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fermented shrimp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5초

Chitooligosaccharides in Korean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s,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Shim, Youn-Young;Shon, Dong-Hwa;Chee, Kew-Mah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877-880
    • /
    • 2004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chitooligosaccharides (COS) in Korean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s by competitive 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cdELISAs), using anti-COS mixture (COSM) antibody and COSM horseradish peroxidase (HRP) conjugate. When COS6 was spiked into salt-fermented shrimps at the level of $10-300\mu{g/g,}$ the average recovery was $120\pm19%$ ($mean\pmS.D.$). The COS contents of the 92 samples of Korean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s collected during February 2000 and August 2002 were $36.3\pm20.7\mug$ COS6 equivalent/g (expressed as "$\mug/g$" hereafter). Among the samples, the COS contents of yuk-jeot ( $40.3 \pm 22.5 \mug/g, n=27$) and buksaewoojeot ($40.2 \pm 21.6 \mug/g, n=5$)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e COS contents of salt-fermented shrimps produced at Gwangcheon ($47.1 \pm 20.7 \mug/g, n=18$) and Gomso ($44.1 \pm 21.8 \mug/g, n=6$) areas were higher than those produced at the other areas. This is the first report to determine COS of salt-fermented shrimps by cdELISA.

전남산 젓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Salt-Fermented Seafoods in Chonnam Area)

  • 박복희;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5-469
    • /
    • 1993
  • 김치의 부재료로 쓰이는 멸치젓과 새우젓의 수분함량은 각각 31.14~39.01% 및 30.33~36.59%이고 밑반찬용으로 쓰이는 꼴뚜기젓, 모치젓 및 석화젓 등은 50%정도였다. 지방함량은 멸치젓이 5.51~5.85%로 가장 높았고 모치젓, 석화젓, 꼴뚜기젓 및 새우젓의 순이었다. 젓갈의 지방산 조성비는 시료에 따라 달랐지만 주요 지방산은 $C_{l6:0}$, $C_{20:5}$, $C_{l6:1}$, $C_{22:6}$, 및 $C_{l8:1}$ 등이었고, n-3 고도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은 시료로는 꼴뚜기젓이 39.11%로 가장 높았고, 새우젓, 석화젓, 멸치젓 및 모치젓의 순이었다. n-3 고도불포화지방산 중에서 EPA는 비교적 석화젓(17.71%)과 꼴뚜기젓(16.38%)이 높았으며 DHA는 꼴뚜기젓(22.22%)과 새우젓 (15.13~21.50%)이 높았으나 특히 모치젓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보였다.

  • PDF

소금 및 새우젓의 무기질과 중금속 함량 분석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alt and Salted-fermented Shrimp)

  • 허옥순;오상희;신현수;김미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19-524
    • /
    • 2005
  • 국내산 소금과 수입산 소금의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의 차이와 이들 소금이 새우젓의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실제 시판되고 있는 새우젓을 산지별로 구입하여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국산 천일염과 그것으로 제조한 새우젓은 중국산에 비해 Cu, K, Mg의 함량이 많았으며, 중국산 천일염과 그것으로 제조한 새우젓은 Mn, Na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판새우젓에서는 산지에 따른 무기질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금속을 분석한 결과 시판 소금은 Pb, Hg 및 As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Cd는 식품공전의 규정(<0.5ppm) 이하인 0.07-0.30ppm의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20 종의 시판 새우젓의 경우, Cd가 0.1 ppm(ND-0.5 ppm)의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실험실 제조 새우젓의 경우, Pb이 0.3ppm(ND-0.8ppm)의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다른 중금속(As, Hg, and Ni)은 검출되지 않았다.

소금 종류에 따른 새우젓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 조순덕;김건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1-298
    • /
    • 2010
  • 국내산, 수입산, 정제염, 천일염 등 소금의 종류에 따른 새우젓 제조 후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색도의 경우, 발효 초기에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국내산 천일염을 사용하여 제조한 새우젓의 b값이 높았으나 발효 8주 이후부터는 국내산 정제염으로 제조한 것이 높게 측정되었다. 발효 진행에 따라 새우젓의 산도와 염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제염 처리구가 천일염 처리구에 비해 높은 염도치를 나타내었다. 아미노태질소의 경우, 제품별로 차이가 컸는데, 발효 후 국내산 천일염으로 제조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6가지 종류별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색도, 염도, pH 등 이화학적 특성은 전반적으로 처리구간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아미노태질소는 차이를 보였다. 미생물의 경우, 총균수는 발효 초기 호주산 천일염에서의 검출이 가장 높았고, 발효 12주 이후에는 중국산 천일염에서 가장 높은 검출을 보였으며, 대장균군(coliforms)은 발효 초기 국내산 천일염에서의 검출이 가장 낮았고, 중국산 천일염에서 가장 높은 검출을 보였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6가지 종류별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총균수, 대장균군(coliforms) 등 미생물학적 특성은 전반적으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6가지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관능 평가 결과, 수입산보다 국내산 소금에 대한 기호도가 더 높게 평가되었으나, 짠맛, 감칠맛, 전체적인 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실온 저장 새우젓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염농도의 영향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SaewooJeot(Salted Shrimp)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 오상희;허옥순;신현수;이주운;김동호;변명우;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44-449
    • /
    • 2005
  •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Saewoojeot (salted shrimp)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was evaluated Salted shrimp with three different salt concentration (9, 18 and $27\%$) were prepared with fresh shrimp, and fermented at $20^{\circ}C$ temperatures for 180 days. Amino nitrogen (AN),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trimethylamine (TMA) contents increased with longer fermentation time and lower salt concentration. AN, VBN and TMA contents in salted and fermented shrimp with $9\%$ salt increased rapidly during fermentation period, while that with 18 and $27\%$ salt maintained its initial level through 180 days of fermentation. When salted and fermented shrimps were fermented at $20^{\circ}C$, all the indexes of fermentation process maintained stable with $27\%$ salt level. Pathogenic bacteria such as pathogenic E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the manufactured salted and fermented shrimps. However, coliform and yeast disappeared within 180 days and 100 days of storage for 18 and $27\%$ salt, respectively. Gram positive cocci survived until 180 days of storage against $18\%$($10^3-10^6$ CFU/g) and $27\%$($0-10^6$ CFU/g) salt.

  • PDF

시판 새우젓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Salrt-Fermented Shrimp)

  • 황종현;김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60-763
    • /
    • 2001
  • 시판되는 새우젓의 새로운 기능성 지표를 제시하고자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및 키토산 분해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시판 되는 새우젓의 염도를 측정한 결과. 29.8~48.3%로 제품에 따라 최대 19% 정도의 염도 차이를 보였다. 총질소량은 3510.5 ~7314.1 mg/100g 으로 A시료가 7314.1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총질소 함량을 보인 반면 D 시료는 3510.5 mg/100 g으로 비교적 낮은 총질소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태 질소량은 321.2~723.9 mg/100g으로 총질소 함량이 가장 낮았던 D시료가 아미노태 질소 함량이 낮았다. 5개 시판 새우젓의 평균 펩타이드 길이(average peptide length: APL)는 10.1~15.0이었다. 휘발성 염기질소는 14.1~98.6mg/100g 으로 D시료에서 가장 높은 98.6mg%의 함량을 보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18~232 unit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C번 시료의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이 232 unit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Chitinase 활성은 14.4~171 unit의 활성을 보였으며 E번 새우젓이 171 unit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 PDF

새우젓 저장 유통 중 위해 미생물학적인 안전성 연구 (Microbiological Safety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 during Storage)

  • 오상희;허옥순;방옥균;장해춘;신현수;김미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07-513
    • /
    • 2004
  • 시판 새우젓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총균수는 기업 새우젓과 재래 새우젓이 각각 $10^{2}-10^{4}\;CFU/g,\;10^{1}-10^{6}\;CFU/g$으로 나타났다. 시판새우젓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은 제품, $10^{1}-10^{2}\;CFU/g,\;10^{3}-10^{4}\;CFU/g$ 수준의 제품이 재래 새우젓은 전체 25제품 중 각각 1개, 8개, 8개였으며, 기업 새우젓은 전체 8제품 중 각각 3개, 4개, 1개 제품이었다. 비브리오균은 전체 25개 제품 중 10개 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제품에서는 $10^{1}-10^{3}\;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된 미생물을 생화학적 특성과 API system을 통해 동정한 결과 병원성 미생물은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시판 새우젓과 염농도를 9. 18, 27%로 달리하여 제조한 새우젓에 Salmonella sp., Escherichia coli O26, Staphylococcus aureus를 접종하여 생육을 평가한 결과 숙성이 완료되어 시판되는 새우젓에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15일 이내에 모두 사멸하였으며, 제조 직후 숙성되기 전에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숙성기간인 90일 이내에 모두 사멸하였다.

여러 종류의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 이강덕;최차란;조정용;김학렬;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3-59
    • /
    • 2008
  •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소금(한국산 천일염, 정제염, 함초 해수농축염, 함초 스프레이 천일염, 해수농축염, 분무건조염)을 사용하여 제조한 새우젓의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발효 60일까지는 분무건조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이 다른 소금에 비하여 낮은 값을 보였으며 아미노태 질소 역시 발효기간 동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발효 90일에는 함초 성분이 포함된 소금으로 제조한 새우젓의 아미노태 질소 값이 약 980 mg%로 가장 높았고 분무건조염은 680 mg%로 가장 낮아 소금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였다. VBN은 발효 14일부터 60일까지 분무건조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며 TMA는 발효 180일 후 정제염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소금의 종류에 따라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80일 동안 발효시킨 새우젓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능평가의 결과 짠맛, 전체적인 맛,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천일염 및 가공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정제염으로 제조한 새우젓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새우젓을 이용한 돈육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ork Meat Quality Using Salt-Fermented Shrimp)

  • 안동현;김태형;최자인;김세나;박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82-488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eating with salt-fermented shrimp on quality of pig meat. The treated pig meats were stored at 4$^{\circ}C$, 1$0^{\circ}C$, 2$0^{\circ}C$ or 4$^{\circ}C$ after placing 2$0^{\circ}C$ for 35 hours, respectively. Meat tenderness was improved more at 2$0^{\circ}C$ storage than at 1$0^{\circ}C$ and 4$^{\circ}C$ storage. However, in water holding capacity, the meat stored at 4$^{\circ}C$ was increased more than them of 1$0^{\circ}C$ and 2$0^{\circ}C$. Cooking loss was decreased more at 4$^{\circ}C$ than the other storage temperatures. When meat color observed, it was good at the early stage of storage but went down to the worse gradu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DS-PAGE, myofibrillar proteins were degraded more after treated with salt-fermented shrimp than the control. Among them, titin-I was especially degraded after 2 days at 4$^{\circ}C$ storage even though it was degraded after 1 day at 1$0^{\circ}C$ and 2$0^{\circ}C$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lt-fermented shrimps cause to improve the quality of pork meats by increasing the meat color, meat tenderness and water holding capacity at the early stage of storage.

  • PDF

염농도가 다른 새우젓에 존재하는 유해가능 세균의 초고압 살균 (High Hydrostatic Pressure Sterilization of Putrefactive Bacteria in Salted and Fermented Shrimp with Different Salt Content)

  • 목철균;송기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98-603
    • /
    • 2000
  • 열처리에 의한 식품의 성분변화 손실을 줄이기 위한 비열처리 기술중 하나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초고압 처리를 적용하여 저염발효 새우젓의 저장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염농도 8%로 $20^{circ}C$에서 6주간 발효한 새우젓의 Vibrio 선택배지 검출균은 $1.6{\times}10^3\;CFU/g$,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은 $9.3{\times}10^3\;CFU/g$이었고 18%의 새우젓에서의 Vibrio 선택배지 검출균은 $1.4{\times}10^4\;CFU/g$,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은 $1.7{\times}10^\;CFU/g$이었다. 새우젓을 압력 $3,500{sim}6,500$기압, 시간 $5{\sim}40$분의 범위로 초고압 살균하였을 때 압력과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살균효과가 증가되었으며 사멸패턴은 1차반응으로 확인되었다. 압력을 6,500기압으로 고정하고 10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유해가능 세균은 본 연구방법의 검출한계인 $10^2\;CFU/g$수준에서는 경출되지 않았다. Vibrio선택배지 검출균의 $D_p$값은 염농도 8%보다 18%에서 더 높았으며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은 18%보다 8%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Vibrio 선택배지 검출균과 Staphylococcus 선택배지 검출균 모두 염농도 8%에서의 $Z_p$값이 염농도 18% 경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초고압 공정은 저염발효 새우젓의 살균에 응용될 수 있었으며 최적 고압살균조건은 6,500기압에서 10분간 처리하는 것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