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and Health Index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29초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김정배;최병미;윤재성;나종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91-503
    • /
    • 2014
  • 본 연구는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2년 5월(이하 춘계)와 7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가로림만에서는 총 247종 $4.4m^{-2}$과 35,745개체(1,625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20종과 27,310개체(1,241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가로림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작은사슴갯지렁이(Ampharete arctica),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Euclymene oerstedi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로 구별되었고, 조립질 퇴적물(그룹 1과 2)과 혼합 및 세립질 퇴적물(그룹 3)이 우세한 정점군으로 나뉘었다. 가로림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BPI지수는 춘계와 하계에 공통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high status; normal)를 나타낸 반면, AMBI지수는 양호한 상태(good status; slightly polluted)를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로림만의 건강도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서울지역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중금속과 이산화황 함량 및 위해성 평가(2019-2023)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and Sulfur Dioxide in Herbs for Food and Medicine in Seoul Area (2019-2023))

  • 한성희;박소현;김지혜;장현정;김애경;정지헌;윤은선;박주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2-334
    • /
    • 2024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지역에 유통되는 식약공용 농·임산물 60품목 1,340건을 대상으로 ICP-MS와 수은분석기, 모니어-월리엄스 변법을 사용하여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및 이산화황의 함량을 조사하고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중금속의 평균 검출량 및 범위는 납 0.327 mg/kg (ND-36.933), 카드뮴 0.083 mg/kg (ND-1.700), 비소 0.075 mg/kg (ND-2.200), 수은 0.004 mg/kg (ND-0.047)으로 나타났다. 품목별은 2023년에 복령 1건에서 납이 36.933 mg/kg으로 기준을 초과하였고 카드뮴은 2022년에 구절초 2건이 각각 1.700 mg/kg, 0.650 mg/kg으로 기준를 초과하였다. 나머지 품목은 모두 허용기준 이내였다. 이산화황의 평균 검출량 및 범위는 0.75 mg/kg (ND-192.00)이 였으며, 2019년에 천마 2건에서 각각 192.00 mg/kg과 42.00 mg/kg으로 기준치을 초과하였다. 약용부위별 중금속 평균 검출량은 납은 버섯류(1.377 mg/kg), 카드뮴은 수·근피류(0.156 mg/kg)와 등목류(0.144 mg/kg), 비소는 엽류(0.149 mg/kg), 수은은 전초류(0.009 mg/kg), 엽류(0.009 mg/kg)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이산화황 평균 검출량은 근경류(4.12 mg/kg)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원산지별로 중금속 및 이산화황 함량을 비교한 결과, 납, 카드뮴 및 수은은 국내산, 중국산, 중국 외 수입산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비소와 이산화황은 중국산이 국내산과 중국 외 수입산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위해성 평가 결과, 납은 대부분의 품목에서 노출안전역(MOE)값이 1보다 커서 인체 위해성이 낮았지만, 복령에서 MOE 값이0.66으로 1보다 낮아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위해도(HI)는 각각 0.2740-1.0702%, 0.0049-0.0335% 및 0.0041-0.0287%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산화황의 위해도(HI)는 모든 품목에서1을 초과하지 않아 안전한 수준이었다. 앞으로도,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부산지역에서 유통되는 신선농산물 중 리스테리아균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Listeria spp. in Fresh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ed in the Busan Area, the Republic of Korea)

  • 옥연주;권영희;황혜선;변예지;박지영;김병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15
    • /
    • 2024
  • 2022년 1월부터 11월까지 부산지역에서 유통 중인 신선 농산물 210건을 대상으로 리스테리아균 분포 현황 및 병원성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혈청형 및 유전자 지문분석을 통해 역학적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조사 대상 신선농산물에서 총 40건의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되었으며, Listeria monocytogenes 등 4종의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되었다. 이 중 L. innocua가 22건, L. monocytogenes 10건, L. grayi 6건, L. rocourtiae 2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식중독을 유발하는 L. monocytogenes균은 팽이버섯에서만 검출되었다. L. monocytogenes의 병원성을 유발하는 유전자인 iap, prfA, inlA, inlC, inlJ 및 hly 6종에 대한 분석 결과, 총 10개 균주 중 6개 균주에서 iap 등 6종의 병원성 유발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4개 균주에서 hly를 제외한 5종의 유전자가 검출되어 식중독 발생 잠재위험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지역 유통 식재료에 분포하는 L. monocytogenes의 유전학적 유사도 및 오염원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신선농산물에서 분리한 L. monocytogenes 10균주 및 2022년 부산지역 유통 가금류에서 분리한 L. monocytogenes 2균주를 대상으로 혈청형 분석 및 PFGE를 실시한 결과, 신선농산물 분리균주의 혈청형은 1/2a 및 1/2b 두 가지 sero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가금류 분리균주는 모두 1/2a형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지문 분석결과, 전체 균주의 유사도는 100-45.7%로 나타났고, 이 중 100% 상동성을 보인 균주들은 동일 생산농장 또는 동일지역 유래 팽이버섯에서 분리되어 오염원의 출처가 같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신선농산물 분리균주와 유통 가금육 분리균주와의 유사도 확인 결과, 일부 팽이버섯 분리균주와 가금육 분리균주의 유사도가 90.9-84.6%로 나타났다. 농산물 및 축산물 생산시설간 오염원 이동 및 교차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었다.

성장기 흰쥐에서 제초제 저항성 쌀의 급여에 대한 영양적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al Safety for the Herbicide-Resistant Rice in Growing Male Rats)

  • 이성현;박홍주;조소영;전혜경;박용환;정미혜;박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10호
    • /
    • pp.1030-1035
    • /
    • 2003
  • 농업생명공학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유전자변형 농산물(GMO)이 개발 및 유통됨에 따라 농약, 노동력의 절감 및 식량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반면, 독성, 알러지 유발, 항생제 내성 등 식품으로 섭취될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가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우리나라 농촌진흥청에서도 여러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일반화에 앞서 그 안전성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쌀이 우리의 주식인 점을 고려하여 우선 안전성이 검토되어야 할 시험재료로 선정하였고, 영양성분 측면에서의 실질적 동등성과 취약 계층에서의 안전성 검토를 위해 영양성분 분석 후 유전자 변형 쌀을 성장기 흰쥐에게 6주간 급여하였다. 특히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마커가 현미에 있을 수 있다는 보고를 고려하여 유전자 변형 품종의 백미밥과 현미밥을 모종인 일품의 백미밥 및 현미밥으로 나누어 처리한 후 실험식이를 급여하였다. 그 결과 시험재료의 영양성분 함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실험식이를 급여하였을 때 모든 실험동물에서 임상적 증상, 조직의 외형이나 무게 및 혈중 영양성분 함량 등의 측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 사용된 유전자 변형 품종(제초제 저항성)은 도정 정도에 상관없이 백미와 현미 모두 6주간 급여시 성장기 실험동물에 어떠한 부정적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전자 변형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 좀 더 보완된 in vivo 실험법의 확립과 1년 이상 장기간의 급여에 따른 영향 검토도 필요하고, 본 연구의 시험재료는 단지 제초제 저항성 품종의 백미와 현미에 대한 것으로 유전자 변형 목적 및 대상 식품의 다양성에 따른 안전성은 다시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라이프케어를 위한 추간판성 통증 치료의 최신중재기법 기술적 윤리적 문제들에 관하여 (Recent Interventional Procedures for Spinal Discogenic Pain for Life Care : Technical and Ethical Issues)

  • 홍영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11-320
    • /
    • 2019
  • 척추 추간판의 퇴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간판성 통증은 근골격계의 난치성 질환이다. 이 질환은 현대 의학이 다루는 일반적 질환들과는 달리 객관적인 영상학적, 임상병리학적 지표로 확진되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의 기술로는 근본적인 치료법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추간판성 통증치료를 위해 실시되는 신경차단술, 추간판 내열치료술, 수핵성형술 등 여러 중재시술법들의 치료적 근거가 타당성이 있는지, 그리고 각 기법들의 개발과정에서 전임상적 시험과 같은 안전성 검토가 충실히 이행되었는지를 문헌검토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료적 근거가 객관적으로 검증된, 추간판성 통증의 중재시술 방법은 아직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기술 개발과정에서 시술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를 위해 필요한 전임상적 시험의 단계를 적절히 갖추지 않은 중재시술법의 사례들도 발견된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 선명한 치료적 근거를 가진, 추간판성 통증에 대한 중재시술법은 없으므로, 임상에서 시술여부를 판단할 때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며, 안전성에 대한 검토를 충실히 갖추지 않은 채 실시되어온 것으로 판단되는 일부 중재시술법들에 대해선 의료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Investigating Organ Toxicity Profile of Tenofovir and Tenofovir Nanoparticle on the Liver and Kidney: Experimental Animal Study

  • Peter, Aniekan Imo;Naidu, Edwin CS;Akang, Edidiong;Ogedengbe, Oluwatosin O;Offor, Ugochukwu;Rambharose, Sanjeev;Kalhapure, Rahul;Chuturgoon, Anil;Govender, Thirumala;Azu, Onyemaechi 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221-229
    • /
    • 2018
  • Tenofovir nanoparticles are novel therapeutic intervention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reaching the virus in their sanctuary sites. However, there has been no systemic toxicity testing of this formulation despite global concerns on the safety of nano drug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Tenofovir nanoparticle (NTDF) on the liver and kidney using an animal model. Fifteen adult male Sprague-Dawley (SD) rats maintained at the animal house of the biomedical resources unit of the University of KwaZulu-Natal were weigh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animals (A) were administered with normal saline (NS). The therapeutic doses of Tenofovir (TDF) and nanoparticles of Tenofovir (NTDF) were administered to group B and C and observed for signs of stress for four weeks after which animals were weighed and sacrificed. Liver and kidney were removed and fixed in formal saline, processed and stained using H/E, PAS and MT stains for light microscopy. Serum was obtained for renal function test (RFT) and liver function test (LFT). Cellular measurements and capturing were done using ImageJ and Leica software 2.0. Data were analysed using graph pad 6, p values < 0.05 were significant. We observed no signs of behavioural toxicity and no mortality during this study, however, in the kidneys, we reported mild morphological perturbations widening of Bowman's space, and vacuolations in glomerulus and tubules of TDF and NTDF animal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elevation of glycogen deposition in NTDF and TDF animals when compared with control. In the liver, there were mild histological changes with widening of sinusoidal spaces, vacuolations in hepatocytes and elevation of glycogen deposition in TDF and NTDF administered animals.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reological measurements and cell count, LFT, RFT, weight changes and organo-somatic index between treatment groups and control. In conclusion, NTDF and TDF in therapeutic doses can lead to mild hepatic and renal histological dam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ecise genetic mechanism.

서해안 갯벌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os in Tidal Fla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in Spring and Summer)

  • 옹기호;전승렬;구준호;박종우;정희도;강정하;조윤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0-509
    • /
    • 2021
  • 본 연구는 서해안 갯벌의 퇴적물 환경 및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특성과 건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강화도부터 전남 목포까지 2017년 4월(춘계)과 8월(하계), 2018년 4월(춘계)에 실시하였다. 충남 권역의 퇴적물 입도는 조립하였으며, 경기·인천 권역, 전북 권역, 전남 권역의 퇴적물은 세립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은 총 140종으로, 대형저서동물 군집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대형저서동물군집은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Group2는 바지락 어장 정점이 포함되었으며, 바지락(Ruditapes phillipinarum)과 남방백금갯지렁이(Nephtys polybranchia)와 짧은다리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nipponica)가 우점했다. Group4에는 퇴적상이 세립한 정점이 포함되었으며, 작은부채발갯지렁이(Eteone longa)와 유형동물(Nemertea unid.)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서해안 갯벌의 건강도 분석 결과, ISEP, BHI지수에서 대체로 'High (가장 양호)'상태를 나타냈으며, AMBI지수는 'Good (양호)'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서해안 갯벌의 건강도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 오염지시종인 아기반투명조개(Theora lata), 등가시버들갯지렁이(Capitella capitata) 등이 출현하므로 갯벌 환경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CalTOX 모델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대기 중 예측 농도와 실측 농도간의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Validity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Concentrations of VOCs in the Atmosphere Using the CalTOX Model)

  • 김옥;이민우;박상현;박창용;송영호;김병빈;최진하;이진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76-58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calculated local residents exposures to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using the CalTOX model and carried out uncertainty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The model validity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and the actual atmospheric concentrations. Methods: Uncertainty was parsed by conduct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ensitivity was dissect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s) method. The model validity was analyzed by applying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MSE (root mean square error), and the Nash-Sutcliffe EI (efficiency index) formula. Results: Among the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in this study, benzene was the highest and the lifetime average daily dose of benzene and the average daily dose of xylene were high. In term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outcome, the source term to air, exposure time, indoors resting (ETri), exposure time, outdoors at home (ETao), yearly average wind speed (v_w), contaminated area in ㎡ (Area), active breathing rate (BRa), resting breathing rate (BRr), exposure time, and active indoors (ETai) were elicited as input variables having great influence upon this model. In consequence of inspecting the validity of the model, r2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1 and RMSE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0, but EI indicated unacceptable model efficiency. To supplement this value, the regression formula was derived for benzene with y=0.002+15.48x, ethylbenzene with y ≡ 0.001+57.240x, styrene with y=0.000+42.249x, toluene with y=0.004+91.588x, and xylene with y=0.000+0.007x. Conclusions: In consequence of inspecting the validity of the model, r2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1 and RMSE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0, but EI indicated unacceptable model efficiency. This will be able to be used as base data for secur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model.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 관련 후유증의 한의 치료 연구에서 뇌졸중 시기 및 평가 척도에 대한 국내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Stroke Stage and Outcome Measures in Stroke Motor Sequelae Clinical Studies in Korea)

  • 이지은;천세은;전민결;신용진;임정태;신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56-679
    • /
    • 2022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idelity of stroke stage reporting, the timeliness of the outcome measures, and the use of the core outcome set. Methods: We searched the literature using 6 domestic databases. We selected studies that used Korean medicine interventions and targeted stroke patients with motor sequelae. We examined whether the included studies reported the stroke stage and whether they used the outcome measures in the appropriate period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of the "Stroke Evidence Database to Guide Effectiveness". We also confirmed the use of the essential assessment tools suggested by the core outcome set. Results: Overall, 77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with 16 (21%), 55 (71%), and 6 (8%) published on the acute, subacute, and chronic phases, respectively. Only 11 of the studies directly mentioned the stroke stage. The most commonly used assessments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Modified Barthel Index, and Manual Muscle Testing. Only 5 studies failed to apply the stage-related outcome measures at the recommended period. The outcome variables used inadequately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ie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mong the core outcome set items, some studies used liver and renal function tests, but no herbal medicine safety reporting was conducted. Conclusions: In future studies, we propose to ensure accurate reporting of the stroke stage with reliable outcome measures to deliver better clinical and research outcomes. Furthermore, in future clinical studies on stroke, a standard protocol that reflects the core outcome set should be developed.

용접흄 폭로 근로자들의 폐기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ulmonary Function in Welding Fume Exposed Workers)

  • 홍영습;김병권;김성률;담도온;김정만;정갑열;김준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43-57
    • /
    • 1995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welding fume exposure upo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we examined 131 shielded arc welding workers, and 152 $CO_2$ arc welding workers as cases and 177 control workers for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0})$,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s a percent of FVC $(FEV_{1.0}%)$, and maximal mid-expiratory flow (MMF) were obtained from the spirogram. In shielded arc welding group and $CO_2$ arc welding group, FVC, $FEV_{1.0},\;FEV_{1.0}%$, and MMF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control group, especially marked in the MMF finding. The distribution of workers below normal range was as follows. in the shielded arc welding group, 2 workers(1.5%) for FVC, 17 workers(13.0%) for $FEV_{1.0}$, 5 workers(3.8%) for $FEV_{1.0}%$, 28 workers(21.4%) for MMF, and in the $CO_2$ arc welding group, 3 workers(2.0%) for FVC, 25 workers(16.4%) for $FEV_{1.0}$, 8 workers(5.3%) for $FEV_{1.0}%$, and 37 workers(24.3%) for MMF, and significant increase by exposure duration was found in MMF. The distribution of workers who had ventilation impairment was as follows: 5 workers(3.8%) for obstructive type, 2 workers(1.5%) for restrictive type in the shielded arc welding group, and 7 workers(4.6%) for obstructive type, 2 workers(1.3%) for restrictive type, and 1 worker(0.6%) was combined type of the $CO_2$ arc welding group. In the respect of these results, the significant pulmonary function and ventilatory impairment were observed in welding fume exposed workers who had not abnormal finding in chest X-ray, and MMF considered as the most sensitive pulmonary function index by welding fume exposure. Therefore even if it is hard to doing pulmonary function test in the first health examination of worker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Safety Health Act in the welding fume exposure workers, it is desirable to consider doing PFT. Also evaluating the ventilation impairment,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change of MMF that marker of effort-independent por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