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removal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3초

알칼리 수용액상에서 유기산염의 잔류농약 제거효과 (Removal Effect of Residue Pesticide of Organic Acid Salt in Alkali Aqueous Solution)

  • 이재덕;이만호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907-912
    • /
    • 1999
  • 본 연구는 유기산염 및 알칼리 원료를 사용해 야채 및 과일등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 및 유성오염의 제거효과를 GC와 세정력 측정장치를 사용해 조사했다. 일반적으로 잔류농약 등의 유성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합성세제, 유기용제 등의 여러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식품첨가물 원료만 사용했다. 알칼리 수용액상에서 trisodium citrate를 사용했을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기존의 화학 합성세제와 비교했을 때 우수한 농약제거력이 나타났다.

  • PDF

Studies on the Separation Performances of Chlorophenol Compounds from Water by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 Yogesh, K.M. Popat;Ganguly, B.;Brahmbhatt, H.;Bhattacharya, 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7호
    • /
    • pp.590-595
    • /
    • 2008
  • The pressure driven membrane process has been a breakthrough in the removal of pollutants from drinking water. These experiments examined the removal of chlorophenol compounds from water using low pressure membranes. The removal performance of the membranes was based primarily on size exclusion. Apart from size exclusion, the polarity and pKa of the compounds also influences the membrane performance. The molecular size and dipole moments of the respective molecules were calculated using a quantum chemical method. The rejection of pollutants also followed the same trend as salt rejection by the membranes.

인장강도가 뛰어난 직물집전체를 이용한 탄소전극의 축전식 탈염공정에서의 제염효과 (The Salt Removal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Carbon Electrodes Using Fabric Current Collector with High Tensile Strength in a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 성두리;김대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466-473
    • /
    • 2020
  • 직물집전체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담수화 방식인 축전식탈염(Capacitive deionization: CDI)시스템에서 유망한 전극 재료가 될 수 있다. 직물집전체의 매력적인 특징 중 하나는 인장강도가 강하다는 것인데, 기계적 강도가 약한 그라파이트 호일 전극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섬유적 특성으로 인하여 쉽게 형상을 만들 수 있고, 다공성 물질이라는 점과 섬유 간 공간은 수용성 매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섬유는 도전성 LM fiber와 carbon fiber를 사용한 방적사를 이용하여 직조 구조로 만들어졌으며, 인장강도는 319 MPa로 그라파이트 호일에 비해서 약 60 배 정도 더 강하다. 전극슬러리의 점도, 흡착전압, 공급액의 유량, 공급액의 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염 제거효율을 측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NaCl 200 mg/L, 20 ml/min, 흡착전압 1.5 V 조건에서, 단위 셀에서 43.9%, 100개의 셀을 적층한 모듈에서는 59.8%의 염 제거 효율을 각각 보였다. 단위 셀에서는 흡착전압이 1.3, 1.4, 1.5 V로 증가함에 따라 염 제거효율이 증가하다가 1.6과 1.7 V로 증가하면서 염 제거 효율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100 셀 적층 모듈에서는 1.5 V 이상의 전압에서도 염 제거효율이 완만한 증가세를 나타내었다. 공급액의 유량을 증가시켰을 때 염 제거율은 감소하였고, 또한 공급액의 농도를 증가시켰을 때에도 염 제거율은 감소하였다.

이웃한 픽셀을 이용한 Salt and Pepper 잡음제거 (Salt and Pepper Noise Removal using Neighborhood Pixels)

  • 백지현;김철기;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9
    • /
    • 2019
  • 디지털 영상 장치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영상 처리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상처리란 의료용 사진해석, 물체인식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실용화 되어지고 있으며, 영상잡음의 종류는 가우시안 잡음, 임펄스 잡음, Salt and Pepper 잡음 등이 있다. 잡음은 영상을 훼손 시키는 불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며, 잡음제거는 일반적으로 필터로 제거한다. 대표적인 잡음제거 방법으로는 메디안필터, 평균필터 등이 있으며, 메디안 필터는 Salt and Pepper 잡음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잡음밀도가 높은 영역에서 잡음제거 성능이 다소 미흡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웃한 픽셀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음식폐기물바이오차의 염분 제거 및 농업적 활용 (Salt Removal and Agricultural Application of Food Waste-Biochar)

  • 김신실;노준석;이재훈;최아영;이슬린;박유진;박종환;이영한;서동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9-167
    • /
    • 2023
  • Food waste (FW) emissions in South Korea amounted to 4.77 million tons in 2021, and continue to increas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treat FW, with recent research focusing on biochar production through pyrolysis to reduce FW. However, the agricultural application of food waste-biochar (FWBC) is limited by the salt accumulated during pyro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salt removal from and the kinetic characteristics of FWBC, and subsequently evaluated its agricultural applications. FW was pyrolyzed at 350℃ for 4 h, and subsequently washed for 0.1, 0.25, 0.5, 0.75, 1, 5, 15, and 30 min to remove salt. FWBC had a salt concentration of 5.75%, which was effectively removed through washing. The salt concentration decreased rapidly at the beginning (1 min) and then slowly decreased, unlike in FW, in which the salt decreased continuously and slowly. The salt removal speed constant (K) was 1.5586 (Stage 1, FWBC) > 0.0445 (Stage 2, FWBC) > 0.0026 (FW). In a lettuce cultivation experiment, higher biomass was achieved using washed FWBC than when using unwashed FWBC and FW, and soil properties were improved.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FW reduction using pyrolysis causes a salt accumulation problem, the salt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washing. The use of washed FWBC can enhance plant growth and soil properties.

탈삽조건에 따른 대봉감의 품질 변화 (Effect of Astringency Removal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Daebong Persimmon)

  • 노준희;김지명;장재인;김현진;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1-359
    • /
    • 2014
  • The application of persimmon for making new product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astringency removal, softness of fruit, and sensory properties of Daebong persimmons (Diospyros kaki L)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astringency removal methods of steeping in water, steeping in 1% salt solution, and vacuum packing at $40^{\circ}C$. The weight of persimmon fruit increased with increasing steeping time,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vacuum packing time. The fruit steeped in $40^{\circ}C$ salt solution (1%, w/w) was not detected with soluble tannin and not developed color with ferric chloride after steeping for 9 h. A total of 12 h of steeping time was required for removing soluble tannin using other methods. The lightness (L) in color and hardness in texture decreased when storage time increased, regardless of astringency removal methods. In overall, the preference was shown with the highest score in persimmon steeped in salt solution for 9 h and 12 h that were vacuum packed at $40^{\circ}C$. In conclusion, the astringency removal condition of Daebong persimmon was good after being steeped on 1% salt solution for 9 h at $40^{\circ}C$.

미생물을 이용한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제거 (Removal of Perchlorate from Salt Water Using Microorganisms)

  • 안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94-1303
    • /
    • 2019
  • 퍼클로레이트는 물에 용해도가 높고 안정되어 잔류하는 음이온성 오염물이다. 이 오염물은 토양/지하수는 물론 지표수, 먹는물, 식품, 어류, 농작물에도 검출이 되었다. 퍼클로레이트는 갑상선에 요오드가 흡수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대사조절에 중요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퍼클로레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가 가장 환경 친화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염수와 같은 염이 있는 환경에서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제거와 이와 관련된 미생물에 대해 기술하였다. 대부분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 연구는 acetate와 같은 유기물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하는 종속영양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폐재생액(염수) 내의 퍼클로레이트 처리에 중점을 두었다. 폐재생액은 퍼클로레이트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이온교환법에서 발생한다. 내염성 미생물을 농화배양하여 식종한 생물반응기를 통해 최고 10% NaCl 농도에서도 퍼클로레이트의 연속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제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염수 내의 퍼클로레이트 제거에 사용된 생물반응기에는 주로 ${\beta}$-와 ${\gamma}$-Proteobacteria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이러한 정보는 생물공학기술 개발을 위해 염수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2차원 스플라인 보간법을 이용한 Salt and Pepper 잡음 제거 (Salt and Pepper Noise Removal using 2-Dimensional Spline Interpolation)

  • 권세익;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67-1173
    • /
    • 2017
  • 영상처리는 사회가 고도의 디지털 정보화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응용분야가 점차 다양해지고, 중요한 분야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영상 데이터는 전송하는 과정에서 여러 원인으로 열화가 발생하며 주로 salt and pepper 잡음이 대표적이다. salt and pepper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는 CWMF, SWMF, A-TMF가 있으며 기존의 방법들은 salt and pepper 잡음 환경에서 잡음 제거 특성이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alt and pepper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잡음 판단 후, 중심화소가 비잡음인 경우 원 화소 그대로 보존하고, 잡음인 경우, 국부 마스크의 잡음밀도에 따라 2차원 스플라인 보간법 및 메디안 필터를 적용하여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객관적 판단을 위해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으며, 판단의 기준으로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을 사용하였다.

Salt Acclimation Behavior of the Nitrifier Consortium for the Nitrification of Saline Wastewater

  • Seo, Jae-Koan;Kim, Sung-K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90-593
    • /
    • 2001
  • The effect of salinity on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of the nitrifier consortium was evaluated for the nitrification of saline wastewater. The nitrifier consortium, which was the activated sludge acclimated with ammonium as the only energy source, was used as the nitrifier for the salt acclimation. Airlift reactors for the nitrification of ammonia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in saline synthetic wastewater (35 g/I NaCD, and synthetic wastewater without salt as a control, were continuously operated with the nitrifier consortium for 43 days. The ammonia removal rate was about 23g ammonia-N/$m^3$/day in both the absence and presence of the salt. An accumulation of nitrite was observed in the saline nitrification reactor at an early period. However, the nitrite decreased to less than 1 mg/l after 39 days of operation. The salinity increased the acclimation time of the nitrifier consortium to obtain a stable marine nitrification system. However, the salt acclimated system showed the efficient removal of ammonia which was same as that without salt.

  • PDF

Comparison of CDI and MCDI applied with sulfonated and aminated polysulfone polymers

  • Kim, Ji Sun;Rhim, Ji Wo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1호
    • /
    • pp.39-53
    • /
    • 2016
  • In this study, polysufone (PSf) was used as a base polymer to synthesize sulfonated polysulfone (SPSf) and aminated polysulfone (APSf) as cation and anion exchange polymers, respectively. Then the ion exchange polymers were coated onto the surface of commercial carbon electrodes. To compare the capacitive deionization (CDI) and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processes, the pristine carbon electrodes and ionic polymer coated electrodes were tested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feed flow rate, adsorption time at fixed desorption time, and feed concentration, etc., in terms of effluent concentration and salt removal efficiency. The MCDI was confirmed to be superior to the CDI process. The performance of MCDI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CDI. In particular, the reverse desorption potential was a lot better than zero potential. Typically, the salt removal efficiency 100% for 100 mg/L NaCl was obtained for MCDI at feed flow rate of 15 ml/min and adsorption/desorption time of 3 min/1 min and applied voltages 1.0 V for adsorption and -0.3 V for desorption process, and for 500 mg/L, the salt removal efficiency 91% was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