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red Site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Th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 of Natural Resources in UNESCO Sacred Natural Site, South Korea -Focusing on the Natural Monument Plants-)

  • 김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2-501
    • /
    • 2012
  • 최근 자연성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자연성지란 특정 민족이나 공동체에게 특별한 영적 중요성을 갖는 육상 또는 해상의 구역으로서 정의된다. 본 연구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자연성지에 대한 개념과 가치, 관리원칙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자연성지의 가치를 적용 가능한 국내 천연기념물 식물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국내 천연기념물 식물 중 63건이 이에 해당되었으며, 생물다양성, 문화성, 경관 및 미적 가치와 함께 관광자원으로써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자연성지의 가치와 일치하는 것이었으며, 향후 우리나라 자연성지 등재 작업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국제적으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자연성지를 국내 천연기념물 식물 측면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어떻게 관리하고 보전해야 하는지 보여주었다는데 의의를 지니며, 향후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Research for Current Status of Protected Area in Korea and World Protected Area Designation - Focused on sacred natural sites designated as scenic site & natural monument -)

  • 김재웅;김승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1-200
    • /
    • 2014
  • 본 연구는 보호지역으로 보호되고 있는 국가지정 문화재중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문화재를 보호지역 카테고리에 포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문화재보호법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자연문화재중 명승과 천연기념물을 대상으로 보호지역 현황을 조사한 결과 명승40개소, 천연기념물 126개소가 보호지역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결과 자연문화재에서의 보호지역은 마을에서 '당숲', '성황림', '신림(神林)'등으로 오랫동안 마을사람들의 행(幸) 불행(不幸)에 관계된 성스러운 대상이었으며,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와 규범, 토지에 대한 태도와 신앙관 등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결과물로써, 주민들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신성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지역의 독특한 민간신앙 등으로 인해 강력한 보호를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천연기념물 노거수는 점적인 형태로 인식되어 보호지역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나,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설정되어 있어 세계보호지역 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명승의 자연성지는 IUCN 카테고리의 지정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세계보호지역으로 설정함에 있어 명승 내부의 공간별 특성에 따라 자연성지를 비롯한 개별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세계보호지역으로 관리하여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의 성스러움으로 본 고대 중국인의 성현(聖顯) (Hierophany in Ancient China and the Sacred Sites)

  • 김종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173-202
    • /
    • 2011
  • 엘리아데는 애초의 성스러움이 저절로 드러나는 것을 성현(聖顯)이라고 하였는데, 성현이 일어나는 대상이나 장소는 질의 전환을 이루어 그 자체가 성스러워진다. 사람들은 태초의 성스러움을 되살리기 위해 최초로 성스러움이 일어난 그 순간을 재현하고자 하여 원형의 순간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행위를 통해 성을 재현하려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것은 성스러움이 드러나는 구체적 장소이다. 천제가 세운 지상의 도읍으로 신이 사는 영역이며, 지상과 천상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우주산의 특성을 갖춘 곤륜, 하늘과 지상을 이어주는 매개인 하늘사다리의 역할을 하는 건목, 종교적 인간이 성스러운 실재적 공간에서 살고 싶은 욕망을 드러내며 성스러운 공간을 통해 신적 존재나 조상과 교류함으로써 태초의 순수한 영혼으로 회귀할 수 있는 공간인 도시와 종묘는 모두 고대 중국에서 볼 수 있는 성이 드러나는 구체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대순진리회의 성지와 순례의 의미 (The meanings of Sacred places and Pilgrimages in Daesoonjinrihoe)

  • 허남진
    • 대순사상논총
    • /
    • 제22권
    • /
    • pp.539-565
    • /
    • 2014
  • This paper provides the meaning of sacred places and pilgrimages in Daesoonjinriho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Daesoonjinrihoe stipulates Dojang(道場, it means temple complex) as the sacred places, which presently functions as the center of their religious faith. Also, The Daesoonjinrihoe devotees worship 15 deities at a sacred place, Yeongdae(靈臺). By seeing meanings of sacred places and pilgrimage in Daesoonjinriho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sacrificial rite of Daesoonjinrihoe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religious ritual or place of faith and sacred places as pilgrimage sites. At this time, I explain the properties of sacrificial rite of it. The sacrificial rite of Daesoonjinrihoe, one of its major rites, is performed at both regular and irregular intervals. It is performed by either an individual or a group at a fixed time and place. The study of sacred places should focus not only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but also the meanings given to them and the mechanism that created these meanings. Pilgrimage is journey undertaken by person who consider their destination sacred. By seeing meaning of pilgrimage, this paper focus on Daesoonjinrihoe' role in making a place pilgrimage sites and pilgrimage functions. The reason I focus on sacred places and pilgrimage in Daesoonjinrihoe is that these sacred places reflect people's attempt to invent religious memory and identity. Thus, I elucidate the role that Daesoonjinrihoe's sacred places and pilgrimage plays in remembering religious memory. I examine the messages that Daesoonjinrihoe's sacred places intend to convey to the followers through the created sacred places and pilgrimage. Sacred places are significant because it reflect important symbolic features of religion. Sacred places and pilgrimage are vehicles for remembering the religious memory and reinforcing various memories. Finally, Handing down of our valuable Daesoonjinrihoe's cultural heritage is our duty. So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conserve Daesoonjinrihoe's cultural heritage such as sacred places and concentration upon our interest continuously.

동종 배양표피를 이용한 부분층 2도 화상의 치료 (Treatment of Partial Thickness Burn Wounds with Cultured Epidermal Homografts)

  • 최중호;고장휴;서동국;이종욱;전세화;오석준;장영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587-591
    • /
    • 2006
  • Purpose: Since Rheinwald and Green laid the foundation of epidermal cell culture technology in 1975, many clinicians and scientists have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ultured epidermal autologous(CEA) or homogenetic(CEH) grafts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In contrast to CEA which cultured from a patient's skin on demand, Cultured Epidermal Homograft(CEH) can be readily available to use on cleaned wound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ntrolled clinical trial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EH in treating partial-thickness 2nd degree burn wounds. Methods: From July 2003 to January 2004 at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we performed a clinical trial in which 35 patients who suffered from 2nd degree burns were enrolled. Wound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parts, control and test sites. Test sites were treated with allogeneic keratinocyte sheets ($Kaloderm^{(R)}$, Tegoscience Inc.), a CEH commercialized in Korea. Results: All wounds healed completely without any major complication. The complete healing took $8.3{\pm}2.8$($mean{\pm}S.D.$) days in the test sites as opposed to $11.7{\pm}3.3days$ in the control sit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CEH accelerates re-epithelialization of partial thickness burn wounds and CEH can be an safe alternative to skin grafts for 2nd degree burns.

세계유산 자연성지 잠재지로서의 부안군 격포리 일원 당산숲의 경관특성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acred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Gyeokpo-ri, Buan-gun as a Potential World Heritage-Sacred Natural Site)

  • 최재웅;김동엽;이창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4
    • /
    • 2015
  • 유네스코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전세계의 생물다양성 보전, 문화다양성 보호를 위해 '자연성지' (특정 민족이나 공동체에게 특별한 영적 중요성을 갖는 육상 또는 해상의 지역) 개념을 정립하였다. 수 백년 이상의 당산제 역사를 갖고 있는 농어촌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자연성지'라고 할 수 있다. 부안군 격포리 죽막마을은 작은 해안마을이지만, 국내최대의 고대 해양 제사터가 있는 중요한 곳이다. 부안군청에서는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에 대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5~6세기, 삼국시대 백제)이 마을 당집(수성당)을 둘러싸고 있는 당산숲 안에서 발굴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부안 격포리를 중심으로, 인근의 대리, 내소사 석포리, 고창 동호리 등 네 곳 당산숲의 경관 특성과 그 문화를 고찰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네 곳의 당산숲을 연계하여, 세계유산-'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격포리 일원 당산숲은 저 마다의 경관 특징을 간직한 채 생활문화로서의 전통이 잘 남아있다. 격포리 일원 당산숲의 자연성지로서의 잠재력과 제한요인을 검토하기 위한 SWOT 분석 결과, WT(약점-위협)전략을 중점전략으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당산숲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들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에서 이들 당산숲으로 이루어진 경관의 특성이 밝혀지고, 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한 선행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인에서 화상 후 만성 감각이상의 특징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Chronic Sensory Abnormalities in Korean Burn Patients)

  • 김형석;장현묵;최도영;우철호;문성하;김현수;김광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158-162
    • /
    • 2007
  • Background: After burn patients a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y may continue to feel pain and paresthetic sensations at the site of a healed burn and these problems may persist for yea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ymptoms in terms of intensity, frequency, and influencing factors. Methods: Patients that developed paresthetic sensations at sites of a healed burn were recruited from the pain management center from January 2003 to April 2006.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interview protocol. Results: Fifty one adults, with a total body surface area burned (TBSA) of $21.1{\pm}16.3%$ aged $42.0{\pm}12.9$ years were studied. A paresthetic sensation was reported to be present every day in 52.9% (27/51) of the subjects. A variation in the intensity was most commonly related to changes in the weather. A tight sensation and itching types of sensations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more extensive injuries. Conclusions: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hronic paresthetic sensation that many burn patients continue to experience at sites of a healed burn deserve further attention. Not only do clinicians need to be aware of these problems but also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alleviation shou\d be explored.

The Type Analysis for Safety Accident of Water Sports Happening in River

  • Kim, Nam Eui;Ahn, Moo Eob;Seo, Jeong Yeol;Kim, Dong Won;Kim, Jeong Hyeok;Kim, Hyung Ki;Han, Jae Hyun;Lee, Tae Hu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0권4호
    • /
    • pp.186-191
    • /
    • 2017
  • Purpose: Recently, as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water sports life in river or lake easy to accessible are increasing, that of the patients who are injured in water sports also does gradually. We intend to investigate the type of the injured patients of water sports and the riskiness of the sports in this study. Methods: We retrospectively looked into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were injured in water sports and visited a general hospital in Gangwondo-province from 2010 to 2015. Results: Total 146 patients came to the hospital during six years. Patients mostly occurred at younger ages, in summer, and on holidays, rather than weekdays. The most common lesions of injuries were faces (53 patients). The most common types of injuries were contusions (62 patients), followed by fractures (32 patients) and lacerations (26 patients). The most frequent fracture sites were the upper extremities (11 patients). Most of the trauma patients were mild, but a small number of patients with aspiration pneumonia occurred and their severity was higher than trauma patients. Conclusions: In this study, facial injuries were most frequent in water sports injuries. In the fractures, upper extremities were the most common fractured lesions.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direct trauma, aspiration pneumonia is serious, so caution should be taken with protective equipment suitable for water sports.

소방관 화상 환자의 화상수상특징에 대한 1개 화상전문병원에서의 예비조사 (The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 Burn Injuries in a Burn Center: A Ret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y)

  • 김형태;강구현;장용수;김원희;최현영;김재국;김민지;유기철;김도헌;임해준;방성환;이창섭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5
    • /
    • 2016
  • Purpose: Firefighters are vulnerable to burn injury during firefighting. In extensive fires, conducted heat and radiant heat can cause burn injury even though firefighters are not directly exposed to fire.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health problems of firefighters considerably since Hongje-dong fire of 2001, which claimed the lives of six fireman.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done on the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 burn injuries in South Korea.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 burn injuries in a burn center. Methods: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research was performed between Jan 2006 to Dec 2015. 24 firefighters came to the burn center.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ere reviewed. Results: Flame burns (87.5%) were the major cause of burn in firefighter. All the patients suffered second-degree or third-degree burns. Mean burn size was 6.1±6.7%. 22 of 24 patients were hospitalized and 2 of 22 hospitalized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Mean length of hospitalization was 29.1±23.7 days and mean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 hospitalization was 6.0±1.4 days. The face was the site most commonly burned, representing 25.8% of injuries. The hand/wrist, upper extremity, and neck were the next largest groups, with 19.4, 12.9, 11.3% of the injuries, respectively. Conclusion: Firefighter burn injuries occur to predictable anatomic sites with common injury patterns. The burn size was small but, admitted patients need about 30 days of hospitalization.

종교 공공성의 담론과 의제 - 신앙, 성물과 성지 - (Discourse and an Agenda for Religious Publicness: Faith, Sacred Objects, and Holy Sites)

  • 윤용복;고병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43집
    • /
    • pp.31-66
    • /
    • 2022
  • 한국에서 공공성 개념은 종교와 다른 사회 영역 간 매개물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종교와 연관된 공공성 개념과 의제에 대한 논의를 요청한다. 이 글에서는 공공성과 신앙을 연결시킨 논의들과 살펴보면서 의제들을 추출하고, 시사점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공공성 개념과 관련된 성물 사례들과 천주교 성지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제II장(공공성과 신앙)에 따르면, 종교의 공공성에 관심을 가진 기독교 신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은 대체로 신앙을 통한 사회 참여와 변화를 전제하거나 지향한다. 이 맥락에서는 기독교 이외 종교의 공공성에 대한 근거, 공적 영역에서 종교간 평등, 공론장에서 종교단체의 위상과 종교 연구자들의 참여 등이 종교 공공성 담론의 의제가 될 수 있다. 제III장(성물과 공공성)에서는 종교 공공성을 '종교 안 공공성'과 '종교 밖 공공성'으로 구분하였다. 그 구분에 따르면, 천주교와 불교의 성물 사례들은 의례가 종교 안 공공성을 확보하는 핵심 요인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불교의 진신사리 논쟁 사례는 종교 밖 공공성이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여러 외부적 논쟁 속에서 구성되는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제IV장(성지화와 공공성)에서는 종교 밖 공공성과 연관하여 천주교 성지화 사례들과 그에 대한 다른 종교들의 반대 논리를 분석하였다. 성지화 사례들은 천주교 내부에서 종교 안 공공성을 창출하지만, 여러 종교가 얽힌 공론장에서 종교 밖 공공성에 대한 평가와 논쟁을 유발한다. 실제로 성지화에 반대하는 측은 '천주교가 다른 종교의 유산과 가치 등을 없앤다는 논리'를 공공성의 약화나 종교편향을 유발한다는 논리로 확장해서 대응하고 있다. 이 글은 종교 공공성 개념이 종교에 관한 논의를 다양화하는 매개물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글에서 제시한 종교 공공성과 관련된 의제들, 구성론, 종교 안 공공성과 종교 밖 공공성의 구분 등은 공공성 이면의 배려, 평등, 자유 등의 가치에 주목하게 만든다.