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ne Soil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18초

우리나라 논 토양의 토양유기탄소 변동 특성 (Soil Organic Carbon Dynamics in Korean Paddy Soils)

  • 정원교;김선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6-42
    • /
    • 2007
  •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및 온실가스 배출 및 저감기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토양 내 유기탄소의 축적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억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며, 특별히 우리나라 농경지의 주요 이용형태인 논토양에 대해서는 유기탄소의 축적량 산정을 포함한 변동 등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적인 논 토양 유기탄소의 연차별 모니터링을 통하여 토양에서 유기탄소의 연차간 변동을 평가하였으며 토양의 생성학적, 물리적 특성에 따라 토양유기탄소의 변화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토양 생성분류학적으로 우리나라의 주된 논토양인 Inceptisol 에서 토양유기탄소량이 1999년에 비하여 2003년에 증가하는 경향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의 이용형태별로는 염해답이나 미숙답에서 보다 보통답, 사질답, 배수불량답에서 토양유기탄소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토의 토성별로 양토에서 보다 미사 식양토 및 미사양토에서 유기탄소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다. 지형적으로는 곡간지에서 보다 평탄지에서 토양유기탄소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1999년 이후 논토양에서 토양유기탄소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0.11g\;kg^{-1}yr^{-1}$) 이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논 토양의 유기탄소 축적기능을 통해, 토양 중에 저장함으로써 논토양이 온실가스 흡수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NaCl 엽면살포에 따른 과수의 피해양상과 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chanism and Damage Occurrence for Foliar Spray of NaCl Solutions in Fruit Trees)

  • 김승희;송기철;박정관;박무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2-358
    • /
    • 2006
  • 조풍해(briny wind)에 대한 과수 과종간 피해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갈변율의 경시적 변화에서 배와 복숭아는 처리 후 1시간 만에 갈변이 시작되었고, 사과와 포도는 2시간 후부터 갈변증상을 나타냈나. 배와 포도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낙엽률도 증가되었다. 염분처리에 대한 사과의 에틸렌 함량은 NaCl 3.0% 처리한 경우 1, 2시간 후까지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24시간 후에는 무처리 보다 약 3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5일 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사과의 염분처리에서 뒷면처리는 앞 뒷면 전체처리한 경우와 동일한 갈변과 낙엽률을 보였다. 엽령에 따른 NaCl의 반응은 사과와 배 모두에서 성엽이 유엽보다는 피해가 크게 나타났고 배보다는 사과가 염에 대해 민감하였다. 처리시기에 따른 염피해 에서 7월 30일 처리는 사과에서 측아가 발아되었으며, 정단은 배 30%를 제외하고 나머지 과종은 100% 발아하였다. 상위엽과 정단의 호르몬 함량을 조사한 결과에서, 잎의 t-zeatin 함량은 대포구가 염처리구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하지만 IAA와 ABA는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상위엽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대공극층위 형성 간척지 다층토주의 양이온 용탈 및 분포 (Leaching and Distribution of Cation in Multi-layered Reclaimed Soil Column with Intermediate Macroporous Layer)

  • 유진희;정덕영;황선웅;강종국;이상복;최원영;하상건;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02-609
    • /
    • 2010
  • 간척지 토양에서 대공극 중간층위의 형성이 가지는 제염 촉진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석탄바닥재를 대공극층으로 가지는 다층토주 (multi-layered soil column)를 만들어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토양의 투수성을 조사한 결과, 표토층은 초기 $K_{sat}$ 0.25 cm $hr^{-1}$에서부터 240시간 후 투수가 정지하여 $K_{sat}$ 0 cm $hr^{-1}$을 나타내었고 심토층은 초기부터 투수가 되지 않아 $K_{sat}$ 0 cm $hr^{-1}$을 나타내었다. 표토에 5 $cmol_c\;kg^{-1}$의 석고를 혼합한 다층토주의 $K_{sat}$ 값은 표토 30cm+CBA 20 cm+심토 20 cm 토주에서 $0.39{\times}10^{-4}cm\;sec^{-1}$를 나타내었고, 표토 30cm+CBA 30 cm+심토 20 cm 토주에서 $0.31{\times}10^{-4}cm\;sec^{-1}$을 나타내었다. 반면 대공극층을 가지지 않은 표토 30cm+ 심토 20 cm 토주는 $K_{sat}$ $0.64{\times}10^{-4}cm\;sec^{-1}$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다층토주 용출액의 EC가 1 dS $m^{-1}$ 이하로 감소한 시간은 대공극 중간층을 가진 토주가 대공극층이 없는 토주 (표토 30 cm+심토 20 cm)에 비해 크게 짧았다. 다층토주 용출액의 양이온 농도는 심토층을 가진 다층토주는 $Na^+>Mg^{2+}>K^+>Ca^{2+}$ 순으로 높았고, 심토층이 없는 다층토주는 $Na^+>Mg^{2+}>Ca^{2+}>K^+$순으로 높았다. 다층토주의 이온용출 후 표토의 화학성은 모든 토주에서 EC가 0.31 dS $m^{-1}$ 이하로 감소하여 시험전의 33.9 dS $m^{-1}$에 비해 99% 이상 저하되었다. 토양의 치환성 Na는 0.1~0.2 $cmol_c\;kg^{-1}$ 범위로 시험전에 비해 95~96% 감소하였고, 반면 치환성 Ca는 2.56~2.96 $cmol_c\;kg^{-1}$ 범위로 시험 전 대비 98~129%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논토양(土壤) 유형별(類型別)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Management Groups of Paddy Soils in Korea)

  • 허봉구;임상규;김유학;이계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2-66
    • /
    • 1997
  • 논토양에 대한 전산화(電算化)된 정밀토양조사자료(精密土壤調査資料)를 이용(利用)하여 논토양(土壤) 유형별(類型別) 13개(個) 물리화학적인 특성의 평균치(平均値)를 구하고 토양개량(土壤改良)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고자 전산자료를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논토양 B층위(層位)에서의 점토함량은 보통답(普通畓)이 28.3%, 사질답(砂質畓)이 11.8%, 미숙답(未熟畓)이 26.8%이었으며 토양 pH는 습답(濕畓),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을 제외하고는 B층(層)이 A층(層)보다 높았다. 2. 보통답중(普通畓中)에서 하천변(河川邊)논 A, B층의 점토함량은 각각 16.8%, 23.1%로 가장 낮았고 유기물함량은 42g/kg, 18g/kg로 가장 많았으며 유효인산함량도 가장 많았다. 3. 논토양 유형별(類型別) B층(層)의 유기물함량수준별 분포비율(分布比率)은 사질답, 미숙답은 10g/kg 이하가 가장 많고 특이산성답을 제외한 각 답유형에서는 10~20g/kg 범위가 가장 많았다. 4. 보통답(普通畓) B층위(層位)에서 물리화학성 상호간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전부 1~5% 수준내에서 유의성(有意性)이 높았다.

  • PDF

레미콘 슬러지의 시용이 토양 이화학성과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due from Remic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s and Rice Growth)

  • 김석현;하호성;최진용;이두호;이은일;이미경;나영왕;윤을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7-333
    • /
    • 1995
  • 슬러시 처리구에서 수수와 1수립수의 증가에 기인하여 현미수량이 청도 10%, 진주 15%, 여천 7% 증가하였다. 슬러지 처리구에서 현미증 규산의 함량이 높았다. 벼 재배시 레미콘 슬러지를 34.8톤/ha 수준에서 처리하면 토양의 pH상승효과가 크고, 석회자원과 칼리공급원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천의 간척지 토양에 슬러지를 시용할 경우 pH 7.2 이상으로 알칼리 반응을 나타내고 토양의 고상율을 증가시키므로 레미콘 슬러지의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간척지 토양에서 벼 재배시 염농도별 완전 낙수시기 (Optimum Drainage Time for Rice Quality in Tidal Reclaimed Area)

  • 최원영;이규성;고종철;문상훈;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85-87
    • /
    • 2005
  • 본 연구는 남서해안 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저염; $0.1\%$, 중염; $0.3\~0.4\%$)별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완전 낙수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염토양에서의 완전낙수시기에따라 $m^2$당 립수가 비슷하여 쌀 수량은 유의차가 없었다. 중염토양에서는 완전낙수시기가 빠를수록 염피해를 받아 등숙비율이 낮아져, 쌀 수량은 출수후 30일까지는 감수하였고 35일 이상에서는 같았다. 2. 토양 염농도간의 쌀 수량은 중염 토양에서 저염 토양의 $6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3. 저염 토양에서 완전미 비율이 높았으나 현미품위는 처리농도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다. 4. 2002년 기상은 완전낙수시기에 잦은 강우로, 2003년에는 생육기 저온으로 인하여 완전 낙수시기를 결정하기 어려웠지만 수량 및 도복 등을 고려해 볼 때 저염 토양에서는 출수 후 $20\~40$일에, 중염 토양에서는 출수 후 $35\~40$일에 완전낙수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시설 고추의 왕겨 혼합 소토양 재배기술 (Green Pepper Cultivation in Mixture Bed of Soil and Rice Hull for Alleviation of Salinity Problems in Plastic Film House)

  • 김진원;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40-344
    • /
    • 2005
  • 수년간 고추를 연작한 비닐하우스에서는 연작 또는 염류집적에 따른 수량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고추의 수량감소를 줄이면서 설치한 비닐하우스의 사용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존 토양에 왕겨를 혼합한 소토양관비재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관행재배 시험구에 비하여 토양 EC가 $4dS\;m^{-1}$ 이하로 낮아졌으며 두 재배방법 사이에 지상부 생육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뿌리의 발달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현저히 좋았다. 특히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잔뿌리의 발달이 많았으며 관행재배 시험구에서는 뿌리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굵은 뿌리가 많이 발생되었다. 풋고추 수량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43% 정도 증가되었는데, 이는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의 양호한 뿌리 발달이 양분흡수에 기여하였고 결과적으로 수량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초기 단계의 연구결과이며,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이 연작 토양 시설물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이다.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서천 해안지역 길산천 소유역에서의 고염분 지하수와 씻김 현상 (Fossil Saline Groundwater and Their Flushing Out At Gilsan Stream Catchment in the Western Coastal Area of Seocheon, Korea)

  • 문상호;윤윤열;이진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6호
    • /
    • pp.671-687
    • /
    • 2022
  • 우리나라 서·남해 연안 지대는 해안으로부터 10 km 범위 내 관정의 약 47%가 해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지하수의 염분화 원인이 해수 침투 때문일 것이라 해석되어 왔다. 서천지역의 길산천은 금강하구둑이 건설·운영되어 매립 농지로 이용되기 전까지는 감조하천으로서 유역 내에는 해수에 의한 퇴적물이 생성되고 그 내부에는 염분 공극수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길산천 소유역 내 지하수는 EC 값이 111~21,000 µS/cm 범위로서 매우 높은 염분 지하수가 존재하며, 수질 유형은 Ca(or Na)-HCO3, Ca(or Na)-HCO3(Cl), Na-Cl(HCO3), Na-Cl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수질의 다양성은 강수 및 지표수로부터 유입 생성되는 담수 지하수 수질과 해수 수질의 혼합 현상 때문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질 다양성 및 염분 지하수의 존재가 현재 진행 중인 해수 침투 때문인지 아니면 조간대 퇴적물 내 고(古)염분 공극수가 씻겨나가는 과정에서 잔존하기 때문인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 내 강수, 지표수, 해수, 지하수에 대하여 수질 특성을 비교하고, 삼중수소 함량,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87Sr/86Sr 비 등을 비교·검토하였다.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으로 볼 때, EC 값이 큰 염분 지하수들의 물 성분은 담수 지하수와 지표수 물이 혼합된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중수소 함량에 의해 추정되는 연령이 젊은 지하수들은 NO3 함량이 높은 지표 영향을 많이 받은 것들로 나타나,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 진화 과정에는 담수 지하수 및 지표수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수 지하수/지표수와 해수를 2개의 단성분으로 가정하고 Cl 함량 변화에 따른 Na/Cl ratio와 나트륨흡착도(SAR)의 변화 패턴을 고려하면, 연구지역 지하수들은 해수 침투가 아니라 고염분 지하수의 씻김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염류집적 유형이 다른 토양의 교환성 양이온 측정 (Determination of Exchangeable Cations in Soils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Salt Accumulation)

  • 이예진;윤홍배;김록영;이종식;송요성;성좌경;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5-142
    • /
    • 2012
  • 염류집적 토양의 교환성 양이온을 분석할 때 수용성 양이온이 많이 존재하는 경우 교환성 양이온이 높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수용성 양이온을 제외한 교환성 양이온을 측정하여야 한다. 수용성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 중 알콜 등으로 세척을 하거나 전체 양이온을 구한 후 포화 용액 중 녹아있는 수용성 양이온을 빼는 방법이 있다. 본 실험 결과 시설재배지 토양의 경우 전처리에서 세척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나, Na 함량이 높은 간척지 토양은 포화용액에 녹아있는 수용성 양이온을 빼야 정확한 교환성 나트륨을 구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EC_e$가 4 이하인 토양에서는 수용성 양이온을 제외할 필요가 없었다.

Understanding to Enhance Efficiency of Nitrogen Uses in a Reclaimed Tidal Soil

  • Lee, Sang-Eun;Kim, Hye-Jin;Park, Mi-Suk;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55-960
    • /
    • 2012
  • 신간척지 토양 pH는 7.5 이상의 알카리성 토양으로 요소와 같은 화학비료 처리 시 휘산에 의한 손실이 증가하여 비료효율이 저감된다. 한편 퇴비와 같은 유기태질소를 함유하는 유기질비료를 처리하더라도 토양 내 Nitrosomonas나 Nitrobactor와 같은 미생물상이 미약하여 질산화과정이 미약하여 실질적 유기질비료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논과 같이 초기부터 담수상태로 시작하는 토양에서는 식물체가 질소원을 양분으로 이용하기 전 탈질화과정을 거치거나 아니면 용탈과정을 통하여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토양 pH가 7.5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요소형태로 토양에 가해진 질소원으로부터 암모니아가스 발생이 급격히 증가되면 실질적 질소질 비료의 이용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pH7 이상의 간척지 토양에 요소를 질소원으로 처리 시 암모니 움태나 질산태 형태의 가급태 질소원은 매우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담수하에서의 간척지 토양의 산화환원 특성과 토양 pH에 따른 처리 비종과 처리 기술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