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management effort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4초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구축을 위한 매뉴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al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nstructing at Disaster Site)

  • 윤유상;서상욱;이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8-46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체계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우나리조트, 세월호 사건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발표 등 재난안전과 관련하여 많은 정책적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재난거점병원을 확충하는 등 시설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인구 당 응급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재난 시 다양한 기관의 미흡한 협조체계로 효율적 재난관리가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요구되는 응급의료시설의 효율적 구축과 체계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선진국 대비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유형 및 상황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탱커선 전용의 최적화된 밸러스트수 교체 관리 (Optimized Ballast Water Exchange Management for Tanker)

  • 홍충유;장형준;권성진;최영달;김동언;박제웅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30
    • /
    • 2003
  • Many port states such as New Zealand, the USA, Australia and Canada have strict regulations to prevent ships which arrive in their port from discharging polluted ballast water which contain harmful aquatic organisms and pathogens. They are notified that transfer of polluted ballast water can cause serious injury to public health and damage to property and environment. For this reason, they perceived that the ballast exchange in deep sea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gether with submitting the ballast management plan which contains the effective exchange method, ballast system and safety consideration. In this study, we make an effort to develop optimum ballast water exchange management and in result of that, it provide more convenient and stable process for preparing ballast water management plan.

  • PDF

LIGHT WATER REACTOR (LWR) SAFETY

  • Sehgal Bal Raj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8호
    • /
    • pp.697-732
    • /
    • 2006
  • In this paper, a historical review of the developments in the safety of LWR power plants is presented. The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s prior to the TMI-2 accident, i.e. the concept of the defense in depth, the design basis, the large LOCA technical controversies and the LWR safety research programs. The TMI-2 accident, which became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nuclear power is described briefly. The Chernobyl accident, which terrified the world and almost completely curtailed the development of nuclear power is also described briefly. The great international effort of research in the LWR design-base and severe accidents, which was, respectively, conduct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TMI-2 and Chernobyl accidents is described next. We conclude that with the knowledge gained and the improvements in plant organisation/management and in the training of the staff at the presently-installed nuclear power stations, the LWR plants have achieved very high standards of safety and performance. The Generation 3+LWR power plants, next to be installed, may claim to have reached the goal of assuring the safety of the public to a very large extent. This review is bas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s in LWR safety that occurred primarily in USA, however, they are valid for the rest of the Western World. This review can not do justice to the many fine contributions that have been made over the last fifty years to the cause of LWR safety. We apologize if we have not mentioned them. We also apologize for not providing references to many of the fine investigations, which have contributed towards LWR safety earning the conclusions that we describe just above.

제로에너지 빌딩 평가를 통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through Evaluation of Zero-Energy Buildings)

  • 채수권;김주환;채현병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83-94
    • /
    • 2016
  • 전 세계에서 건물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는 지구온난화의 주요원인일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다루어져야할 주요 과제이다. 본 연구는 빌딩을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의 평가를 통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제로에너지빌딩을 검토하고 영향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실제 건물을 대상으로 환경적 요인과 환경부하로 구분하여 평가항목을 설정하였으며 평가결과를 토대로 개선사항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로에너지빌딩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단계에서는 건물부지의 지형과 기후변수가 고려되어야 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저장 및 관리 측면에서는 비용 상승에 따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로에너지 빌딩에서는 에너지 효율이 중요하나 현재 건물 내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모니터링과 같은 평가항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해서 세부적인 체계로서 절약과 낭비 에너지에 대하여 국내 실정에 적적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Consequence Analysis를 통한 도시가스 사고 피해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City Gas Accident Damage by Consequence Analysis)

  • 안정식;김지혜;유지훈;김종경;강수비;조동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40
    • /
    • 2022
  • 최근 산업계에서 가장 큰 화두는 산업안전보건관리에 대한 영역이다. 도시가스는 인화성 가스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중대 산업 및 시민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가스 안전관리의 일환으로 Consequence Analysis를 통해 도시가스 누출에 의한 폭발사고 발생 시 피해 범위 및 정도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압력, 기상상황 등 다양한 누출조건에 따라 분석결과 값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가스 안전관리업무 수행 시 도시가스 누출에 의한 사고의 시나리오를 마련하여 보다 효과적인 사고예방과 비상조치계획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화학섬유로프 제조에 있어서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Evaluation of Chemical Fiber Rope Manufacture)

  • 박희재;목연수;최재욱;임우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4호
    • /
    • pp.457-461
    • /
    • 2010
  •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 체제는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왔으며,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업들의 경쟁력은 단순한 제품의 생산에만 머무르지 않고 품질, 가격, 기술면에서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속에서 안전성이 결여된 생산품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제조물책임법에 대한 안전대책으로서 실제 선박이나 운동기구 등에 사용되는 화학섬유 로프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물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하나의 결과로 제조물책임에 대한 대비능력의 평가방법인 체크리스트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현재 위치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제시함으로써 평가가 아닌 발전의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는 각종 경영관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생산안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지역사회보호체계를 위한 수요자와 복지서비스 전달자의 노인주거 서비스 요구도 - 노인공동생활주택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의 체계화 - (The Elderly and Social Worker′s Needs for Housing Services in Community Care -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in Community Care -)

  • 홍형옥;지은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2호
    • /
    • pp.1-12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to develop housing service which assists the older people to live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and provides the systematization of community ca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nclude 533 older people between the age of 60 to 79 residing in Seoul and 84 welfare officials at a dong(in)-office and 67 social workers working at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demanders and deliverers recognized that housing service for older people was necessary for community care, and, in particular, the deliverers had higher degree of necessity as people charged in welfare service. The most needed service was community alarm service which currently is proceeded partially for low-income and living-alone olders. It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people to be served. It appeared that the need for inside safety measures rather than for housing space or structural problems. It requires less effort and cost for those who need simple repair, such as safety grips or slippery protection, and safety checks. Among financial support services, the need for tax benefits appeared the most necessary service for the older people. It suggested that more 'direct' financial support service is needed for the elderly people.

유전자변형 식물체 연구에서의 안전관리 고찰 (Safety management of living modified plants: A review)

  • 이범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163-170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LMO (Living Modified Organisms)의 이용과 상업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 LM 식물의 상업적 재배는 아직 이뤄지고 있지 않으나 연구개발 및 수입, 연구시설의 신고 등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LM 식물은 개발 및 환경위해성 평가 단계에서 온실과 야외 포장에서의 실험이 요구되나 개발 중인 단계에서는 아직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환경방출에 대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LM 식물의 개발 연구는 일반적으로 실험실, 격리온실, 격리포장에서 수행되며 각 연구 구역마다 LMO법 통합고시 등에서 안전관리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LM 식물 연구 사고사례 중 일본의 LM 페튜니아 유출 사고는 LM 식물 연구 도중 교잡 가능 거리에 있는 일반 식물은 LM 식물로 간주하여 취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미국의 LM creeping bentgrass 유출 사례는 바람 등에 의해 종자의 산포가 용이한 LM 식물의 경우 종자 비산에 대한 강력한 방지 대책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국내 LM 들잔디 유출과 LM 면화 유출 사례는 빗물 등에 의한 식물 영양번식체 유출 및 LM 종자 혼입에 대한 안전 대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미승인된 LM 식물의 환경방출에 따른 확산은 제거와 복구에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하는 LM 식물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개발자 및 연구자는 환경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고 환경방출 방지 등 철저한 안전관리가 요구되는 바이다.

도시철도차량의 안전기준 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Regulation Revision for Urban Transit Vehicles)

  • 이우동;신정렬;김길동;한석윤;박기준;홍재성;안태기;이호용;김종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I)
    • /
    • pp.322-326
    • /
    • 2003
  • Dae-gu subway accident raise whole points in connection with safety facilities and operating of national urban transit system like rolling stocks, facilities, management of human. Rolling stock is made every effort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guarantee of comfortableness, insurance of economical efficiency. But Security like safety of fire is not thoroughgoing enough. Especially, interior material has used although it is not prove its degree of safety. it is a main cause of Dae-gu subway accident. Safety regulation of urban transit vehicle that legislate for security in March 2000 does not applied manufacturing vehicles before in 2000. It has be prescribed in the regulations that incombustibles must be used. But detailed test standard related with incombustibles is not prescribe. Thus that regulation be required reinforcement of detailed test standard. Main cause of Dae-Gu subway accident is a fire in vehicle. However, many defects are found in infrastructure and operating vehicle of urban transit, such as inexperienced disposal of driver and CCC in early stage of the fire accident, unskilled opening and closing doors, insufficient escape facilities and safety facilities of a station house and tunnel, and incomplet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vehicle and CTC, extraordinary step. Thus the aims of this study are prevention of urban transit accident, improvement plan of safety driving, and proposal of quick action plan through analysis of total faculty of vehicle.

  • PDF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Bas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 focused on the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 신기남;주선우;양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484-3490
    • /
    • 2015
  • 건설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재해율이 높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사망자 발생 등 중대재해 비율이 높아 안전교육 및 관리의 중요성이 매우 높은 산업이다. 고용노동부는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사고율을 낮추기 위해 건설현장의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무를 지키는 현장이 한정적일뿐더러 형식적인 교육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실시현황, 교안 사례 및 교육방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효과적 교육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최근 건설현장 사망사고 유형을 공종별로 분류함으로써 교육 대상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을 현행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