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ulture Index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조종사양성 교육기관의 안전문화지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Culture Index Measurement of Pilot Training School)

  • 한경근;김영석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32
    • /
    • 2015
  • 조직의 안전문화가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안전문화의 개선과 정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항공법 제49조에 지정전문교육기관은 자체 안전관리시스템을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에는 조직의 안전문화를 조사하여 상태를 파악하고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안전공단에서 개발한 축약형 CASS Scale을 사용하여 조종사양성 교육기관의 안전문화지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안전문화 평균치는 3.711로 나타났으며 하위지표의 측정결과는 직원 권한위임에 대한 평균값이 3.98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벌체계에 대한 평균값이 3.30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서비스제공자는 이러한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취약부분에 대한 개입전략을 수립, 적용함으로써 조직문화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교통사고 안전지수 등급 향상방안 연구_울산광역시 울주군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of traffic accident safety index for Uljugun, Ulsan)

  • 김용문;강성경;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7-19
    • /
    • 2017
  • 최근 들어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정부 및 지자체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있지만, OECD 평균에 비해서는 여전히 아직까지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각 지자체의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인 '지역안전지수'를 매년 공개하여 국민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지역안전지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하는 7개 분야의 사고(교통사고, 범죄, 자살, 감염병, 화재, 안전사고, 자연재해)를 다루지만,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분야에 집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지자체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이며, 울주군의 교통사고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사고 발생현황, 사고 취약지점 등을 분석하였다. 그 중 3개의 중점개선지구를 선정하고 각각의 중점개선지구별로 15개의 취약지점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교통사고 관련 현황자료를 통한 공간정보 분석과 유관기관 면담을 통해 사고 취약지점별 개선대책을 마련하였다. 또한 개선대책은 교통사고 예방의 관점에서 구조적인 인프라 개선, 제도적 개선, 교통안전문화운동전개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 사업별 추진일정 및 예산을 제시한 이행계획을 토대로 지자체내 담당부서의 임무와 역할을 명기하였다. 그리고 교통사고 관련 유관기관 및 민간부문의 참여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노출지수를 이용한 요추 X선 촬영의 조사야 유효성 평가 (Effect of Field Size on the Clinical Exposure Index for Lumbar Spine X-ray Examination)

  • 박혜민;윤용수;김정수;정회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3호
    • /
    • pp.183-187
    • /
    • 2021
  • The field size of the lumbar spine X-ray examination, which belongs to the most frequent examination in general radiography, is 5 time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umbar spine. Exposure index (EI) as per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ose incident on the image receptor for clinical protocols in addition to RQA5, which is a calibration beam quality.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set field size was evaluated through the change of EI according to the size of field during lumbar spine X-ray examinations. Lumbar anterior-posterior and lateral examinations was performed using a whole-body phantom, and the national average exposure conditions of Korea investigated in 2017 were introduced for the X-ray exposu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I displayed on the console of digital radiography system for the three field size in ① 18 × 36 cm2 ② 25 × 36 cm2 ③ 36 × 36 cm2, the EI value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field size increased. Since the patient dose, such as organ dose around the lumbar spine, increases as the field size becomes larger, thus, if the EI obtained from the field size at a leve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diagnosis is set as a refer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field size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EI displayed on the console when the lumbar spine X-ray examination is conducted.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진동만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어장적지평가 (Suitable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in Jindong Bay)

  • 조윤식;홍석진;이원찬;김형철;김정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97-6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남해안의 진동만 10개 정점에 대하여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양식순기에 맞추어 계절별(7월, 10월, 1월, 4월)로 실시하였으며, 어장 서식지 적합지수를 위한 어장평가인자로 수온, 클로로필 a, 부유입자물질, 해수유동, 염분, 용존산소 포화도를 이용하였다.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성장과 어장환경 상관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각 인자들에 대한 그래프가 작성되었으며, 서식지 적합지수 산정결과 진동만의 서쪽해역(HSI 0.32~0.41)이 동쪽해역(HSI 0.19~0.27)보다 높은 적합지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단위생산량과 유의한 상관성($R^2$=0.834, P<0.01)이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어장적지평가를 통하여 지속적인 생산성을 위한 어장관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역사·문화거리 경관의 공공디자인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Public Desig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cape)

  • 강박;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40-263
    • /
    • 2021
  • 최근 몇 년 동안, 공공디자인 열풍이 불면서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공공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정부와 각 지방 자치 단체의 공공디자인 준칙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역사·문화거리 경관이 공공디자인 분야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에 대한 명확한 평가지표는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거리 경관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평가지표를 제작하여 향후 역사·문화거리의 공공디자인 향상과 개선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6개의 평가지표와 19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둘째, 평가지표의 타당성과 지표 항목의 우선순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탐색적 인자 분석과 AHP 분석을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 Cronbach'α 계수와 일관성 비율(Consistency Ratio)의 검증을 통과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객관적인으로 도출한 평가지표 중 우선순위는 '역사문화 관련>공공관련>안전 관련>접근성 관련>지속적 관련>미관 조화 관련'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역사·문화거리의 공공디자인 향상 및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 요인과 결과 (Influencing Factors and Consequences of Near Miss Experience in Nurses' Medication Error)

  • 박진희;이은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31-64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consequences of near miss in nurses' medication error based upon Salazar & Primomo's ecological system theory.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98 nurses was recruited for th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6.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developed model was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program. Results: For the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x^2$ ($x^2=258.50$, p<.001) was not fit, but standardized $x^2$ ($x^2/df=2.35$) was a good fit for this model. Additionally, absolute fit index RMR=.06, RMSEA=.08, GFI=.86, AGFI=.81 reached the recommended level, but the Incremental fit index TLI=.82, CFI=.85 was not enough to reach to the recommended level. With the path diagram of the hypothetical model, caution (${\beta}=-.29$ p<.001), patient safety culture (${\beta}=-.20$, p=.041), and work load (${\beta}=.18$, p=.037)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ear miss experiences in nurses' medication error, while fatigue (${\beta}=-.06$, p=.575) did not affect it. Moreover, the near miss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productivity (${\beta}=-.25$,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have shown that to decrease the near miss experience by nurses and increase their work productivity in hospital environments would require bo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ffort.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Presenteeism in Clinical Nurse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 권민정;최은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0-171
    • /
    • 2017
  • Purpose: This review aimed to integrate the results of studies related to presenteeism in clinical nurs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he search for relevant studies was conducted using six data bases according to predetermined index terms, "$nurs^*$" and "presenteeism." Thirteen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is review found that the conceptual use and scope of presenteeism were not consistent among the studies. Most studies investigated the nurses' health-related variabl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reported their positive association with presenteeism. Presenteeism was also found to be associated with job stress,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d a negative impact on nursing outcomes such as patient safety. Conclusion: The research on presenteeism can be used as a way to explain outcomes in the field of nursing where direct measurement of productivity is difficult. Presenteeism is a multidimensional problem, and a theoretical foundation is needed to explain the presenteeism of clinical nurses.

Falls in Patients of Medic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A Literature Review

  • Jongwon Choi;Woochol Joseph Cho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2023
  • Background: Like many other countries, falls and related injuries in older adults are great concern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falls are common in medical institutions, often causing the increase of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bjects: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help understand and address falls in hospitalized individuals in South Korea. Methods: The review was conducted on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n from 2010 to 2022, searc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and PubMed. Key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as follows: falls, fall risk, fall risk assessment, hospital, inpatient, intervention, Korea, and prevention. Results: A total of 54 articles were found and reviewed. The most common place of fall accidents was the inpatient room, where there were many cases of falls while walking. Loss of balance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falls, and many falls occurred in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rnal medicine. Furthermore, a risk of falling increased with the type of medications taken. In terms of tools to assess patients' fall risk, the Morse Fall Scale (MFS) was commonly used. Patient-specific fall prevention activities were common to address falls, and they decreased the frequency of falls and the fear of falling.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cluded attitudes toward falls, education, environmental factors, patient safety culture, and self-efficacy in preventing falls. Conclusion: Our results should help understand and address falls and injuries in medical institutions.

질 향상 활동을 통한 사지압박순환장치의 안전관리 (The Safety Management for Compression Medical Device through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 안영재;김규성;신정애;이혜련;황규정;박지영;김새롬;강수경;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25-132
    • /
    • 2017
  • 환자의 혈전증 예방을 위하여 사지압박순환장치가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잦은 고장으로 인한 불만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지압박순환장치의 고장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제품요인, 간호사요인, 환자요인 그리고 시스템요인에 대하여 다양한 개선 활동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로 각각의 요인에 대한 지표의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기기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었다. 보다 적극적인 의료기기의 개선 활동은 기기의 불량률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서비스의 품질 개선 및 안전한 의료문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농약에 대한 피부자극성 대체시험법 적용연구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methods for skin irritation evaluation on pesticides)

  • 정미혜;김미경;박수진;유아선;홍순성;박경훈;박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1-266
    • /
    • 2012
  • 농약을 포함한 화학물질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많은 실험동물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동물실험에 대한 규제 강화와 실험동물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동물실험을 대체하려는 동물대체시험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화학농약 등록 시 급성경구독성시험, 급성경피독성시험, 피부자극성시험 등 여러 시험에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인축독성평가를 하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농약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연구제시와 규제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승인된 대체시험법 중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피부자극성평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물질은 기존의 토끼를 이용한 피부자극성시험에서 피부반응을 평점화하여 산출한 피부 1차 자극지수(P. I. I.) 0-7(구분:없음-강도) 값을 가진 농약제품 16종을 선발, 인공피부(KeraSkin$^{TM}$)를 이용하여 피부자극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중도이상의 농약인 경우 세포생존율 50% 이하로 자극성 물질로 나타났으며, 경도 이하의 농약인 경우 세포생존율 50% 이상으로 비자극성 물질로 나타났다. 피부의 자극성이 있는 경도에서 강도의 농약의 경우 현재 농촌진흥청 고시 농약표시 기준에 따라 주의사항을 표시하게 되어 있고(RDA, 2012b), 농약의 피부자극성의 경우 민감도가 사람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피부자극성 대체시험법 적용여부는 추후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농약안전성평가를 위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시험법 검증연구를 통해 농약등록 시험기준과 방법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