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enghwata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생화탕(生化湯)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Literal Study on the Saenghwatang)

  • 손태훈;정진홍
    • 혜화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3-196
    • /
    • 2001
  • In the literatual study on the Saenghwata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aenghwatang is composed of Danggui, Chunkoong, Doin, Kunkang and Kamcho. Saenghwatang was used with Ikmohwan and Ikmocho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of puerperal congestive pain 2. Activating blood circulation and congestion, warming body & blood circulation, increasing blood flood, controlling pain, removing the coldness & congestion and creating new blood are the effects of Saenghwatang. 3. The indications of Saenghwatang are no excretion of pilleus, puerperal coldness and hotness, congestive pain, dizziness, the coldness of extremities, chiorrhea, bleeding, asthma and etc. 4. Saenghwatang have the effects of puerperal contractility in theuterus, activating lactation, removing inflammation and antiplat-elet aggregation.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puerperal disease, hysteromyoma, endopelvic congestion, postabortal contineous bleeding, endometritis, menorrhalgia, gastralgia of cold congestion, infertility of cold uterus; every congestive symtoms.

  • PDF

가미생화탕과 가미보허탕의 연속 투여가 산후 체중정체와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ami-Saenghwatang and Kami-Bohertang to postpartum weight retention)

  • 하정일;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4-17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erbal medicines used for women in puerperium on postpartum care, Kami-Saenghwatang(SHT) and Kami-Bohertang(BHT) and postpartum body composition change. We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gestational age, the number of parity and the route of delivery for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ostpartum weight loss. Methods: 239 women followed by postpartum care center. Variety factor s were conformed and then checked body composition analysis. 8 weeks later, we followed up body composition of 36 women among the former checked. and additionally asked the body weight of another 42 former checked women by telephone call. Results: $Mean{\pm}S.D$(standard deviation) of pre-pregnancy weight is $55.22{\pm}8.98kg$, $Mean{\pm}S.D$ of gestational maximun weight is $69.26{\pm}9.77kg$, $Mean{\pm}S.D$ of weight loss in postpartum 8 weeks(means sub-tract postpartum 1 week weight from postpartum 8 week weight) is $57.86{\pm}8.60kg$. The number of parities had corrrelation with gestational weight gain. Age, number of parities and route of deliv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tpartum weight loss during 8 weeks after delivery, and also it was not correlated with body water mass,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and body weight on postpartum 8 weeks whether they treated with SHT and BHT. conclusion: It was not correlated with body water mass,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and body weight on 8 weeks postpartum whether they treated with SHT and BHT.

  • PDF

전통 산후 회복식과 한방 생화탕이 산모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raditional Recipes and Saenghwatang on Postpartume Care)

  • 박성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52-658
    • /
    • 2005
  • 우리나라의 한방영역에서 분만 후 빠른 회복을 위해 사용해오던 처방 중 생화탕과 관습적으로 산후 회복식으로 민간에서 널리 사용해오던 가물치와 호박 전탕액을 대상으로 분만 후 산모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 해 보고자 연구를 계획${\cdot}$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분만 후의 흰쥐에게 생화탕, 가물치 전탕액 및 호박 전탕액을 각각 7일간 투여한 후 적혈구, 백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트치, 혈소판 수, 피브리노겐과 혈청의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를 구하였고 소변 중의 나트륨과 칼륨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cdot}$고찰하였다. 생화탕을 섭취한 군에서는 혈액의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 농도, 헤마토크릿트치, 알부민 및 타이록신 농도가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던 반면 백혈구 수와 피브리노겐 농도 및 소변의 나트륨과 칼륨 농도는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가물치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백혈구 수, 피브리노겐 농도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고 혈 중 알부민과 타이록신의 농도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소변의 칼륨 함량은 대조군보다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호박 전탕액을 섭취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혈청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고 소변의 칼륨 함량이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화탕은 산후회복에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 반면 전통 산후 회복식은 분만 후 저하된 상태를 다소 개선시키는 효능은 있으나 그 정도가 생화탕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산후회복의 방법으로 적절한 효능은 인정되지 못하여 산후 조리법으로 권장하기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적으로 인정되어온 가물치와 호박의 이수소종(利水消腫) 효과에 대하여는 향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식생활 정착을 위해 우리 식생활에서 약식동원의 목적으로 많이 쓰이는 전통 음식의 재료 및 사용분량에 대한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가 시도된다면 우리나라 전통 식생활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으며 우리 음식을 소개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가 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