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seu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후기 청포와 삼승의 개념 및 용도 -청포전의 판매 물종을 중심으로- (Concept and Use for Cheongpo and Samse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Goods of the Cheongpo-jeon Merchants-)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55-866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use of two kinds of textiles goods (Cheongpo [blue textile] and Samseung) sold by Cheongpo-jeon merchants in the Joseon Dynasty of Korea.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an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heongpo-jeon was a merchant group that predated 1637. They sold various imported goods such as Cheongpo, Samseung, cotton textiles, felts, hats, incense, and needles. Cheongpo and Samseung were the main products among these imported goods. Cheongpo was a blue cotton textile imported from China that was sold by Chengpo-jeon merchants. The Samseung sold by merchants was a kind of imported textile whose surface provided a feeling like cotton flannel. The concept of the two textiles were different from existing ideas. Generally, the Cheongpo was believed to be a hemp fabric dyed in blue and the Samseung was a textile with a density of three seung (a traditional density unit of textiles). Cheongpo was used as a currency for war supplies during the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 to 1598). In addition, it was also used to make military uniforms, tents, and flag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Samseung was used in the combat uniforms of Chinese soldiers from Ming Chin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addition, it was continuously used to make quilted gambeson amour and some of military uniforms until the $19^{th}$ century.

주민참여에 의한 경지정리지구내의 자연친화적 수변공간조성 (Creation of the naturally favorable waterside space in the arrangement of an arable land by the residents participation)

  • 김선주;양용석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185-191
    • /
    • 1999
  • In a mean time, arrangement of a arable land is lead by government with same way, same type. It means that there are no considering on characteristic features of region and aspect of ecological environment that can experess its natural charactersistics. Because whenever there is needed to be arranging , most of structure are made by a ward office from a desgin to a execution so that cause many public resentment and durability is very short by a inappropriateness its mainte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parts ; First, to form the naturally favorable waterside spaces by performing the basic water controlling funtions of the irrigation channel and the drainage channel. Second, to provide the meeting place of the residents and to restrore the ecological system by means of the formation of the naturally favorable waterside spaces. Third, to lead to the optimal design and maintenance that residents want by inviting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at the begining stage of planning. A district of this study is located on Songsam(13-14 zone), Samseung-Lee Ganam-Meon Yeoujoo-Gun Jyonggi Province and a length of section is 420m. This study ca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stabished the type of design and area of the area by means of the collected residents' opinions. Seconds, changed the straight line water channel already designed to the curve water channel . Third changed the structure materials of the steel concrete structure to the natural materials . Fourth, change dthe design by area for the ecological system and the meeting place of the residents. Fifth, divided the whole area into fourth area in order to satisfy the residents' requests.

  • PDF

화강암 지역 암반 지하수 내 불소 이온의 기원 및 거동: 충북 보은 삼승면 일대의 현장 조사와 실내 실험 연구 (The Origin and Geochemical Behavior of Fluoride in Bedrock Groundwater: A Case Study in Samseung Area (Boeun, Chungbuk))

  • 채기탁;고동찬;최병영
    • 지질공학
    • /
    • 제18권4호
    • /
    • pp.555-566
    • /
    • 2008
  • 불소 오염이 심각한 곳으로 파악된 충북 보은 삼승면 일대 지역의 오염의 현황과 원인 규명을 위하여 수리지구화학적 연구와 물암석 반응 실험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 암반 지하수의 불소 함량은 최대 3.9 mg/L에 이르며, 먹는물 수질기준의 불소 항목(1.5 mg/L)을 초과율은 23%에 이른다. 불소 이온의 평균 함량은 1.0 mg/L이나, 낮은 값으로의 왜도(1.3)가 크기 때문에 중앙값은 평균에 비하여 크게 적은 0.5 mg/L으로 나타난다. 불소 농도는 화강암 분포 지역에서 심부 지하수에 해당하는 $NaHCO_3$ 유형 지하수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불소와 질산염 이온($NO_3$)은 뚜렷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불소는 지표 오염과 상관없는 지질기원이며, 상대적으로 심부 암반 지하수에 부화되었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이것은 조사 지역의 암석을 사용한 실내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순수흑운모 화강암 반응 실험 결과 불소 함량은 96시간 후에 최대 1.2 mg/L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불소 농도와 지하수 관정 심도, 지구화학적으로 물암석 반응의 정도를 지시할 수 있는 인자($Na^+$, $HCO_3$, pH 등)들의 값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이는 불소 이온이 물암석 반응 정도와 상관없이 함불소 광물의 국지적인 분포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고농도의 불소를 함유하는 지하수의 공간분포는 선구조 분포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물암석 반응이 상당히 진행되어 불소 함량이 높은 심부 암반 지하수가 선구조 분포 지역의 파쇄대를 통하여 배출되었음을 지시한다. 하지만, 선구조 분포와 불소 농도는 전체적으로는 일치하지 않아, 파쇄대의 분포가 불규칙적이고, 심부 지하수와 천부 지하수의 혼합과 정도 불균질함을 지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터넷 영화의 유통구조와 인터넷 영화산업의 공간적 집적화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Internet Movie and Spatial Clustering of the Internet Movie Industry)

  • 이희연;이난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7-13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영화산업의 공간적 분포와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인터넷 영화산업의 가치사슬과 인터넷 영화의 유통구조를 분석하고, 인터넷 영화 사업체들의 연계성과 이들의 공간적 집적화 현상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인터넷 영화산업은 영화 콘텐츠와 관련된 기술의 발달, 인터넷의 광대역화와 초고속통신망의 확충 및 영화 컨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급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터넷 영화산업의 74$\%$는 서울에 집중하고 있었으며, 서울에서도 강남구와 서초구 일부지역에 집적하고 있다 인터넷 영화산업의 입지선정에 영향을 준 중요한 요인으로는 동종$\cdot$유사업체의 근접성, 교통의 편리성, 장소의 지명도, 기술관련 업체와의 근접성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영화산업은'콘텐츠 공급 $\rightarrow$ 콘텐츠 유통 $\rightarrow$ 서비스 공급'이라는 가치사슬로 이루어져 있자만, VOD판권 소유자, VOD판권 유통대행사, 서비스 공급자들이 가치사슬 전반에 참여하면서 매우 복잡한 유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인터넷 영화사업체들은 인터넷 영화를 서비스하기 위해 영화 콘덴츠 제공업체 기술 $\cdot$ 운영지원업체, 주요 고객업체, 그리고 협력 $\cdot$ 제휴업체들과의 긴밀한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들은 국지적으로 집적하여 공식적, 비공식적인 모임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