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22-year old female visited CNUH due to palpable neck mass. Cytologic examination of a fine needle aspir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was Pap class II. Routine chest x-ray shows solitary pulmonary nodule. For rule-out malignancy, FNA at neck mass was repeated and pathologic finding was dysplasia. She was admitted to MI department for evaluation of solitary pulmonary nodule an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was done. Pathologic diagnosis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Thereafter, the lesions were treated by excisional biopsy of submandibular gland mass with left supraomohyoid neck dissection and wedge resection of right lower lobe at ENT department and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department, respectively. Final diagnosis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arising in submandibular gland with solitary lung metastasis. According to TMN staging system, surgical staging is stage IV of T2N0M1. Clinical follow-up to postoperative 13 months in this case showed that she is alive and well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Kang, Min Kyu;Cho, Yongseon;Han, Minsoo;Jung, Sun Young;Moon, Kyoung Min;Kim, Jinyoung;Kim, Ju Ri;Lee, Dong-kyu;Park, Jun Hyung;Chung, So He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제79권3호
/
pp.184-187
/
2016
Since IgG4-related pancreatitis was first reported in 2001, IgG4-related disease has been identified in other organs such as salivary gland, gallbladder, thyroid, retroperitoneum and kidney; but lung invasion is rare. A 63-year-old man presented with hemoptysis at the pulmonary clinic and chest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bout 4.1 cm irregular shaped mass with spiculated margin at the left upper lobe. Despite no elevation of serum IgG4 level, he was finally diagnosed as IgG4-related lung disease by transthoracic needle biopsy. After treatment with oral glucocorticoids, hemoptysis disappeared and the size of lung mass was decreased.
Background/Objectives: Despite multiple approaches of treatments for salivary duct carcinoma, there has been a need for more successful treatment methods because of its poor prognosis. Treatment options like immunotherapy using new technologies have been attempted. Based on recent study results indicating that targeting programmed death receptors are effective in treating various cance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PD-L1 expression and its impact on survival rate in salivary duct carcinoma. Materials & Methods: We studied 33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cancer who were available for histologic specimen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PD-L1 in the tissues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with the survival rate and the association with various clinical parameters.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and review of similar studies, we discovered that the expression of PD-L1 in salivary duct carcinoma was lower than other types of cancers. The impact of PD-L1 on survival rate also showed inconsistency in salivary duct carcinoma. Conclusion: Immunotherapy by PD-1/PD-L1 checkpoint blockade in salivary duct carcinoma needs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Kim, Seung Min;Kim, Cheol Keun;Kim, Soon Heum;Lee, Myung Chul;Kim, Jee Nam;Choi, Hyun Gon;Shin, Dong Hyeok;Jo, Dong In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제20권3호
/
pp.186-190
/
2019
Myxoma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derived from the facial skeleton, and those derived from external skeletal soft tissue. Soft tissue myxomas of the head and neck are uncommon, with fewer than 50 cases reported. In any form and location, myxoma of parotid gland is rare. We report a case of myxoma arising from the left superficial lobe of the parotid gland with good long-term follow-up after superficial parotidectomy with tumor excision. A 49-year-old man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with a painless palpable mass that had persisted in the left mandible angle region for 2 years. Excision of the facial mass and superficial parotidectomy with facial nerve preservation were performed. The biopsy result was myxoma. Long-term follow-up for 22 months showed favorable results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but with temporary facial nerve weakness right after the surgery. Myxoma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when benign tumor of the parotid gland is being considered.
목적 : 두경부암 환자들은 방사선조사 후 부작용으로 타액선의 기능부전인 구강건조증이 흔히 유발되어 치료 후 회복이 늦어지고 삶의 질이 저하된다. 방사선조사와 함께 혈류개선제로 알려져 있는 pentoxifylline (PTX)과 칼슘 통로차단제로 알려져 있는 diltiazem (DTZ)을 단독 또는 병합으로 투여한 후 타액선의 만성변화를 분석하여 이 약제들의 방사선손상 억제 가능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Sprague-Dawley 쥐 16마리를 네 군 즉, 1) 방사선조사 단독군, 2) 방사선조사와 PTX 투여군, 3) 방사선조사와 DTZ 투여군, 4) 방사선조사와 PTX, DTZ의 병합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4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16 Gy 일회로 타액선 부위에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다. PTX은 방사선조사 20분 전에 kg당 50 mg을, DTZ은 방사선조사 30분 전에 kg당 20 mg을 복강 내로 각각 투여하였다. 방사선조사후 10주와 16주후에 타액선을 절제하여 H&염색을 하여 병리학적 소견을 관찰하였고 만성변화의 객관적 지표인 세포질내 공포 형성의 정도를 백분율로 측정하여 각 군간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x^2$-검사에 의해 확인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 10주 후 타액선의 선방세포질 내에서 다수의 공포형성이 관찰되었으며 방사선조사와 PTX 투여군, 또는 PTX과 DTZ 병합투여군에서는 이들 세포질내 공포 형성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 vaiue, 0.001). 그러나 DTZ 투여군에서는 세포질내 공포 형성 정도가 방사선조사단 독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되지 않았다(p value, >0.05). 방사선조사 후 16주에 관찰한 실험 군들에서도 선방세포질내 공포형성의 차이가 10주군들과 각기 유사한 소견을 보였으며 10주와 다른 점은 선방세포의 전체 수가 감소된 것과 간질 내 섬유화의 증가였다. 결론 : 방사선조사를 받은 쥐의 타액선에서 PTX 투여, 혹은 PTX과 DTZ 병합 투여결과 만성손상이 감소되었음을 관찰하였고 이로 미루어 보아 PTX이 방사선조사후 발생하는 구강건조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약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항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우리 삶의 질과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정서적으로 중요한 구강안면영역에도 다양한 스트레스성 질환이 존재한다. 그러나 스트레스와 질병에 관한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성 구강안면질환의 병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에 저자는 최근 임상의학에서 관심이 집중되어지고 있는 스트레스와 질병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접근의 일환으로 스트레스성 구강안면질환의 병인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에 임하였다. 즉, 스트레스 단백질로 알려진 clusterin이 스트레스의 생리적 반응으로서 세포보호작용 결과 발현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스트레스 부여 후 타액선 조직 내에서의 그 발현변화를 추적하였다. Sprague-Dawley계 웅성 백서(200-230g/bw)를 구속 스트레스 부여군(구속장치에 구속한 후 0, 3, 5일에 희생) 및 정상군으로 나누고, 각각 악하선을 적출하였으며, 면역조직화학법 및 Northern Blot을 이용하여 Clusterin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속 스트레스 부여군의 clusterin 단백질은 실험 즉일군에서 증가되었고, 그 이후에는 감소되었다. 2. 구속 스트레스 부여 3일군과 5일군에서 핵붕괴 및 핵농축 등의 핵변화를 동반한 apoptosis가 유도되었다. 3. 구속 스트레스 부여 결과, 선포세포가 도관세포보다 일찍 세포사하였다. 4. 구속 스트레스 부여군의 clusterin mRNA는 실험 즉일군에서만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즉, 타액선 조직은 스트레스 단백질인 clusterin을 생산하여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지만, 생리적 적응한계를 넘는 스트레스에 노출될 때에는 조직이 apoptosis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구강건조증등 스트레스성 타액선관련 증상 및 질환의 병리적 기전에 대한 규명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하며, 또한 clusterin은 향후 생체에 가해진 스트레스에 대한 표식자(marker)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 두경부에 방사선 조사를 받는 경우 대부분의 환자에서 구강 건조증을 겪게 된다. 이와 같은 구강 건조증은 침샘 세포의 소실에 의해 침이 생성되지 않거나 적게 생성되기 때문이다. 침샘 세포가 방사선 조사에 의해 소실되는 기전은 침샘 세포의 간기사망(interphase death) 혹은 apoptosis에 의한 직접 손상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이 가장 가능성 있는 기전으로 알려져 있고 apoptosis는 세포내의 칼슘농도의 증가로 인해 일어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흰쥐 침샘의 방사선조사에서 칼슘통로 차단제인 diltiazem과 방사선의 급성반응에 작용하고세포 내 칼슘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pentoxifylline을 방사선조사 전에 투여하여 apoptosis 발생이 감소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체중 약 200-250g의 흰쥐 10마리를 대상으로 대조군, 방사선조사 단독군, 방사선 조사전 diltiazem 혹은 pentoxifylline을 투여군과 두 약제를 동시에 동시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방사선 조사는 침샘을 포함하는 두경부에 1600cGy를 단일 조사하고 diltiazem은 쥐의 체중 kg 당 30mg을 방사선조사 30분전, pentoxifylline은 쥐의 체중 kg 당 50mg을 방사선조사 20 분전에 복강내 투여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24시간에 쥐를 회생시켜 이하선과 악하선을 제거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을 한 후 200배의 배율에서 무작위로 10-20곳을 선택하여 현미경시야당 전체 세포수(T)에 대한 apoptotic body의 수(A)의 백분율(A/TX100)을 구하여 각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 이하선에서 방사선단독, diltiazem, pentoxifylline 단독 투여군과 두약제의 동시 투여군에서 관찰된 apoptosis 백분율은 각각 1.72$\%$(8.35/486), 0.64$\%$(2.9/453), 0.23$\%$(1.2/516), 0.28$\%$(1.1/399)이였다.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약제 투여군에서 apoptotic body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악하선의 장액성 세포에서 방사선조사단독군, diltiazem, pentoxifylline 단독 투여군과 두 약제의 병합 투여군에서 관찰된 apoptosis 백분율은 각각 1.94$\%$(l1/567), 0.34$\%$(1.9/554), 0.28$\%$(1.8/637), 0.22$\%$(1.3/601)이었고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약제 투여군에서 apoptotic body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점액성 세포에서 apoptosis 백분율은 각 군에서 0.92$\%$(5.1/552), 0.41$\%$(2.5/ 612), 0.29$\%$(1.3/455), 0.18$\%$(1.0/562)였다.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약제 투여군에서 apoptotic body의 발생 빈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악하선의 장액성과 점액성 세포에서 방사선 단독 투여군의 경우 apoptotic body 발생의 백분율은 각각 1.94$\%$ (l1/567)와 0.92$\%$(5.1/552)로써 두 세포간에 apoptotic body의 발생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하선과 악하선 모두에서 약제 투여 군들간의 apoptotic body 발생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 특히 약제의 병합 투여군이 단일 약제 투여군 보다 낮은 apoptotic body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로 침샘의 방사선 조사에서 장액성 세포에서 발생되는 apoptosis는 pentoxifylline 혹은 dlltiazem의 투여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들 약제에 의한 apoptosis의 감소가 침샘의 만성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겠다.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제34권3호
/
pp.245-249
/
2008
Epidermal growth factor is a single-chain polypeptide consisting of 53 amino acids and has a potent mitogenic activity that stimulates proliferation of various normal and neoplastic cell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its specific recepto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Pleomorphic adenoma is the most common salivary benign tumor and histologically, it contains the epithelial cell, the myo-epithelial cell and mesenchymal ingredient, which is various aspect. Adenoid cystic carcinoma is an infiltrative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with three different histological patterns: cribriform, tubular or solid. The tumor cell structure composed of modified myoepithelial cell, and basaloid cell. In this study, we used an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EGF in 6 specimen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10 specimens of pleomorphic adenoma taken from patients treated at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Dankook Univers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pleomorphic adenoma, ductal structure and scattered spindle cells in hyalinized stroma, disclosing myxoid stroma and hyalin, cartilage formation were observed. Immunohistologically, weak EGF expression in ductal structure and negative in stromal area were observed. 2. Cribriform typ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showed numerous pseudocyst surrounded by dark small neoplastic cells in the back-ground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and moderate EGF expression of dark cells adjacent to pseudo lumen in cribriform pattern, while weak expression in other most cells. 3. Tubular typ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showed numerous ductal pattern surrounded by two layered neoplastic cells in the back-ground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and strong EGF expression in luminal cells of ductal structure, while weak expression in outer cells. From the results obtained, we suggest that EGF is mainly biosynthesized in cells forming duct like structures of tubulo-ductal type or cribriform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it may play a role, as a cell mitogen in adenoid cystic carcinoma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제38권1호
/
pp.20-28
/
2012
Int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oral cancer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The classifications of oral and maxillofacial cancer (OMFC) that we used are based on possible locations of OMFC: lip, tongue, mouth, salivary glands, tonsil, oropharynx, nasopharynx, hypopharynx, pharynx unspecified, and nose, sinuses. Results: 1) There were 2,848 OMFC cases, accounting for 1.6% of all cance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72:1. 2) The estimated crude rates (CRs) were 5.7 overall, 8.4 for males, and 3.1 for females.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s (ASRs) were 4.6 overall, 7.3 for males and 2.3 for females. 3) The incidence of mouth cancer was highest. The mouth and salivary glands were the most frequent sites for cancer among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4) Patients who were 40 years or older accounted for 91% of OMFC case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cases in the 60-69 year-old age group for both sexes. 5) Tongue cancer was the most prevalent OMFC overall. Nasopharyngeal cancer was highest among males, and salivary gland cancer was highest among females. 6) From 2004 to 2008, the relative 5-year survival rate of OMFC patients was 57.5%. There was a trend of increasing survival among OMFC patien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urvival rate for females (69.3%) was much higher than that for males (53.1%). Conclusion: Social and personal efforts should be requir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s of OMFC patients and Korean national cancer management policy should establish new measures for economic and social management and suppor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제31권2호
/
pp.170-177
/
2005
The pleomorphic adenoma is well recognized as the most common salivary neoplasm. We examined 49 patients who had received surgical excision of the pleomorphic adenoma from 1989 to 1998 with over 5 years follow-up period.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patients' age, sex, chief complaints, surgical methods, and recurrence or complication rates after analysis of one's clinical and surgical reco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15 cases in parotid gland, 23 cases in palate, 8 cases in submandibular gland, and 3 cases in cheek.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 : 1.13. The mean age was 44. The tumor of submandibular gland occurred in more younger age than that of other salivary gland. 2. In 15 patients of parotid pleomorphic adenoma, there was 1 case(6.7%, 1/15) of recurrence. That was transformed into the malignant pleomorphic adenoma after 4 years of first surgery. We performed superficial parotidectomy of 9 cases(56.2%, 9/16), total parotidectomy of 6 cases(37.5%, 6/16), and radical parotidectomy of 1 case(6.3%, 1/16). 3. We used the rotational Sternocleidomastoid muscular flap to cover the exposed facial nerve in 12 cases(75%) after parotidectomy(7 cases of superficial parotidectomy and 5 cases of total parotidectomy). We could see 3 cases(18.7%) of facial nerve palsy and 1 case(6.3%) of Frey's syndrome after parotidectomy. We examined Frey's syndrome in only 1 case which was not used SCM muscular flap after parotidectomy. 4. In 23 patients of palatal pleomorphic adenoma, there were 2 cases(8.7%) of recurrence. In recurrence cases, We performed re-excision after 4 and 5 years of first surgery, respectively. We preserved partial thin overlying palatal mucosa during tumor excision in 5 cases(20%), which were proved as benign mixed tumor in preoperative biopsy. That mucosa-preserved cases had thick palatal mucosa, did not show mucosa ulceration and revealed well encapsulated lesions in preoperative CT. 5. In palatal tumors, we could see the 13 cases(52%) of bony invasion in preoperative CT views and the 4 cases(16%) of oro-nasal fistula after tumor excision. In two cases of recurrence, one(20%, 1/5) was in palatal mucosa-preserved group and the other(5.5%, 1/18) was in palatal mucosa-excised group. 6. We excised tumors with submandibular glands in the all cases of submandibular pleomorphic adenoma. There was no specific complication or recurrence in these cases. 7. After excision of the cheek pleomorphic adenomas, we could not see any complication or recurrence.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