였다. 하지만 제주 산방산의 제주큰물통이는 내륙지역의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제주큰물통이와 같은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큰물통이, 모시물통이와 섞여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ITS1, 4 regions에서만 DNA 염기서열이 분석된 지리산의 제주큰물통이 역시 완전히 다른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단순히 지리적인 차이로 인해 형성되었다고 보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후에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